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시조 종장 첫구의 율격적 지향에 대한 통계적 고찰 = A Statistical Observation on the Metrical Orientation Found in the First Phrase of the Third Line of the Sizo(時調)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7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시조의 율격적 지표로 삼는 종장 첫구의 음절 수 제한 현상에 대해 시조 텍스트와 말뭉치자료를 연동한 통계를 바탕으로 어떠한 전략들이 3음절 제한을 위해 쓰였는지를 살핀 것이다...

      본고는 시조의 율격적 지표로 삼는 종장 첫구의 음절 수 제한 현상에 대해 시조 텍스트와 말뭉치자료를 연동한 통계를 바탕으로 어떠한 전략들이 3음절 제한을 위해 쓰였는지를 살핀 것이다. 조사 대상으로 삼은 시조 3,335편의 종장 첫구 중 문맥과 어휘 사용에 있어 창작 당대의 언어와 비교해 부자연스러운 것들을 조사하고, 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폈다. 종장 첫구의 운율적 지향은 ‘時語와의 연동’, ‘詩語로의 변용’, ‘관습적 표현의 선택’으로 나누어 살폈는데, 時語와 연동하면서도 동시에 3음절 제약을 지키기 위해 여러 이형태들 중에서 선택 또는 배제, 조사 생략, 구어 사용하기 등의 전략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의도적인 생략, 과도한 늘리기와 줄이기 등을 통한 새로운 詩語로의 변용, 時語를 선택하지 않고 전승된 관습적 표현을 선택하는 전략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련의 비교 통계 작업과 분석을 통해 시조 종장 첫구에는 분명한 율격적 지향이 있었고 표면적으로 음절 수 제한이라는 관습, 이면적으로는 3음절을 맞추기 위한 다양한 운문 전략들이 있었음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uld be statistical study by analyzing research results from Sizo(時調) texts and Corpus database on what kinds of poetic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phenomenon of the limitation within 3 syllables in the first phrase of the third line of t...

      This would be statistical study by analyzing research results from Sizo(時調) texts and Corpus database on what kinds of poetic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phenomenon of the limitation within 3 syllables in the first phrase of the third line of the Sizo,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Sizo"s metrical indicator. By comparing the usage of words and context in the first phrases of the third line of 3,335 works of the sizo with those of the same periods of sizo composition, some unnatural expression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by statistical method. The metrical orientation in the first phrase of the third line of sizo were investigated from three angles such as "interworking between the convention of syllabic limitation and the general expressions when sizo was composed: strategic selection and exclusion for the limitation of 3 syllables, omitting particles or using spoken language", "transforming general expression into a poetic word for syllabic limitation: intentional omission, undue addition & shortening, creating new poetic word" and "Selecting conventional phrase by excluding contemporary expressions". Through a series of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paper,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has existed some kinds of metrical orientation in the first phrase in the third line of sizo, which consisted of the syllabic limitation convention superficially and a variety of poetic strategies for satisfying the limitation of 3 syllables in depth at the same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종장 첫구의 운율 의식과 음수 제약
      • 3.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서론
      • 2. 종장 첫구의 운율 의식과 음수 제약
      • 3.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思燁, "李朝時代의 歌謠硏究" 大洋出版社 1956

      2 이형대, "통계 분석을 통해 본 고시조의 내면 풍경과 시대적 변모 양상" 한민족문화학회 (36) : 7-35, 2011

      3 김창원, "시조의 종장 운율 구조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이해 -사뇌가로부터 시조까지의 감탄사를 중심으로 하여-" 우리문학회 (42) : 43-66, 2014

      4 서원섭, "시조의 음수율 연구" 경북어문학회 8 : 7-46, 1973

      5 서원섭, "시조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81

      6 신은경, "시조 종장 첫구 '두어라'의 연원에 대한 소고" 한국시조학회 (27) : 193-218, 2007

      7 "세종21말뭉치"

      8 김흥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계량적 분석과 시조사의 지형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9 趙潤濟, "韓國詩歌의 硏究" 乙酉文化史 1948

      10 金大幸, "韓國詩歌의 構造硏究" 三英社 1976

      1 金思燁, "李朝時代의 歌謠硏究" 大洋出版社 1956

      2 이형대, "통계 분석을 통해 본 고시조의 내면 풍경과 시대적 변모 양상" 한민족문화학회 (36) : 7-35, 2011

      3 김창원, "시조의 종장 운율 구조의 의미에 대한 통시적 이해 -사뇌가로부터 시조까지의 감탄사를 중심으로 하여-" 우리문학회 (42) : 43-66, 2014

      4 서원섭, "시조의 음수율 연구" 경북어문학회 8 : 7-46, 1973

      5 서원섭, "시조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81

      6 신은경, "시조 종장 첫구 '두어라'의 연원에 대한 소고" 한국시조학회 (27) : 193-218, 2007

      7 "세종21말뭉치"

      8 김흥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계량적 분석과 시조사의 지형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9 趙潤濟, "韓國詩歌의 硏究" 乙酉文化史 1948

      10 金大幸, "韓國詩歌의 構造硏究" 三英社 1976

      11 洪在烋, "韓國古詩律格硏究" 太學社 1983

      12 심재완, "歷代時調全書" 세종문화사 1972

      13 金東俊, "時調文學의 構造硏究" 東國大 韓國文學硏究所 1981

      14 金相善, "時調文學硏究" 정음문화사 1984

      15 黃忠基, "時調 終章의 類型的 特性<抄>" 韓國時調學會 5 : 13-22, 1989

      16 李壬壽, "時調 終章의 慣用化 現狀에 대한 檢證" 韓國時調學會 8 : 61-82, 1992

      17 李能雨, "字數考(音數律法) 代案" 서울대학교 7 : 199-242, 1958

      18 李能雨, "古詩歌論攷" 宣明文化社 1966

      19 崔東元, "古時調硏究" 螢雪出版社 1977

      20 김흥규, "古時調 內容素의 분포 분석과 시조사적 고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21 최규수, "「남훈태평가」소재 시조의 종장 구성상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20 : 115-140,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