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무가들의 문화적 학습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  한국무용가를 중심으로 = A Biographical Consideration on Cultural Learning of a Choreograp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37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nce is one genre of arts created by a choreographer. A choreographer designs physical movement of dancers and educational design of dance is completed by choreography. A choreographer actually organizes and directs subjective essentials with objecti...

      Dance is one genre of arts created by a choreographer. A choreographer designs physical movement of dancers and educational design of dance is completed by choreography. A choreographer actually organizes and directs subjective essentials with objective substances. Choreography creates and expresses human's inside and outside by images. The most basic structure and form of educational behaviors is showing. It can be understood that directing performance of a choreographer has educational meaning. Therefore, showing is appeared well in arts and among the arts, dance can be representative. This research treats the process of experiential learning of choreographers who design choreography in dance which can be recognized as one of educational behavior, the show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Korean choreographers firstly direct thoughts cognized in daily life by a work and organize new cultural space. Second, they imitate dance based on traditionality and recreate it to their own style again. Third, they challenge various adventures and experiences for the whole behaviors directed on the stage. Fourth, they make an effort to recognize the work as a cultural art communicating with spectators by getting gout of the exclusive property of artists. Therefore, choreographers communicate with society through the dance and melt daily experiences into directing performance. Daily life of the choreographer can be understood as the stage and extension of life. In addition, it's important to keep traditionality of Korean dance and they should make lots of efforts to pass down to the next gen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용은 안무가에 의해 창조되는 예술의 한 장르로 안무가는 무용수의 신체의 움직임을 디자인하고 구성한다. 무용의 교육적 디자인은 안무를 통해서 완성된다. 이렇듯 안무가의 연출적인 ...

      무용은 안무가에 의해 창조되는 예술의 한 장르로 안무가는 무용수의 신체의 움직임을 디자인하고 구성한다. 무용의 교육적 디자인은 안무를 통해서 완성된다. 이렇듯 안무가의 연출적인 퍼포먼스는 교육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교육적 행위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조 와 형태는 보여주기이다. 보여주기가 잘 드러나는 것은 예술이며 예술 중에서도 무용을 손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무가들이 어떠한 일련의 경험들을 문화적으로 학습 되고 전유되는지를 드려다 볼 것이다. 안무가의 개별적 역량은 제도적 시스템 속에서 학습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안무경험과 일상에서의 생활방식으로 습득된다. 안무는 단순 히 음악이나 오브제에 맞춰 사상과 감정을 신체로 표현하는 것을 벗어나 안무가들의 생애 사적 학습이 일상에서 스며든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 결과 첫째, 안무가는 일상에서의 생활양식 또한 문화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개인삶의 일부분이 스며들어 작품으 로 완성되고 표현된다. 셋째, 전통성에 기반한 춤을 모방하고 재창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 다. 넷째, 예술가들의 전유물에서 벗어나 관객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춤을 연출하고 있다. 이렇듯 안무가들의 일상의 삶이 곧 연출적 요소를 함축하고 일상을 무대로 표현하는 문화 적인 학습형태를 이루고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