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6년 하와이 호놀룰루 발행 『애국창가』 연구 =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Aegukchangga Published in Honolulu Hawaii, 191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5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iews the publishing background and system as well a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egukchangga which was published in Honolulu, Hawaii in 1916. Aegukchangga was published with a clear intention of evoking the sentiments of resistan...

      This paper reviews the publishing background and system as well a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egukchangga which was published in Honolulu, Hawaii in 1916.
      Aegukchangga was published with a clear intention of evoking the sentiments of resistance and un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music. Albeit being published in the American regions, Aegukchangga shares the patriotic and anti-Japanese sentiments with the Changga albums published in the Northern Manju and Korea.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main themes underlying the 77 songs of Aegukchangga are ‘Inspiration of Patriotism’ and the ‘Desire for Independence.’ Majority of the songs included in Aegukchangga are songs that were composed by inserting newly made lyrics onto an existing melody, rather than composing a new melody line. The borrowed melodies include various types of music such as hymn, military songs, Changga, folk music and popular music. However, all shares a musical commonality of eventually ending up with a simple monophonic song of Changga, which is practically the most simple in terms of singing compared to harmonic songs.
      There had been no precedents of a Changga album being named and classified as a ‘Patriotic Changga’ before the Aegukchangga was published in 1916. Aegukchangga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Patriotic song’ that reinforces the national identity through adding lyrics of ‘patriotic nature’ which evokes national sentiments onto the simple monophonic melodies of Changg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16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발행된 『애국창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 편찬 배경과 체제, 그리고 수록곡의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애국창가』는 노래를 통해 민족적 저항과 단결...

      본 논문은 1916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발행된 『애국창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 편찬 배경과 체제, 그리고 수록곡의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애국창가』는 노래를 통해 민족적 저항과 단결을 이루고자 한 분명한 동기를 갖고 간행된 노래집이다. 미주지역에서 만들어졌지만, 당시 북만주, 그리고 국내에서 발행된 창가집과 서로 공유하는 애국과 항일의 정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애국창가』에 수록된 77곡을 아우를 수 있는 큰 주제는 ‘애국심의 고취’와 ‘독립의 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애국창가』의 수록곡은 창작된 곡보다는 곡조를 빌려다가 가사만을 새로 지어 만들어진 곡이 대다수를 이룬다. 차용된 곡조는 찬송가, 군가, 창가, 민요, 대중가요 등 다양한 계통을 수용하고 있지만 화성음악보다는 가창 실현의 차원에서 간결한 단선율의 노래, 즉 ‘창가’로 음악적 특징이 귀결되었다.
      1916년 발행된 『애국창가』가 나오기 이전까지는 ‘애국창가’라 이름하여 분류된 창가집의 사례는 없었다. 『애국창가』에는 형식이 단순하면서도 박절감 있는 선율단락을 지닌 곡조에 민족적 감흥을 일으킬 수 있는 ‘애국’의 가사를 입혀서 그 정체성을 확고히 한 ‘애국창가’를 탄생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동은, "항일음악 330곡집" 민족문제연구소 2017

      2 최순배, "항일운동기 창가의 연구 : 『최신창가집』의 분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3 "한국찬송가전집"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1991

      4 노동은, "한국음악문헌총목록-근대: 한국근대 음악문헌 목록(1860년대~1945년간)" 민족음악학회 (50) : 83-170, 2015

      5 문옥배, "한국교회음악 수용사" 예솔 2001

      6 박찬호, "한국가요사" 현암사 1992

      7 민경찬, "한국 근·현대예술사 서술을 위한 기초연구-해제집① 한국창가의 색인과 해제"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97

      8 강환직, "조선총독부 민족음악 통제에 관한 연구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29 (29): 7-30, 2010

      9 김경인, "조선독립창가와 일본창가의 상관성 고찰 -『최신창가집』과 『보통교육창가집』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64) : 479-500, 2014

      10 "새자료: 구한말 애국창가집" 13 : 1987

      1 노동은, "항일음악 330곡집" 민족문제연구소 2017

      2 최순배, "항일운동기 창가의 연구 : 『최신창가집』의 분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3 "한국찬송가전집" 한국교회사문헌연구원 1991

      4 노동은, "한국음악문헌총목록-근대: 한국근대 음악문헌 목록(1860년대~1945년간)" 민족음악학회 (50) : 83-170, 2015

      5 문옥배, "한국교회음악 수용사" 예솔 2001

      6 박찬호, "한국가요사" 현암사 1992

      7 민경찬, "한국 근·현대예술사 서술을 위한 기초연구-해제집① 한국창가의 색인과 해제"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97

      8 강환직, "조선총독부 민족음악 통제에 관한 연구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29 (29): 7-30, 2010

      9 김경인, "조선독립창가와 일본창가의 상관성 고찰 -『최신창가집』과 『보통교육창가집』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64) : 479-500, 2014

      10 "새자료: 구한말 애국창가집" 13 : 1987

      11 김보희, "북만주지역의 獨立運動歌謠 -1910년대 민족주의 독립운동가요를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43 : 15-49, 2008

      12 최봉룡, "북간도 한인자치운동의 효시: 간민회의 시말과 그 성격" 7 : 133-176, 2009

      13 이명화, "북간도 명동학교의 민족주의교육과 항일운동" 백산학회 (79) : 329-376, 2007

      14 "독립기념관에 소장. 등록문화재 제475호 『애국창가』. 자료번호 3-008 961-000. 가로(15cm), 세로(22.8cm), 면수(67)"

      15 구양근, "독립군의 항일노래모음 『최신창가집』" 8 : 7-8, 1995

      16 독립군가보존회, "독립군가곡집 광복의 메아리" 독립군가보존회 1982

      17 오천석, "대한국민회를 논함" 효원사학회 44 : 385-410, 2013

      18 권도희, "근대기 상업민요와 대중음악" 동양음악연구소 36 : 167-223, 2014

      19 신용하, "구한말애국창가집 해제" 13 (13): 4212-4213, 1987

      20 이수인, "개화기 창가의 주제장르적 고찰: 『최신 창가집』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14 : 331-351, 1996

      21 한철수, "獨立軍詩歌集 倍達의 脈搏 增補版" 송산 출판사 1986

      22 "海外의 韓國獨立運動史料(ⅩⅥ) 일본 篇④ 最新 唱歌集 附 樂典"

      23 宋友惠, "北間島 「大韓國民會」의 組織形態에 관한 硏究" 1 : 113-140, 1986

      24 서굉일, "北墾島民族運動의 先驅者 圭金 巖躍淵先生" 고려글방 1997

      25 민경찬, "“창가”를 다시 묻는다" 동악어문학회 (51) : 5-33, 2008

      26 김사랑, "‘문명’의 노래, 조선인을 ‘위한’ 음악교육: 1910년대 선교사가 만든 『챵가집』 분석" 음악연구소 17 (17): 35-64, 2013

      27 한국찬송가공회, "21세기 찬송가" 한국찬송가공회 2008

      28 이유기, "1910년대 하와이판 애국가에 대한 연구" 동악어문학회 (51) : 139-173, 2008

      29 권도희, "1910년대 창가와 잡가" 동악어문학회 (51) : 75-10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5-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6 0.54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