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공정무역은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조직기반전략, 인증기반전략, 지역기반전략 간의 협력과 갈등 = How has Fair Trade developed in Korea? Cooperation and conflict among organization-based, certification-based, and community-based strateg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전개되어 온 공정무역의 세 가지 발전전략을 기반으로 한국의 공정무역이 어떻게 발전해왔는가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공정무역 전략이 등장하게 된 배경 ...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전개되어 온 공정무역의 세 가지 발전전략을 기반으로 한국의 공정무역이 어떻게 발전해왔는가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공정무역 전략이 등장하게 된 배경 및 현황을 기술하고 전략간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다. 첫째, 공정무역의 세 가지 발전 전략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한국공정무역의 발전역사를 서술한다. 둘째, 한국에서 세 가지 공정무역 발전전략들이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변화해 왔는가를 분석하여 한국 공정무역의 발전과정을 설명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공정무역의 핵심 조직인 한국공정무역협의회, 국제공정무역기구 한국사무소, 한국공정무역마을위원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공정무역은 조직기반전략, 인증기반전략, 지역기반전략이 협력과 갈등을 반복하면서 발전해왔다. 둘째, 각 조직이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은 한국 공정무역의 발전을 촉진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 공정무역은 앞으로도 세 전략을 추진하는 단체들이 서로 협력하고 동시에 긴장 관계도 유지하며 발전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Fair Trade in Korea has grown based on three main Fair Trade strategies developed globally. It explains the background and the recent issues of Fair Trade in Korea by 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Fair Trade developm...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Fair Trade in Korea has grown based on three main Fair Trade strategies developed globally. It explains the background and the recent issues of Fair Trade in Korea by 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Fair Trade development strategies. The research aims are twofold. First, it describes the history of Fair Trade in Korea by elucidating three Fair Trade development strategies. Second, it sheds a light on the features of Fair Trade in Korea by examining how the three Fair Trade development strateg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changed.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the main Fair Trade organizations in Korea, namely, the Korea Fair Trade Organization, Fairtrade International Marketing Office (Fairtrade Korea), and the Korea Fair Trade Towns Steering Committe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ir Trad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s organizational-based, certification-based, and community-based strategies have repeatedly employed in the manner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Second, friction among these three strategies actually has lead to the expansion of Fair Trade in Korea. Therefore, Fair Trade in Korea is expected to be deepened and even enlarged by the recurring cooperation and tensions among the three strateg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화, "협동조합간 협동의 실천과정:두레생협의 공정무역 사례연구" 한국협동조합학회 36 (36): 93-113, 2018

      2 "헤럴드경제"

      3 "한국공정무역협의회"

      4 "한국공정무역마을위원회"

      5 정명은, "조직장, 제도적 논리 그리고 구성된 행위자 - 한국 지방정부 기금의 제도화 과정 분석 -" 한국정책학회 25 (25): 37-74, 2016

      6 "자치법규정보시스템"

      7 "이로운넷"

      8 김선화, "윤리적 소비에서 공정무역마을운동으로" (주)알마 2021

      9 홍성헌, "우리나라 대학생의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4 (14): 107-128, 2012

      10 "연합뉴스"

      1 김선화, "협동조합간 협동의 실천과정:두레생협의 공정무역 사례연구" 한국협동조합학회 36 (36): 93-113, 2018

      2 "헤럴드경제"

      3 "한국공정무역협의회"

      4 "한국공정무역마을위원회"

      5 정명은, "조직장, 제도적 논리 그리고 구성된 행위자 - 한국 지방정부 기금의 제도화 과정 분석 -" 한국정책학회 25 (25): 37-74, 2016

      6 "자치법규정보시스템"

      7 "이로운넷"

      8 김선화, "윤리적 소비에서 공정무역마을운동으로" (주)알마 2021

      9 홍성헌, "우리나라 대학생의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4 (14): 107-128, 2012

      10 "연합뉴스"

      11 "아주경제"

      12 김선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실천공동체 학습 : 포토보이스를 이용한 두레생협의 필리핀 공정무역 생산지 해외연수 사례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2 (22): 1-30, 2019

      13 "세이프넷"

      14 쿠피협동조합, "서울시 공정무역 활성화 방안" 쿠피협동조합 2017

      15 쿠피협동조합, "서울시 공정무역 현황과 과제" 쿠피협동조합 2016

      16 이상면, "사회적경제와 지역개발" 47 (47): 87-119, 2015

      17 김선화, "베트남 공정무역의 발전: 공정무역조직 사례연구" 한국동남아학회 28 (28): 1-45, 2018

      18 "라이프인"

      19 "두레생협"

      20 박수진, "농촌지역개발을 위한 역량강화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실천공동체의형성과정과 공유가치창출을 중심으로" 46 (46): 93-124, 2014

      21 "국제뉴스"

      22 "국제공정무역기구 한국사무소"

      23 박상하, "광주지역 사회적금융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47 (47): 55-86, 2015

      24 민대기, "공정무역제품의 다차원적 소비가치가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139-156, 2012

      25 장승권, "공정무역의 가치사슬과 주류화: 한국의 공정무역 사례" 국제학연구소 25 (25): 97-131, 2016

      26 쿠피협동조합, "공정무역도시 서울 3.0 도약을 위한 정책 연구" 쿠피협동조합 2020

      27 이희열, "공정무역 제품 인지도가 프랜차이즈 기업 이미지와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 8 (8): 187-209, 2012

      28 서정희, "공정무역 상품의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0 (20): 1121-1133, 2011

      29 김선화, "공정무역 비즈니스와 운동" 한울아카데미 55-85, 2020

      30 쿠피협동조합, "공정무역 도시 서울 활성화 방안" 쿠피협동조합 2018

      31 Hwang, S., "Who enables sustainable fair trade?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fair trade in Korea" 1 (1): 24-31, 2019

      32 Doherty, B., "Where now for fair trade?" 55 (55): 161-189, 2013

      33 Reed, D., "What do corporations have to do with fair trade? Positive and normative analysis from a value chain perspective" 86 (86): 3-26, 2009

      34 "WFTO-Europe"

      35 "WFTO"

      36 Allen, M, "The sage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2017

      37 Gendron, C.,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air trade : More than just a degraded form of social action" 86 (86): 63-79, 2009

      38 Hutchens, A, "The globalization of the fair trade movement" Edward Elgar 2009

      39 Fisher, E., "The Fair trade nation : Market-oriented development in devolved European regions" 71 (71): 255-267, 2012

      40 Huybrechts, B, "Social innovation through hybrid organization models" Routledge 2012

      41 Alexander, A., "Rediscovering consumer-producer involvement : A network perspective on fair trade marketing" 40 (40): 1236-1253, 2006

      42 Tallontire, A., "Partnerships in fair trade : reflections from a case study of CaféDirect" 10 (10): 166-177, 2000

      43 Barrientos, S., "Northern social movements and Fair Trade: The challenges of transforming globalization" Routledge 2007

      44 "International Fair Trade Towns Steering Committee"

      45 Wilson, B. R., "Handbook of research on fair trade" Edward Elga 2015

      46 Le Velly, R, "Handbook of research on fair trade" Edward Elgar 2015

      47 Raynolds, L. T., "Handbook of research on Fair Trade" Edward Elgar 2015

      48 Smith, A. M, "Handbook of Research on Fair Trade" Edward Elga 191-207, 2015

      49 Malpass, A., "Fairtrade urbanism? The politics of place beyond place in the Bristol Fairtrade City campaign" 31 (31): 633-645, 2007

      50 Peattie, K., "Fairtrade towns as unconventional networks of ethical activism" 153 (153): 265-282, 2018

      51 Samuel, A., "Fairtrade towns : place(ing)responsibility" 2 (2): 191-203, 2012

      52 Raynolds, L. T., "Fair/Alternative Trade: historical and empirical dimensions" Routledge 2007

      53 Grolleau, G., "Fair trading in markets for credence goods" 36 (36): 208-214, 2001

      54 Jaffee, D., "Fair trade standards, corporate participation, and social movement responses in the United States" 92 (92): 267-285, 2010

      55 Huybrechts, B., "Fair trade organizations in Belgium : Unity in diversity?" 92 (92): 217-224, 2010

      56 Anderson, M., "Fair trade and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 Exploring consumer citizenship as a driver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 56 (56): 634-651, 2018

      57 Nicholls, A, "Fair Trade: Market-Driven Ethical Consumption" Sage 2005

      58 Lyon, S., "Fair Trade Towns USA : growing the market within a diverse economy" 21 (21): 145-160, 2014

      59 "Fair Trade Advocacy Office"

      60 Bowen, G. A., "Document analysi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9 (9): 27-40, 2009

      61 Discetti, R., "Campaign spa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a power analysis of the Fairtrade Town campaign in the UK" 9 (9): 8-2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5-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gional Dvelopment Research Institute -> The Center for Regional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