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 - 증례 보고 - =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after Spinal Anesthesia - A Case Repor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9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that developed after spinal anesthesia in a female patient who had no risk factor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case reports of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that developed after spinal anesthesia in a female patient who had no risk factor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case reports of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SSH) after spinal anesthesia have been published. The incidence of SSH is much less than that of epidural hematoma.
      Materials and Methods: A 56-year-old female patient underwent arthroscopic surgery on her right knee under spinal anesthesia.
      Automate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was applied after surgery. On day 2, the patient complained of lower back pain, headache, nausea, and vomiting, but there were no neurological signs in the lower extremity. At day 5, she had a moderate fever (38.4°) and continuous nausea and vomit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conducted on day 5 and a large subarachnoid hematoma was found. We immediately performed surgical hematoma evacuation. Her low back and buttock pain improved immediately, and all symptoms disappeared in a week without any neurological sequelae.
      Results: The unusual and vague symptoms in this case made the diagnosis difficult, but spinal MRI confirmed SSH. Immediate surgical hematoma evacuation improved all symptoms and left no neurologic sequelae.
      Conclusions: SSH after spinal anesthesia may have cerebral symptoms that mimic the side effects of PCA. Early diagnosis by MRI and surgical evacuation of the SSH are a reasonable approach for this compl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증례 보고목적: 저자들은 위험 인자가 없는 한 여성 환자에게서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 사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척추 마취 후 발생한 ...

      연구 목적: 증례 보고목적: 저자들은 위험 인자가 없는 한 여성 환자에게서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 사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에 대한 사례 보고는 거의 없었다. 척추 지주막하 혈종의 유병률은 경막외 혈종보다 훨씬낮다.
      대상 및 방법: 56세 여자 환자는 척추 마취하 우측 슬관절 관절경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통증 자가 조절 장치(PCA)가 사용되었다. 수술 후 2일째 환자는요통, 두통, 메스꺼움, 구토를 호소하였으나 하지의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다. 수술 후 5일째 중등도의 발열(38.4˚C)이 발생하였고 메스꺼움 및 구토가 지속되었다. 수술 후 5일째 척추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하였고 거대 지주막하 혈종이 발견되었다. 저자들은 즉시 외과적 혈종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직후 요통과 둔부 통증이 바로 호전되었으며, 1주일 안에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모든 증상이 좋아졌다.
      결과: 본 증례는 초기에 비전형적이고 애매한 증상들로 적절한 진단이 어려웠다. 그러나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하여 척추 지주막하 혈종 진단을 확실히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즉시 외과적 혈종 제거술을 하여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모든 증상이 호전되었다.
      결론: 척추 마취 후 발생한 척추 지주막하 혈종은 통증 자가 조절 장치(PCA)의 약물 부작용과 유사한 대뇌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 검사로 조기 진단을 하고 척추 지주막하 혈종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여러 합병증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하겠다.




      약칭 제목: 척추 지주막 혈종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am DH, "Subarachnoid haematoma after spinal anaesthesia mimicking transient radicular irritation: a case report and review" 63 (63): 423-427, 2008

      2 Luo F, "Subacute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following combined spinal-epidural anesthesia treated conservatively: a case report" 24 (24): 519-520, 2012

      3 Domenicucci M, "Spinal subarachnoid hematomas: our experience and literature review" 147 (147): 741-750, 2005

      4 Sather MD,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resulting from lumbar myelography" 28 (28): 220-221, 2007

      5 Gaitzsch J,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of spontaneous origin and complicating anticoagulation. Report of four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1 (21): 534-538, 1984

      6 Koyama S,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following spinal anesthesia in a patient with HELLP syndrome" 19 (19): 87-91, 2010

      7 Sung Bae Jeon,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after spinal anesthesia" 대한마취통증의학회 64 (64): 388-389, 2013

      8 Kreppel D, "Spinal hematoma: a literature survey with meta-analysis of 613 patients" 26 (26): 1-49, 2003

      9 Horlocker TT, "Complications of spinal and epidural anesthesia" 18 (18): 461-485, 2000

      10 Bruce-Brand RA, "Acute nontraumatic spinal intradural hematoma in a patient on warfarin" 45 (45): 695-697, 2013

      1 Lam DH, "Subarachnoid haematoma after spinal anaesthesia mimicking transient radicular irritation: a case report and review" 63 (63): 423-427, 2008

      2 Luo F, "Subacute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following combined spinal-epidural anesthesia treated conservatively: a case report" 24 (24): 519-520, 2012

      3 Domenicucci M, "Spinal subarachnoid hematomas: our experience and literature review" 147 (147): 741-750, 2005

      4 Sather MD,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resulting from lumbar myelography" 28 (28): 220-221, 2007

      5 Gaitzsch J,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of spontaneous origin and complicating anticoagulation. Report of four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1 (21): 534-538, 1984

      6 Koyama S,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following spinal anesthesia in a patient with HELLP syndrome" 19 (19): 87-91, 2010

      7 Sung Bae Jeon, "Spinal subarachnoid hematoma after spinal anesthesia" 대한마취통증의학회 64 (64): 388-389, 2013

      8 Kreppel D, "Spinal hematoma: a literature survey with meta-analysis of 613 patients" 26 (26): 1-49, 2003

      9 Horlocker TT, "Complications of spinal and epidural anesthesia" 18 (18): 461-485, 2000

      10 Bruce-Brand RA, "Acute nontraumatic spinal intradural hematoma in a patient on warfarin" 45 (45): 695-697,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3 0.03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5 0.22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