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국립정신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업무환경, 자아효능감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Happiness Index among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8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motional labor, nursing work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dex and address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index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happin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motional labor, nursing work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happiness index and address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index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happiness at work. Methods: Participants were 249 nurses working in 5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s.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6 to July 30, 2016.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 22.0. Results: Mean scores were nurses` emotional labor, 3.89, nursing work environment, 2.77, self-efficacy, 3.77, and happiness index, 3.5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happiness index for: department, type of work, career length, position and payment. Happiness index was influenced by self-efficacy,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9%.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th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Additionally, developing an effective program to facilitate self-efficacy of nurses and research studies to identify effects of such a program are requi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혜숙, "카지노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15-424, 2012

      2 강기노,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 18 (18): 155-165, 2012

      3 박은진,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91-201, 2016

      4 신해진,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190-216, 2015

      5 권명진,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038-2046, 2015

      6 이승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10-20, 2008

      7 강문희, "임상간호사의 자아효능감, 간호조직문화 및 감정노동"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266-273, 2012

      8 고정옥,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50-261, 2013

      9 남현아,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9 (9): 69-79, 2014

      10 주은주,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감정노동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1 (21): 212-222, 2015

      1 신혜숙, "카지노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15-424, 2012

      2 강기노,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 18 (18): 155-165, 2012

      3 박은진,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91-201, 2016

      4 신해진,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190-216, 2015

      5 권명진,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038-2046, 2015

      6 이승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10-20, 2008

      7 강문희, "임상간호사의 자아효능감, 간호조직문화 및 감정노동"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266-273, 2012

      8 고정옥,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50-261, 2013

      9 남현아,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9 (9): 69-79, 2014

      10 주은주,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감정노동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1 (21): 212-222, 2015

      11 이미혜, "병원규모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의 비교" 간호행정학회 19 (19): 470-479, 2013

      12 남문희, "병원간호사의 행복지수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 19 (19): 329-339, 2013

      13 신조황, "노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웰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0 (20): 879-889, 2011

      14 신미경,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간호행정학회 17 (17): 158-167, 2011

      15 김인순,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 15 (15): 515-526, 2009

      16 김지혜,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영향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 25 (25): 123-132, 2016

      17 이지윤, "간호근무환경, 조직문화유형, 업무의 양과 속도가 간호사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2 (22): 119-128, 2016

      18 Ahn J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clinic nurses in a specialized hospital for canc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7

      19 Bae JL, "The degree of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es" 6 (6): 21-32, 2014

      20 J. A. Morris,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21 (21): 986-1010, 1996

      21 Van Bogaert P, "Practice environme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nurse-reported outcomes in Belgian hospital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utch adaptation of the revised nursing work index" 46 (46): 55-64, 2009

      22 Kwon SM, "Positive psychology" Hakjisa 622-, 2008

      23 Van Bogaert P, "Nurse work engagement impacts job outcome and nurse-assessed quality of care : model testing with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nurse work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5 : 1261-1271, 2014

      24 O’Halloran VE, "Improving self-efficacy in nursing research" 10 (10): 83-87, 1996

      25 Lee SJ, "Happiness index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sonality strengt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Korea University 2013

      26 Gilad Chen, "General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oward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tinction between correlated self-evaluations" Wiley-Blackwell 25 (25): 375-395, 2004

      27 Lake ET, "Development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25 (25): 176-188, 2002

      28 Kim MJ, "Controlled study of the efficacy beliefs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job stress causing factors and stress perception, satisfaction" Korea University 2003

      29 OECD, "Better Index: Create your better life index"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정신간호학회 -> 한국정신간호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82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