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주 촉석루 제영시의 제재적 성격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Topics of the Poems on the Chok-seok Pavilion in Jin-ju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촉석루 제영시는 진주 지역의 문학성을 대표하는 문학 갈래로서 인정받고 있다. 촉석루는 역사적으로 흥폐를 반복했고, 누각 존립의 실태에 따라 형상화된 시적 의미도 다양한 편폭을 지니...

      촉석루 제영시는 진주 지역의 문학성을 대표하는 문학 갈래로서 인정받고 있다. 촉석루는 역사적으로 흥폐를 반복했고, 누각 존립의 실태에 따라 형상화된 시적 의미도 다양한 편폭을 지니고 있다. 이는 촉석루 시를 이해할 때 치밀한 제재 분석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제재로서의 촉석루는 누각들의 변천 과정, 누각의 배치 형태, 누각의 심미적 요소 등의 특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이를 검토했지만, 결과가 불충분하거나 역사적 실체와 합치되지 않은 점이 더러 있다. 따라서 여러 문헌과 자료를 통해 본고에서 규명한 새로운 결과는 제재 접근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촉석루는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는데, 기존의 경우 일곱 번으로 보고 있으나 1786년과 1887년 두 차례 더 중수가 있었던 사실을 추가로 밝혔다. 이로써 18세기 이후 200여 년간의 중수 공백을 채울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성이 함락될 때 촉석루는 전소되지 않았고,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보는 것이 실제에 부합함을 알았다.
      촉석루는 단독 건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서각과 동각을 부속 누각으로 거느린 웅장한 건물 구조였음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흔히 이를 간과하고 있지만, 임란 전까지만 해도 촉석루는 쌍청당과 임경헌을 서각으로, 함옥헌과 청심헌을 동각으로 거느렸다. 부속 누각은 임란 때 모두 소실되었는데, 서각은 끝내 복구되지 않았고, 동각은 곧바로 중수되었다. 이중 청심헌은 적어도 1757년 이전에 벌써 훼철되었고, 함옥헌만 유일하게 존속되다가 20세기 초에 사라졌다. 이는 촉석루 본루만 기억되는 현재의 고정 관념과는 아주 다름을 보여준다.
      촉석루는 부속 누각의 존재로 승경에 대한 심미적 흥취가 더욱 배가되었다. 한편 임진왜란의 특수한 경험은 촉석루의 제재 영역을 확장하고 주제의식을 전환시켰다. 즉 왜적에 대한 집단적 적개심, 전후 누각 중건에 따른 희열과 민족 자부심 등은 촉석루 제재에서 발견한 새로운 인식 내용이다. 특히 임진 사적을 대표하는 의암, 의암사적비, 의기사 등에 상징화된 충의 정신은 근대에도 여전히 촉석루 제영시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는 점이다. 의암사적비는 의암 위 언덕의 비각 안에 세워져 있다. 하지만 이 비석은 원래 촉석루의 부속 누각인 동각 위에 건립되었는데, 옛 지도나 개인 일기를 통해서 그 실재를 최초로 입증했다. 이보다 약간 뒤에 나라로부터 사액을 받아 의암 위에 정려각을 건립했는데, 19세기 이후 어느 때에 현 위치로 비석을 이전함으로써 지금과 같은 의외의 형태로 되었을 뿐이다. 이로써 의기 정표로서 의암사적비는 거의 동시대에 정려각과는 따로 존재했고, 애초의 위치는 지금의 장소가 아닌 촉석루 위쪽이었음이 새롭게 드러났다. 촉석루가 역사적으로 변천한 실체에서 보듯이 제재에 대한 치밀한 분석은 작품 해석과 감상의 기초적 단계로서 의의가 있는데, 본고를 통해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부분은 앞으로도 계속 논의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ok-seok Pavilion(矗石樓) was a subject material of many poems because the Chok-seok Pavilion, located on a cliff beside the Nam River(南江) in Jin-ju(晉州), had an excellent view and historicity at various times. It is necessary to unders...

      The Chok-seok Pavilion(矗石樓) was a subject material of many poems because the Chok-seok Pavilion, located on a cliff beside the Nam River(南江) in Jin-ju(晉州), had an excellent view and historicity at various tim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Chok-seok Pavilion to appreciate highly literary poems on the Chok-seok Pavilion which is representative of Jin-ju.
      The Chok-seok Pavilion has been rebuilt nine times since it was founded about the middle of the time of Gor-yeo(高麗) dynasty at first time. Most literatures have described that the Chok-seok Pavilion was totally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second Jin-ju castle combat in 1593. It was adequate that the Chok-seok Pavilion was destroyed in part at that time.
      The Chok-seok Pavilion was a huge scale with annexes. The annexes in the east werethe Harm-ok Pavilion(涵玉軒) and Chungsim Pavilion(淸心軒).There were the Ssang-chung House(雙淸堂) and the Im-kyeong Pavilion(臨景軒) in the west at different periods. The pavilions in the west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Im-jin war(壬辰亂) have never rebuilt. The Harm-ok Pavilion continued to exit for about 400 years and, however, was disappeared at the beginning of the 20 century. This fact was mentioned in the article for the first time.
      The main themes of the poems on the Chok-seok Pavilion were the gusto of refined taste due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Pavilion and the pride of Jin-ju.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3, many poems expressed the collective hostility against the enemy Japan, the delightful feelings ab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Chok-seok Pavilion, and the ethnical pride. This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topics diversified the subjects of the works. The representatives of the characteristic change were specific None-Gae's historical relics(論介事蹟) such as the Public-spirited Rock(義巖),the Monument of the Public-spirited Rock(義巖事蹟碑),the Shrine of Public-spirited Gisaeng(義妓祠).
      They became the symbolic spaces giving literary men deep impression. Owing to this, the topics of the Chok-Seok Pavilion extended to the integrated image of a beautiful scenery and fidelity to the country and deepened the subjects of the poems on the Chok-Seok Pavil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촉석루의 변천 과정
      • 3. 촉석루의 심미적 요소
      • 4. 맺음말
      • 1. 머리말
      • 2. 촉석루의 변천 과정
      • 3. 촉석루의 심미적 요소
      •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회도서관,

      2 국립중앙도서관,

      3 조선왕조실록,

      4 金柄璘, "龍溪雅言" 국립중앙도서관 1861

      5 경성대 향토문화연구소, "論介 事蹟 연구" 신지서원 1996

      6 이순신, "亂中日記" 행복한 책읽기 2004

      7 裵? 紳, "洛川集" 경상대 문천각 1520

      8 이종문, "金之岱의 생애와 시세계" 계명한문학회 17 : 2003

      9 柳景深, "龜村集" 1516-,

      10 하강진, "퇴계 학파의 영남루 제영시에 대하여" 퇴계학부산연구원 13 : 2006

      1 국회도서관,

      2 국립중앙도서관,

      3 조선왕조실록,

      4 金柄璘, "龍溪雅言" 국립중앙도서관 1861

      5 경성대 향토문화연구소, "論介 事蹟 연구" 신지서원 1996

      6 이순신, "亂中日記" 행복한 책읽기 2004

      7 裵? 紳, "洛川集" 경상대 문천각 1520

      8 이종문, "金之岱의 생애와 시세계" 계명한문학회 17 : 2003

      9 柳景深, "龜村集" 1516-,

      10 하강진, "퇴계 학파의 영남루 제영시에 대하여" 퇴계학부산연구원 13 : 2006

      11 황의열, "촉석루 시 평설"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소 20 : 1998

      12 강희근, "진주팔경" 지식산업사 2007

      13 유승주, "진주성의 義妓 논개고 in: 최영희선생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탐구당 1987

      14 진주문화원, "진주성 文記" 2007

      15 박경원, "진주 촉석루 창건고-여말선초의 누각경영-" 한국미술사학회 165 : 1985

      16 박? 주, "조선시대의 旌表 정책" 일조각 1990

      17 이상훈, "사진으로 보는 진주의 옛 모습" 국립진주박물관 2004

      18 하강진, "밀양 嶺南樓 제영시 연구"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3 : 2006

      19 "디지털진주문화대전? http://jinju.grandculture.net???"

      20 김수업, "논개" 지식산업사 2001

      21 정동주, "논개" 한길사 1998

      22 하강진, "김해 燕子樓 제영시 연구"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0 : 2004

      23 서울대 규장각, "규장각 명품도록 (4쇄)" 2004

      24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임진왜란" 통천문화사 1998

      25 고혜령, "고려 사대부와 元 制科" 국사편찬위원회 24 : 1991

      26 "경상대학교 문천각 남명학고문헌시스템? http://nmh.gsnu.ac.kr???"

      27 金澤榮, "韶濩堂集" 1850

      28 權克中, "靑霞集" 한국문집총간 1585

      29 申維翰, "靑泉集" 한국문집총간 1681

      30 李? 陸, "靑坡集" 1438

      31 姜璲桓, "雪嶽集" 경상대 문천각 1876

      32 吳斗寅, "陽谷集" 국립중앙도서관 1624

      33 黃俊良, "錦溪集" 1517

      34 韓夢參, "釣隱集" 1589

      35 李敦模, "謹齋集" 국립중앙도서관 1888

      36 李光庭, "訥隱集" 1674

      37 成? 俔, "虛白堂集" 1439

      38 金學淳, "華棲集" 국립중앙도서관 1767

      39 丁若鏞, "與猶堂全書" 281-285, 1762

      40 崔? ?, "簡易集" 49-, 1539

      41 李? 穀, "稼亭集" 한국문집총간 1298

      42 李仁老, "破閑集"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영인 1152

      43 "矗石樓誌" 촉석문우사 1960

      44 朴遠鍾, "直庵遺集" 국립중앙도서관 1887

      45 李? 穡, "牧隱集" 1328

      46 金馹孫, "濯纓集" 1464

      47 宋秉璿, "淵齋集" 1836

      48 白文寶, "淡庵集" 1303-,

      49 成汝信, "浮査集" 1546

      50 河? 崙, "浩亭集" 1347

      51 柳遠準, "正齋集" 경상대 문천각 1899

      52 沈? ?, "樗村遺稿" 1685

      53 趙宜陽, "梧竹齋集" 국립중앙도서관 1719

      54 黃? 鉉, "梅泉集" 1855

      55 黃? 鉉, "梅泉野錄" 문학과지성사 2006

      56 洪直弼, "梅山集" 1776

      57 金? ?, "栢巖集" 1540

      58 韓浚謙, "柳川遺稿" 1557

      59 梁應鼎, "松川遺集" 1519

      60 李? 魯, "松巖集" 1544

      61 河守一, "松亭集" 1553

      62 金驥燦, "東郭遺稿" 국립중앙도서관 1748

      63 徐居正, "東文選"

      64 姜? 渾, "木溪逸稿" 17 : 1464

      65 趙性家, "月皐集" 국립중앙도서관 1824

      66 河龍杓, "月潭遺稿" 경상대 문천각 1848

      67 河達弘, "月村集" 국립중앙도서관 1809

      68 朴致馥, "晩醒集" 국립중앙도서관 1824

      69 崔光參, "晩悔堂遺集" 경상대 문천각 1741

      70 李彦迪, "晦齋集" 1491

      71 閔在南, "晦亭集" 국립중앙도서관 1802

      72 鄭光鉉, "晉陽誌續修" 개문사 1927

      73 金道洙, "春洲遺稿"

      74 鄭? ?, "明菴集" 국립중앙도서관 1683

      75 허권수, "明庵 鄭식의 生涯와 詩文學에 대한 考究" 경남문화연구원 17 (17): 61-90, 2004

      76 유몽인, "於于野談" 돌베개 2006

      77 崔源肅, "新溪集" 국립중앙도서관 1854

      78 成汝信, "成汝信, 『晉陽誌(1632)』(조선시대 사찬읍지 22, 한국인문과학원 영인, 1989)"

      79 류성룡, "懲毖錄" 서해문집 2003

      80 金安國, "慕齋集" 1478

      81 韓? 愉, "愚山集" 국립중앙도서관 1868

      82 李祥奎, "惠山集" 부산대 도서관 1846

      83 정덕선, "忠烈實錄" 진주문화원 1831

      84 金昌淑, "心山遺稿" 1879

      85 安鍾彰, "希齋集" 국립중앙도서관 1865

      86 李止淵, "希谷集" 국립중앙도서관 1777

      87 朴來吾, "尼溪集" 국립중앙도서관 1713

      88 李? 濬, "導哉日記" 국사편찬위원회 1686

      89 金熙淵, "守庵遺稿" 경상대 문천각 1895

      90 朴承任, "嘯皐集" 한국문집총간 1517

      91 李裕元, "嘉梧藁" 1814

      92 吳宖?, "叢?錄" 서울대 규장각 1834

      93 金相峻, "南坡遺稿" 경상대 문천각 1894

      94 崔益鉉, "勉菴集" 1833

      95 宋穉圭, "剛齋集" 1759

      96 金陽淳, "健翁公詩藁" 1766

      97 成煥赫, "于亭集" 경상대 문천각 1908

      98 "『高麗史』, 『朝鮮王朝實錄』, 「동아일보」 등"

      99 "『輿地圖書(1757~1765)』<경상도 右兵營ㆍ晉州>(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국사편찬위원회 영인, 1973)"

      100 朴泰茂, "『西溪集』(경상대 남명학연구소, 『국역 서계선생집』, 가람, 2008)"

      101 "『矗營先生案』(국립중앙도서관)"

      102 李秉延, "『朝鮮?輿勝覽(1938)』<진주군>(조선환여승람 5, 한국인문과학원 영인, 1993)"

      103 "『晉陽誌(1924)』ㆍ『晉陽續誌(1932)』ㆍ『晉陽續誌(증보, 1967)』(진양문화원, 『국역 晉陽誌』, 1991)"

      104 "『新增東國輿地勝覽』 권30<진주목>, 권26<밀양도호부>(민족문화추진회 역, 1969)"

      105 김범수, "「촉석루 창건고」, 『진양문화』4, 진양문화원, 1993"

      106 김경진, "「晉陽城義妓捨生」, 『靑邱野談』권3(『한국문헌설화전집』2,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편, 태학사, 1981)"

      107 兪好仁, "?谿集" 1445

      108 李光胤, "?西集" 국립중앙도서관 1564

      109 김영미, "18세기 전반 향촌 양반의 삶과 신앙-이준의 ‘도재일기’를 중심으로 in: 조선 후기 지식인의 일상과 문화" 이화여대 출판부 2007

      110 김준형, "1862년 진주농민항쟁 in: 진주문화를 찾아서 4" 지식산업사 2001

      111 "(慶尙)道先生案" 서울대 출판부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