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방식에 관한 탐색적 논의 = A Study on Convergence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09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방식과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색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세계시민성을 지닌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통...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방식과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색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세계시민성을 지닌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통합적인 논의의 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련 국내외선행 자료 및 각종 문헌을 분석하였고, 환경, 사회·문화, 경제, 시민교육 등의 영역별로 구성된 9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두 가지 교육 간의 연계 방식 및 연계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고, 질적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Nvivo 10을 사용하여 코딩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들은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간의 공통점으로 궁극적인 교육적 지향점과 교육내용 및 영역의 유사성을 언급한 반면, 차이점으로는 강조점, 초점, 근본적인 핵심 전제가 다르다고 지적하였다. 전문가들이 주장한 두 가지 교육 패러다임 간의 연계 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수 있다.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안,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안, 각자의 상호보완성을 인정하되 독립적으로 교육하는 안, 융합적인 통합을 실시하는 안이다. 또한 각각의 연계 방식과 관련하여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open the discussion of what educational approaches are supposed to achieve to foster citizens with global citizenship that might needed in order to support a sustainable society, a convergence that connect education for sustainabl...

      This article aims to open the discussion of what educational approaches are supposed to achieve to foster citizens with global citizenship that might needed in order to support a sustainable society, a convergence that conne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paper analyzes a part of the research in the area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uthors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9 experts engaged in fields of environmental, sociocultural, economic, and civic educational. We explores their perspectives on the convergence, an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paradigms as well as possible forms and ways for their connection. The data is managed, coded, and analys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software NVivo 10. Several main themes on the similarities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summarized as parallelism in their educational orient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areas; whereas that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such as their educational emphasises, focuses, and core premises. The possible forms in connecting two educational paradigms are condensed into four approaches; for example, an approach for connecting the two relatively stres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 approach for relatively focusing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approach for teaching them separately in noticing their co-relatedness, and an approach for integrating them. Several ways for connecting the two educational paradigms are also mentio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경, "한국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 분석: 학교급별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 교육연구소 16 (16): 157-179, 2015

      2 문현병,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회비판이론" 동녘 1993

      3 김진희, "평화와 협력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 2015 세계교육회의(WEF 2015) 의제 형성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4 채보미, "초등 사회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5 한상철, "청소년의 글로벌역량개발을 위한 학교 밖 활동의 중요성과 과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91-110, 2009

      6 김다원, "청소년 글로벌 리더십 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논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 및 교육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477-492, 2011

      7 허준,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담론의 평생교육적 함의"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23-44, 2015

      8 박성현,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UN의 밀레니엄 발전 목표(MDGs)와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에 관한 고찰"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529-542, 2014

      9 이선경,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회의의 성과와 국내과제" 42-49, 2009

      10 지은림,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인 탐색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15-134, 2007

      1 이은경, "한국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 분석: 학교급별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 교육연구소 16 (16): 157-179, 2015

      2 문현병,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회비판이론" 동녘 1993

      3 김진희, "평화와 협력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 2015 세계교육회의(WEF 2015) 의제 형성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4 채보미, "초등 사회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5 한상철, "청소년의 글로벌역량개발을 위한 학교 밖 활동의 중요성과 과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91-110, 2009

      6 김다원, "청소년 글로벌 리더십 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논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 및 교육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477-492, 2011

      7 허준,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담론의 평생교육적 함의"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23-44, 2015

      8 박성현,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UN의 밀레니엄 발전 목표(MDGs)와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에 관한 고찰" 한국품질경영학회 42 (42): 529-542, 2014

      9 이선경,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회의의 성과와 국내과제" 42-49, 2009

      10 지은림,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인 탐색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15-134, 2007

      11 "세계교육포럼"

      12 유네스코, "글로벌시민교육: 21세기 새로운 인재 기르기" 2013

      13 노상충, "글로벌 역량 척도(GCS)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5 (25): 801-831, 2012

      14 이관춘, "글로벌 시대의 시민청소년 역량 : 행복을 위한 적극적 시민성을 중심으로" 2 (2): 5-29, 2011

      15 UNESCO, "Shaping the Future We Want: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2005-2014), Final Report"

      16 UNESCO, "Shaping the Education of Tomorrow: 2012 Report on the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7 UNESCO, "Review of Contexts and Structur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8 Vladimirova, K., "Promoting Climate Change Awareness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2015

      19 김진희,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59-88, 2015

      20 Dudziak, E. A.,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long learning in Latin America : the challenge to build social sustainability" 23 (23): 43-47, 2007

      21 Shultz, L., "Educating for Global Citizenship: conflicting agendas and understandings" 53 : 248-258, 2007

      22 Misiaszek, G. W., "Ecopedagogy and Citizenship in the Age of Globalisation : connections between environmental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save the planet" 50 (50): 280-29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