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연애 비선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188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생의 연애를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적응과 발달을 돕기 위해 연애 비선택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 비선택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생의 연애를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적응과 발달을 돕기 위해 연애 비선택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 비선택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중심개념에 대해 6개의 하위영역 그리고 2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연애비선택에는 마음에 드는 상대가 없는 것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애 비선택의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 연애가 밀리고 연애에 특별한 가치를 두지 않으며 연애경험이 부정적으로 지각되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연애 비선택의 결과로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고 자유로움을 얻을 수 있었으며, 연인의 빈자리나 주변사람의 소중함을 느끼기도 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연애 비선택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n non-selection of romance among college students. A deep understand would lead us to help their adaptation and development. For this, we interviewed 12 people who chose to be single and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n non-selection of romance among college students. A deep understand would lead us to help their adaptation and development. For this, we interviewed 12 people who chose to be sing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6 sub-domains and 27 categories have been drawn under 3 core ideas in total. First,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ir non-selection of romance as temporary because they had no one to like. Second, during the non-selection of romance, romance was out of priority due to the situation without composure for participants. Also, they didn’t place much value on romantic relationship and perceived the experience of past romance negatively. Third, they were focused on themselves and felt free, and they felt the emptiness of their lover and the importance of their surroundings by not selecting rom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은,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연애 담론과 양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 G. Anthony,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2001

      3 권석만, "현대 성격심리학 :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활용" 학지사 [서울] 2015

      4 백진아, "한국의 가족 변화: 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204-224, 2009

      5 손지성, "한국 빈곤층 남성들의 연애와 결혼 포기에대한 연구 : 빈곤 경험과 생계부양 책임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7

      6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활동현황" 14 : 89-96, 2011

      7 김난도, "트렌트코리아 2019 : 서울대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9전망" 미래의창 2018

      8 김명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73-594, 2017

      9 이다혜, "청년세대의 연애상담 리얼리티 텔레비전수용에 관한 연구 - <마녀사냥>과 <김제동의 톡투유-걱정 말아요 그대>를 중심으로" 우리춤연구소 13 (13): 87-122, 2017

      10 S. Coontz, "진화하는 결혼" 작가정신 2009

      1 김주은,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연애 담론과 양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 G. Anthony,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2001

      3 권석만, "현대 성격심리학 :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활용" 학지사 [서울] 2015

      4 백진아, "한국의 가족 변화: 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204-224, 2009

      5 손지성, "한국 빈곤층 남성들의 연애와 결혼 포기에대한 연구 : 빈곤 경험과 생계부양 책임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7

      6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활동현황" 14 : 89-96, 2011

      7 김난도, "트렌트코리아 2019 : 서울대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9전망" 미래의창 2018

      8 김명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73-594, 2017

      9 이다혜, "청년세대의 연애상담 리얼리티 텔레비전수용에 관한 연구 - <마녀사냥>과 <김제동의 톡투유-걱정 말아요 그대>를 중심으로" 우리춤연구소 13 (13): 87-122, 2017

      10 S. Coontz, "진화하는 결혼" 작가정신 2009

      11 노안영, "인간 이해 및 성장을 위한 성격심리학" 학지사 2003

      12 김광은, "연애관계에서 성인 애착 유형 및 요인에 따른 관계 만족"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33-247, 2005

      13 박현우, "연애경험을 통한 대학생의 자기발견 및 확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자기대상과 관계적 자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33-65, 2019

      14 김효진, "신자유주의적 상황 아래 대학생의 연애와 생애기획 : 저소득층 '명문대생'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5 김은아, "신자유주의 시대 고학력 20대 여성의 '연애 스펙' 관리와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6 오선영, "성인기 애착유형에 따른 남녀 대학생의 데이트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 11 (11): 25-57, 2006

      17 장은지, "성인 초기의 결혼관과 연애관 분리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

      18 차주환, "삼포(三抛)세대 관련 조사" ㈜마크로밀엠브레인 108-136, 2014

      19 김민희, "부모-자녀 관계의 질 및 외모만족도와 대학생의 이성관계 질 간의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0 엄혜정,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삼인군 경험이 자아존중감 및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4 (44): 137-152, 2006

      21 이인재, "대학생의 자존감과 연애 관계만족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179-198, 2015

      22 오세일, "대학생의 연애와 행복 : 문화 레퍼토리로서 사랑, 진정성과 성찰성" 한국사회이론학회 (50) : 207-246, 2016

      23 윤영준, "대학생의 연애경험과 일상적 자아의 재구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24 한금윤, "대학생의 연애, 결혼에 대한 의식과 문화 연구 -언론보도와 대학생의 '자기서사' 쓰기의 간극을 중심으로-" 인간학연구소 (28) : 7-30, 2015

      25 이은주, "대학생의 연애 경험을 통한 사회적 관계 맺기에 관한 연구" 61-70, 2017

      26 김희경,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2 (2): 1-21, 2012

      27 배성희,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외로움과의 관계: 거절민감성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355-375, 2016

      28 양동옥, "대학생들의 ‘썸 문화’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선택과 양가적 행위성" 여성학연구소 10 (10): 83-120, 2017

      29 Illouz, Eva, "낭만적 유토피아 소비하기: 사랑과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이학사 2014

      30 신혜림, "고학력 결혼적령기 커플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의미 및 젠더 정체성"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77-98, 2016

      31 김정영, "‘나’ 의 성장과 경험으로서 연애의 재구성: JTBC <마녀사냥> 분석을 통해 본 청년 세대의 연애 담론의 풍경"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45-81, 2014

      32 "https://www.20slab.org/archives/489"

      3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6495 &cid=43667&categoryId=43667"

      34 "https://stdict.korean.go.kr"

      35 "https://namu.wiki/w/연애"

      36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 l?idxno=441441"

      37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15 206622424960&mediaCodeNo=258"

      38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37508"

      39 J. J. Arnett, "Emerging adulthood :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55 (55): 469-480, 2000

      40 C. E. Hill,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An update" 52 (52): 196-205, 2005

      41 심은정, "20대를 위한 심리학 : 청년 성장 프로젝트" 시그마프레스 2018

      42 이소영,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