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모바일 미디어의 어포던스 형성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 Infortainment Design for the Formation of the Affordance of Mobile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9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의 모바일 미디어 환경은 기기간의 융합과정이 빠르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정보콘텐츠의 형태도 다양하게 파생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개인을 대상으로 차별적이고 ...

      현재의 모바일 미디어 환경은 기기간의 융합과정이 빠르고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정보콘텐츠의 형태도 다양하게 파생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개인을 대상으로 차별적이고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호작용을 통한 이용자의 선택과 참여가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에게 더욱 감각적이고 자연스러운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연구에 앞서 기술의 발전과 사용 환경의 변화에 따른 모바일 미디어의 특성과 사용성을 살펴보고, 정보콘텐츠의 접근과정에 따른 인지적 측면과 수용 및 반응 또, 그로인한 작용 및 상호작용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지각을 통한 행동 가능성의 어포던스 형성 요인과 경험적 측면의 제공이라는 인포테인먼트의 속성 및 디자인요인에 관한 개념을 선행연구를 통해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포던스 형성 요인과 인포테인먼트의 디자인요인이 서로 개념적 연결성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효율적인 인포테인먼트 형성을 위한 디자인 요소들과 그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어포던스 요인의 관계성을 형성하여,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정보 콘텐츠의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모형을 재정립하였다. 모바일 미디어를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형성과정에서 정보콘텐츠의 사용성을 유도할 수 있는 지각적 어포던스와 그로 인해 발생되는 사용자의 경험적 측면인 인포테인먼트는 모바일 미디어의 정보콘텐츠 구성과 디자인개발 단계에서부터 함께 고려되어야할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모바일 미디어의 사용성은 정보의 이해과정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한 행동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어포던스 형성요소를 바탕으로 인포테인먼트의 디자인요인을 확장하여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정보콘텐츠의 수용단계 이전에 고려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연구를 통한 디자인모형을 기준으로 제공하고자하는 콘텐츠의 효율적인접근 방법과 디자인 구축단계의 방향성을 설정하여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vergence of devices is fast and diversified in the present mobile media environment, and various information contents have been created at the same time. Such an environment can provide distinctive and advanced services, and the users participa...

      The convergence of devices is fast and diversified in the present mobile media environment, and various information contents have been created at the same time. Such an environment can provide distinctive and advanced services, and the users participate and make their choices more actively ever. Therefore,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providing sensational and natural communications environment through mobile media is important. Prior to the use of advances in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ook and usability of mobile media properti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tent of the access process and the acceptance and response and cognitive aspects, and the resulting effects and a lot of interactivity affect perception is likely to act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Affordance factors and empirical aspects of the provision of infotainment on the properties and design factors leading to the concept through the study summarized. Based on those findings, we Affordance form factors and infotainment design factors other conceptual connectivity that you have to verify and research results, efficient infotainment for the formation of the design elements and their previous prerequisite Affordance factor relationship by forming , the information content through mobile media infotainment design model was refreshed. Perceptive affordance can lead to the use of information contents in the process of forming communications using mobile media, and it can also bring about infortainment, an empirical aspect of the users. Both affordance and infortainment are the primary factors which must be considered when forming information contents anddeveloping designing of mobile media. Thus, the usability of mobile media must not stay at the phase of understanding information, but be considered and applied before the acceptance phase of information contents coming with mobile media by expanding the infortainment design based on the affordance, which causes users to conduct particular actions, Through research based design model to provide effective approach of the content and design by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build phase so as to ensure the usability will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가영, "집단소통(Collective Communication)을 위한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의 유희적 시각표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영호,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잠유성의 재해석과 그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3 강성중, "정보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4 강현구, "인포테인먼트 형 만화의 새로운 가능성" 인문콘텐츠학회 (12) : 99-116, 2008

      5 오병근, "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의 개념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229-240, 2006

      6 김슬기, "인포테인먼트 관점에서 본 창의적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5 : 2009

      7 차현숙,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인포테인먼트 컨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6) : 367-374, 2007

      8 오병근, "엔터테인먼트 속성과 디자인요인과의 상관성" 한국인포디자인학회 10 : 2006

      9 김성곤, "어포던스를 적용한 제품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83-90, 2009

      10 민병택, "어포던스 디자인을 적용한 스마트공간 구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123-133, 2008

      1 이가영, "집단소통(Collective Communication)을 위한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의 유희적 시각표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영호,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잠유성의 재해석과 그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3 강성중, "정보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4 강현구, "인포테인먼트 형 만화의 새로운 가능성" 인문콘텐츠학회 (12) : 99-116, 2008

      5 오병근, "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의 개념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229-240, 2006

      6 김슬기, "인포테인먼트 관점에서 본 창의적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5 : 2009

      7 차현숙,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인포테인먼트 컨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6) : 367-374, 2007

      8 오병근, "엔터테인먼트 속성과 디자인요인과의 상관성" 한국인포디자인학회 10 : 2006

      9 김성곤, "어포던스를 적용한 제품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83-90, 2009

      10 민병택, "어포던스 디자인을 적용한 스마트공간 구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123-133, 2008

      11 오병근, "사용자 경험중심의 정보디자인체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2 조동희, "사용자 경험 디자인과 미니멀리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8 (8): 145-154, 2008

      13 김희철, "보이지 않는 컴퓨터" 울력 2006

      14 강윤화, "메타분석을 이용한 모바일미디어 어포던스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6-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시각디자인학회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4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