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 못하-’ 구성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a mo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한국어의 ‘못’ 부정에 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못’ 부정은 형식에 있어 단형부정문과 장형부정문을 이룰 수 있는데, 흔히 ‘못’의 장형부정문이라고 하면 ...

      지금까지 한국어의 ‘못’ 부정에 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못’ 부정은 형식에 있어 단형부정문과 장형부정문을 이룰 수 있는데, 흔히 ‘못’의 장형부정문이라고 하면 ‘-지 못하-’ 형식만을 떠올린다. 그러나 ‘그 사람은 냉정하다 못해 비정하다.’라는 문장이 보여주듯이 ‘못’ 장형부정문의 형식에는 ‘-지 못하-’ 외에 ‘-다 못하-’도 존재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동사와 결합하는지, 형용사와 결합하는지에 따라 ‘못’의 의미를 ‘불능(不能)’과 ‘불급(不及)’으로 보았다. 그러나 ‘못’이 포함된 ‘-다 못하-’ 구성의 의미는 ‘불능’이나 ‘불급’으로 해석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가 희다 못해 파랗다.’에서처럼 ‘-다 못하-’ 구성의 의미는 ‘불능’이나 ‘불급’의 의미로 해석하기 어렵다. 또한 선행 명제에 대한 부정에 있어 ‘-다 못하-’ 구성이 참여한 문장에서는 ‘-다 못하-’ 구성을 통해 선행 명제가 부정되는 경우가 있지만 선행 명제 자체가 부정되지 않고, 선행 명제의 외적인 부분이 부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거의 다루지 못했던 ‘-다 못하-’ 구성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21세기 세종계획 균형 말뭉치에 수록된 자료를 활용하여 ‘-다 못하-’ 구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 못하-’ 구성은 ‘불능(不能)’이나 ‘과도(過度)’의 의미를 가지며, 의미에 따라 일반적 부정으로서의 ‘-다 못하-’ 구성과 상위 언어적 부정으로서의 ‘-다 못하-’ 구성으로 나뉘어 볼 수 있다. 통사적 특징에 있어 두 부류의 ‘-다 못하-’ 구성은 문장에서 종결부에 위치할 수 없고 연결 구성이나 수식 구성만을 이룰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선, 후행절의 주어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용언 어간 제약, 부정 극어와의 공기 여부, 그리고 ‘선행 용언 어간 + -다’의 중첩 및 부정 서술어 ‘못하-’의 생략 가능성에 있어 두 가지의 ‘-다 못하-’ 구성은 구별된 통사적 특징을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da mota-’ and analyse the syntactic properties according to its different meanings. Specifically, the meaning of ‘-da mota-’ can be regarded as ‘can not’ or ‘exceed the degree of 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da mota-’ and analyse the syntactic properties according to its different meanings.
      Specifically, the meaning of ‘-da mota-’ can be regarded as ‘can not’ or ‘exceed the degree of standard’. When used with the meaning of ‘can not’(here we mark it as ‘-da mota-1’), it can usually be replaced by the construction of ‘-ji mota-’, and it appears the feature of typical negation in Korean. In contrast, when used with the meaning of ‘exceed the degree of standard’(marked as ‘-da mota-2’), it can not be changed into other constructions. The construction of ‘-da mota-2’ appears the features of metalinguistic negation.
      Concerning on the syntactic properties of these two categories, both of them should have the same subject of antecedent clause and following clause, and they only permitted to be placed in the middle of a sentence rather than at the end. However, there are distinctions between ‘-da mota-1’ and ‘-da mota-2’. Firstly, the predicate of ‘-da mota-1’ is required to be verb only, but ‘-da mota-2’ without any restriction. Secondly, in the sentence which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da mota-1’, it is available to use some of the negative polarity item(NPI) such as ‘do mu ji’ or ‘do jeo hi’, but it is unavailable in the sentence which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da mota-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黄衍, "화용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2 김동식, "현대국어 부정법의 연구" 서울대학교 1980

      3 이은섭, "현대국어 부정문의 통사 구조" 서울대학교 1996

      4 홍사만, "한국어의 특수조사와 일본어의 부조사와의 대조연구 (3) - ‘극단예시’ 어류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과학회 2 : 115-133, 1982

      5 김송희, "한국어의 비전형적인 부정 구성 연구 : 상위언어적 부정 및 부정 아닌 부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4

      6 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7 백봉자, "한국어 문법 사전"

      8 김수정,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2003

      9 천현진, "척도상의 함축에 관한 담화표상이론적 접근" 서울대학교 2004

      10 요시모토하지메, "연결어미 ‘-다가’의 기능과 문법적 제약" 한국어교육학회 (137) : 213-235, 2012

      1 黄衍, "화용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2 김동식, "현대국어 부정법의 연구" 서울대학교 1980

      3 이은섭, "현대국어 부정문의 통사 구조" 서울대학교 1996

      4 홍사만, "한국어의 특수조사와 일본어의 부조사와의 대조연구 (3) - ‘극단예시’ 어류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과학회 2 : 115-133, 1982

      5 김송희, "한국어의 비전형적인 부정 구성 연구 : 상위언어적 부정 및 부정 아닌 부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4

      6 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7 백봉자, "한국어 문법 사전"

      8 김수정,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2003

      9 천현진, "척도상의 함축에 관한 담화표상이론적 접근" 서울대학교 2004

      10 요시모토하지메, "연결어미 ‘-다가’의 기능과 문법적 제약" 한국어교육학회 (137) : 213-235, 2012

      11 최정진, "연결어미 '-어다가'와 '-어다'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12 김정란, "상위언어적 부정의 연구: 부정의 이중성인가 표상의 이중성인가?"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49-63, 2013

      13 최윤희, "상위언어적 부정의 SN 담화표지 - 한국어 대화상에서의 반박 기능을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163-190, 2008

      14 임홍빈,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1998

      15 이정민, "두 가지 부정 및 부정극성과 다른 상위언어적 부정의 부사어 고찰" 한국언어학회 35 (35): 817-836, 2010

      16 윤평현, "국어의 전환관계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55) : 73-102, 2005

      17 임홍빈,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립국어원 10 : 72-99, 1987

      18 李昌勇, "국어 부정문 연구 : 「-지 않-」「-지 못하-」의 쓰임을 중심으 로" 세종대학교 1990

      19 이수현, "국어 부정 극어에 대한 고찰" 전남대학교 2003

      20 정의철, "국어 극어의 허가 양상 연구 : (비)진언성 이론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2013

      21 赵旻燕, "漢語元語否定制約" 华中科技大学 6 : 58-64, 2007

      22 김동식, "否定 아닌 否定" 서울대학교 언어연구소 6 (6): 99-116, 1981

      23 이지영, "‘못’과 결합하는 형용사의 의미 특성" 국어국문학회 136 (136): 163-192, 2004

      24 윤정기, "‘-자’와 ‘-자마자’의 상관성 고찰" 한국언어문학회 (74) : 91-118, 2010

      25 H. -K, Lee, "Presupposition and implicature under negation" 37 (37): 595-609, 2005

      26 Horn, L., "On the Semantic Properties of Logical Operators in English"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72

      27 Horn, L., "Metalinguistic Negation and Pragmatic Ambiguity" 61 : 121-174, 1985

      28 C, Lee, "Information Structure in PA/SN or Descriptive/Metalinguistic Negation: With Reference to Scalar Implicatures" 10 : 33-74, 2010

      29 Horn, L., "A natural History of Neg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30 이윤나, "'-지 못하-'와 통합하는 한국어 형용사 연구" 울산대학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