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V Program's Engagement on Advertising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2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에 대한 정성적 분석의 중요성이 더해짐에 따라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인...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에 대한 정성적 분석의 중요성이 더해짐에 따라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인게이지먼트의 개념과 특징 등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둘째,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광고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하고 셋째, 광고혼잡도와 TV광고 태도에 따라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TV프로그램의 집중도, 관심도, 만족도에 대한 측정치인 인게이지먼트가 높은 프로그램에 노출된 광고는 인지도, 제품/서비스 관심도, 제품/서비스 구입의향의 광고효과에 있어서 인게이지먼트가 낮은 프로그램에 비하여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는 광고인지도에 있어서 광고혼잡도와 TV광고에 대한 태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은 경우에는 광고혼잡도가 적을수록, TV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인게이지먼트가 낮은 프로그램에 비해 광고인지도 유발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와 TV를 대상으로 인게이지먼트 개념을 적용해 광고효과와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최초의 시도로써, 이에 대한 이론적 증명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qualitative media evaluation indication, 'media engagement', It places data from a survey of 4,200 Korean TV viewers. Based on the data, the study seeks to find how the engagement affects consu...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qualitative media evaluation indication, 'media engagement', It places data from a survey of 4,200 Korean TV viewers. Based on the data, the study seeks to find how the engagement affects consumer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ways. It also examines how the relation between the engagement and the advertising effects varies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clutters and the viewers' attitudes toward TV ads in general. The survey indicates that a group with high level of concentration, interest and satisfaction about the TV programs show more advertising effects than a low level group does. In detail, the high level group shows more advertising recognitions, interests for the advertised products/services and the willingness to purchase them.
      Another finding is that the engagement level, is affected by the advertising clutters and the viewers' attitudes toward TV ads. Especially, in the highly engaged group, low clutters and positive attitudes better help to raise the ads recognition than in the lowly engaged group. This study is a first attempt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he TV program engagement and the advertising effects based on a survey of Korean TV viewers, It aims to provide with theoretical verif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realm of advertising effect measurement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웅, "프로그램 품질평가지수(QI) 개발 연구결과" 한국언론학회-문화방송 2003

      2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12 (12): 165-189, 2001

      3 박현수, "텔레비전 광고에서 혼잡도(clutter)와 스플릿(Split) 및 반복 광고 유형이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311-327, 2005

      4 이경렬, "인터넷 문맥광고(contextual ad)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1 (21): 176-216, 2007

      5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6 김재휘, "인터넷 광고 혼잡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배너광고의 수와 침입성을 중심으로" 12 (12): 97-114, 2001

      7 한국방송광고공사, "인게이지먼트를 활용한 광고효과조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8

      8 양윤직, "인게이지먼트, 소비자 관심의 정성적 측정" 12 : 99-103, 2007

      9 김봉현, "위장광고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사형 광고를 중심으로" 31 : 279-312, 1996

      10 박원기, "우리나라 TV광고의 혼잡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179-206, 2003

      1 이준웅, "프로그램 품질평가지수(QI) 개발 연구결과" 한국언론학회-문화방송 2003

      2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12 (12): 165-189, 2001

      3 박현수, "텔레비전 광고에서 혼잡도(clutter)와 스플릿(Split) 및 반복 광고 유형이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311-327, 2005

      4 이경렬, "인터넷 문맥광고(contextual ad)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1 (21): 176-216, 2007

      5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6 김재휘, "인터넷 광고 혼잡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배너광고의 수와 침입성을 중심으로" 12 (12): 97-114, 2001

      7 한국방송광고공사, "인게이지먼트를 활용한 광고효과조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8

      8 양윤직, "인게이지먼트, 소비자 관심의 정성적 측정" 12 : 99-103, 2007

      9 김봉현, "위장광고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사형 광고를 중심으로" 31 : 279-312, 1996

      10 박원기, "우리나라 TV광고의 혼잡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179-206, 2003

      11 김요한, "신문광고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64 (64): 9-33, 2004

      12 소현진,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8) : 115-142, 2008

      13 장준천, "소비자 탐구의 새로운 접근법, 인게이지먼트" 18-21, 2008

      14 심미선, "방송수용자의 프로그램 품질에 대한 이해와 평가 초점집단토론(FGD)을 이용한 프로그램 품질평가 차원의 재구성" 한국방송학회 17 (17): 234-263, 2003

      15 김재휘, "방송광고 형식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 중간광고의 효과 연구" 한국광고업협회 1999

      16 강형철, "방송 프로그램의 공익성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17 이귀옥, "다매체 동시이용 패턴에 따른 광고효과 측정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8

      18 조재영, "광고혼잡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 대학생의 혼잡지각과 태도회피 행위의 관계를 중심으로" 1 : 211-229, 2000

      19 조정식, "광고의 혼잡효과와 광고재인(Recognition):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3) : 89-102, 1999

      20 정성호, "광고소비자의 광고인식에 대한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6 (16): 251-273, 2005

      21 홍종필, "광고 혼잡도와 웹 콘텐츠 관여도에 따른 인터넷 배너광고의 기억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7 (7): 401-431, 2006

      22 Kneale, D., "Zapping of TV Ads Appears Pervasive: Study Details Viewing Habits to the Second" 29 : 1988

      23 Kaplan, B. M., "Zapping - The Real Issue in Communication" 25 : 9-12, 1985

      24 Cho,C., "Why Do People Avoid Advertising on the Internet?" 33 (33): 89-97, 2004

      25 Danaher, P. J., "What Happens to Television Ratings during Commercial Breaks?" 35 (35): 37-47, 1995

      26 Marc, Marcel, "Using Readership Quality in Magazine selection" 6 (6): 9-13, 1996

      27 Siddarth, S., "To Zap of Not to Zap: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Channel Switching During Commercial" 17 (17): 124-138, 1998

      28 Ray, M. L., "Three Prescriptions for Clutter" 26 (26): 69-77, 1986

      29 IBM, "The end of advertising as we know it"

      30 Stayman, D. M., "The Impact of Repetition on Specific Feeling Responses to Advertising and Their Relationship to Ad Effectiveness" 1987

      31 Malthouse, E, Calder, "The Effects of media Context Experience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34 (34): 7-7, 2007

      32 Houston, F. S., "The Determinants of Advertising Page Exposure" 13 (13): 27-33, 1984

      33 Krugman, Herbert E., "Television Program Interest and Commercial Interruption: Are commercials on interesting programs less effective?" 23 (23): 21-23, 1983

      34 홍재욱, "TV 광고의 길이와 혼잡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7 (7): 155-183, 1996

      35 Clancy, K. J., "TV Commercial Recall Correlates" 11 (11): 18-20, 1971

      36 ARF, "Statement by Joseph Plummer on behalf of the Advertising Research Foundation"

      37 Mord, Marvin S., "Shorter Units: Risk-Responsibility-Reward" 25 (25): 9-19, 1985

      38 Brown, T., "Reassessing the Impact of Advertising Clutter" 20 (20): 138-146, 1993

      39 Shavitt, S., "Public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More Favorable Than You Might Think" 38 (38): 7-22, 1998

      40 Speck, P. S.,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26 (26): 61-76, 1997

      41 강남준, "PSI 척도 개선 및 활용방안에 대한 정책 제언"

      42 Ha,L, "Observations: Advertising Clutter in Consumer Magazines: Dimensions and Effects" 36 (36): 76-84, 1996

      43 Advertising Age, "OMD proves the power of engagement in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24 (24): 665-694, 2000

      44 Advertising Age, "NBC to guarantee Audience Engagement for Its Programming"

      45 Mediaweek, "NBC Gives Toyota Engagement Gurantees"

      46 Ephron. E., "Media Planning. India: The ICFAI University Press Eubank, Sandy. Elevating Engagement above the Silos: TV, Print and the Internet" 2006

      47 Broadcast, "Measuring Engagement"

      48 Ducoffe, R. H., "How Consumers Assess the Value of Advertising" 17 (17): 1-18, 1995

      49 Alwitt, L. F., "Functional and Belief Dimensions of Attitudes to Television Advertising: Implications for Copytesting" 32 (32): 30-43, 1992

      50 Calder Bobby, "Experiential Engagement with Online Content Websites and the impact of cross-media usage" 2005

      51 Aaker, D. A., "Evaluating Vehicle Source Effects" 12 (12): 11-16, 1972

      52 Calder, B. J., "Engagement with Online media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2008

      53 Webb, P. H., "Effects of TV Clutter" 19 (19): 7-12, 1979

      54 Ha, Louisa, "Does Advertising Clutter Have Diminishing and Negative Returns?" 26 (26): 31-42, 1997

      55 Kilger, M., "Do measures of media engagement correlate with product purchase likelihood" 313-325, 2007

      56 James, W. L., "Do Overall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ffect Involvement with Specific Advertisements?" 33 (33): 78-83, 1993

      57 Cronin, J. J., "Discrimination vs. Avoidance: Zipping of Television Commercials" 21 : 1-7, 1992

      58 김요한, "DMB 광고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46-79, 2007

      59 김요한, "DMB TV와 고정형 TV의 광고에 대한 태도 비교 분석" 한국방송광고공사 (76) : 29-54, 2007

      60 Norris, C. E., "Context effects on recall and recognition of magazine Advertisement" 21 (21): 38-39, 1992

      61 Aylesworth, Andrew B., "Context Is Key: The Effect of Program-Induced Mood on Thoughts About the Ad" 27 (27): 17-31, 1998

      62 Elliott, M. T., "Consumer Perceptions of Advertising Clutter and Its Impact across Various Media" 38 : 29-41, 1998

      63 Webb, P. H., "Consumer Initial Processing in a Difficult Media Environment" 6 : 225-236, 1979

      64 Kent, R. J., "Competitive versus Noncompetitive Clutter in Television Advertising" 33 (33): 40-46, 1993

      65 Kent, R. J., "Competitive Clutter in Network Television Advertising: Current Levels and Advertiser Responses" 35 (35): 49-57, 1995

      66 Moriarty, S. E., "Commercial Breaks: A Viewing Behavior Study" 71 : 346-355, 1994

      67 Bahary, "Are you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an engagement based planning approach in print" 137-142, 2005

      68 Ducoffe, R. H.,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36 : 21-35, 1996

      69 Wang, A., "Advertising Engagement: A driver of message involvement on message effects" 46 (46): 355-368, 2006

      70 Mehta, A., "Advertising Attitude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40 (40): 67-72, 2000

      71 Andrew, Craig,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he Invovement Construct in Advertising research" 19 (19): 27-40, 1990

      72 Malthouse. E, "A Day In The Life.." WM3-Worldwide Muti Media Measurement 2008 109-125, 2008

      73 김상훈, "15초 TV광고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11 : 272-294,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1-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광고연구</br>외국어명 : Advertising Research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