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공산당 창당과정에서 중국 지식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지식인의 사회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79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주의가 중국나름의 특징을 가지게 된 과정과 배경에 일차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은 먼저 1919년 5․4운동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마르크스...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주의가 중국나름의 특징을 가지게 된 과정과 배경에 일차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은 먼저 1919년 5․4운동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중국에 유입될 수 있었던 국제적인 환경과 국내의 유인요인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당시 중국내부의 사상적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봉건주의적 성격이 강한 중국에 유입되고 정착될 수 있었던 지적 배경을 연구 파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중국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정착되는 과정 속에서 제기된 다양한 논의와 논쟁을 분석하며 과연 이러한 논쟁 속에서 中國共産黨의 선택을 규정했던 국내외적인 요인들과 이론은 무엇이었는지를 분석 파악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논쟁의 진행과정과 내용에 대한 연구와 동시에 이러한 논의의 내용의 중국의 현실에 적용되고 중국사회주의 혁명과정에 미친 영향과 결과를 추적함으로써 中國共産黨의 창당과정과 초기 혁명운동 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들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과연 중국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중국 사회주의혁명의 이론으로서 정착된 시점이 언제인지를 밝혀냄으로써 중국의 초기사회주의를 언제까지로 볼 수 있을 것이며, 그 주장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한다.
      중국에서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현실 정치투쟁의 실천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얽혀 있어서 그 사상이론의 발전이 독립된 형태를 취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그 이론이나 사상이 어떤 단계를 이루는지 이론 나름대로의 잣대를 갖지 못하고 기본적으로 사회, 정치투쟁의 몇가지 중요한 매듭에 의해 저마다 다른 단계로 나누게 된다. 李澤厚의 중국 현대사상의 흐름에 대한 시기구분에 따르자면 李澤厚, “試談馬克主義在中國,” 「中國現代思想史論」
      다음과 같다.
      1단계는 1919년 5․4운동 전후로부터 1927년 蔣介石의 上海쿠데타까지의 시기로 이 시기는 중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수입기라고 할 수 있으며 李大釗와 陳獨秀로 대표될 수 있다. 2단계는 1927년부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까지의 시기로 瞿秋白(1899-1935)을 매개로 毛澤東(1893-1976)과 劉少奇(1898-1969)가 중심인물로 활약한 毛澤東사상의 성숙기이다. 3단계는 1949년에서 1976년 毛澤東의 사망까지의 시기랜왯申嶋鄭莘낡?文化大革命으로 얼룩진 毛澤東사상의 절대적 지배기라고 할 수 있다. 4단계는 1976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개혁개방과 새로운 모색의 시기이다.
      이러한 중국 현대사상에 대한 시기구분은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사회주의의 형성과정과 정착과정을 분석하는데 있어서는 이러한 시기구분은 많은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위의 시기구분에서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의 주요 관심이 되고 있는 1단계와 2단계의 시기를 가르는 1927년은 1921년 7월 23일부터 31일까지 13명의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中國共産黨이 창당된 이래 1922년 上海에서 孫文이 이끄는 國民黨과 中國共産黨 간에 진행된 國共合作이 蔣介石의 上海쿠데타로 인해 깨어진 시점이다. 이러한 國共合作의 결렬로 인해 中國共産黨은 南京에 국민정부를 세우고 國民黨에 대항해서 紅軍은 南昌에서 무장봉기를 일으키지만 실패한다. 中國共産黨은 봉기의 실패를 물어 陳獨秀를 비판하고 瞿秋白을 총서기장에 임명한다. 이러한 속에서 中國共産黨은 중국혁명노선에 있어서 일대 전환점을 가지고 온다.
      이 시기와 궤를 같이하여 27년 毛澤東이 「湖南農民運動調査報告書」를 집필 발표하고, 毛澤東은 井岡山에서 黨내의 실력자로 떠오르기 시작한다. 따라서 1927년은 中國共産黨이 농민운동중심의 혁명운동으로 전환하는 기점이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中國共産黨은 이 시기에도 여전히 코민테른의 영향하에 있음으로 인해 29년부터 중국 사회주의자들간에는 또 다시 중국 사회성격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게 되고 이 논쟁은 1934년까지 계속된다. 중국공산당은 1935년 遵義會議에서 毛澤東이 소련유학파를 제치고 중국 黨총서기에 선출됨으로 인해 비로소 소련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도입되고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과 맞물려 정착되는 시기까지를 중국에서의 초기 사회주의운동 시기라는 가설 속에서 출발한다. 즉 중국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도입되고 중국의 정치, 경제적 제반 조건과 상응하여 중국의 혁명사상으로 정착되는 시점을 1919년 5․4운동에서 1935년 遵義會議까지로 파악하고, 중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1935년 遵義會議에 와서야 중국적 토양에 맞는 중국 사회주의로 정착되었다는 가설 속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