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 도입의 생산자후생 변화 효과 = Welfare Effects of Revenue Insurance for Fall Napa Cabbage and Radish Produc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35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가을배추와 가을무는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품목이지만, 가을배추·무 생산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조수입 혹은 소득 감소를 보전해줄 수 있는 보험상품은 ...

      우리나라에서 가을배추와 가을무는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품목이지만, 가을배추·무 생산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조수입 혹은 소득 감소를 보전해줄 수 있는 보험상품은 아직 없다. 본 연구는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 도입이 생산자후생 측면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일차적으로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이 수확량보험보다 더 큰 생산자후생을 발생시키는지를 구명하고, 이어서 조수입보험에 대한 보험요율 및 재정 소요액 산정과 정책적 효율성 분석을 통해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가을배추·무 농업보험 도입에 대한 생산농가의 후생 변화 효과는 생산농가가 수확량보험과 조수입보험에 각각 가입한 경우와 어느 보험에도 가입하지 않은 경우의 기대수입과 확실성등가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밝혀냈으며, Copula를 적용한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농업보험 도입의 생산자후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확량보험과 조수입보험 모두 가을배추·무 생산농가의 확실성등가수익을 증가시키지만, 수확량보험보다는 조수입보험의 증가 폭이 더 컸다. 또한, 생산농가 후생 증가분을 정부 보조금 추정액과 비교했을 때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은 정책적으로 효율적인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가을배추·무 생산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조수입보험이 도입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현행 농업수입보장보험 시범사업 예산 수준으로는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의 원활한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어 도입 시에는 예산의 확대가 요구된다. 또한, 생산자후생 변화 효과는 지역별 수확량과 가격의 변동성 및 상관관계, 기준가격 설정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을 도입할 때는 지역별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napa cabbage and radish harvested in fall are very meaningful crops on farmers' income and consumers' dietary life, but there are no insurance products yet that can compensate for the reduction of revenue or income in order to stabilize the ...

      In Korea, napa cabbage and radish harvested in fall are very meaningful crops on farmers' income and consumers' dietary life, but there are no insurance products yet that can compensate for the reduction of revenue or income in order to stabilize the management of fall napa cabbage and fall radish farm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ll napa cabbage and fall radish revenue insurance in terms of producer welfare. First of all, this study finds out whether revenue insurance generate greater producer welfare than yield insurance for fall napa cabbage and radish producers. Subsequently, implications for preparing fall napa and fall radish revenue insurance policies were deriv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insurance premiums and government financial requirements for revenue insurance and policy efficiency analysis.
      Producer welfare changes due to agricultural insurance were found by comparing the expected monetary value and certainty equivalent returns (CERs) of farmers with yield insurance and revenue insurance, respectively, to none, and Monte-Carlo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with Copula.
      According to an analysis of changes in producer welfare due to agricultural insurance subscription, both yield insurance and revenue insurance increase the CERs of napa and radish farmers in autumn, but the increase in revenue insurance was greater than yield insurance. In addition, compared to government subsidies, revenue insurance showed efficient policy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suggest that revenue insurance needs to be made policy to stabilize the management of fall napa cabbage and fall radish farmers. However, it is analyzed that the current budget for the revenue insurance pilot project will be difficult to smoothly operate fall napa cabbage and fall radish revenue insurance, which requires expansion of the budget when introduced. In addition,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preparing fall napa and fall radish revenue insurance, as the effects of producer welfare vary depending on the volatility and correlation of yields and prices, and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pr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1. 서 론
      •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 나. 연구 방법 및 내용 5
      • (국문초록) 1
      • 1. 서 론
      •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 나. 연구 방법 및 내용 5
      • 다.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6
      • 2. 가을배추·무 산업 현황
      • 가. 배추·무 생산 현황 17
      • 나. 배추·무 가격 현황 19
      • 다. 가을배추·무 지역별 생산 및 출하 현황 22
      • 3. 조수입보험 도입 효과 분석 방법
      • 가. 이론적 배경 25
      • 나. 분석 방법 29
      • 나. 분석 자료 37
      • 4. 분석 결과
      • 가. 수확량보험 및 조수입보험 도입의 생산자후생 변화 분석 46
      • 나.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 보험요율 및 보조금 산정 57
      • 다. 가을배추·무 조수입보험 효율성 분석 70
      • 5. 요약 및 결론
      • 가. 연구 결과 요약 81
      • 나. 연구 시사점 및 한계 84
      • (참고문헌) 87
      • (Abstract) 92
      • (부록) 9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계욱, 최양호, 김명준, "계리모형론 제2판", 박영사, 2018

      2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국, "2019 농업재해보험연감", 2019

      3 이영환, "미시경제학 증보 제2판", 율곡출판사, 2005

      4 통계청, "‘2018 농작물생산조사 지침서.’", 2018

      5 농촌진흥청, "각 연도. 농축산물소득자료집", null

      6 김정호, 안병일, "“채소농가의 위험회피 태도 분석.”", 농촌경제 25(3): 1-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7 김동환, "채소류 수급안정대책, 이대로 좋은가?", 시선집중 GSnJ 제257호. GS&J 인스티튜트., 2018

      8 농촌진흥청, "각 연도. 지역별 농산물 소득 자료", null

      9 김태균, 홍나경, 최정열, 최윤영, 조재환, 임성수, 양승룡, 백진이, 박준형, "농가경 영 수익성의 리스크 관리방안", 농촌진흥청, 2006

      10 권태진, 정우석, 이정환, 이동현, 우가영, 김석현, 김명환, "배추 무 수급불안의 원인과 대응방안", 농촌진흥청, 2015

      1 강계욱, 최양호, 김명준, "계리모형론 제2판", 박영사, 2018

      2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국, "2019 농업재해보험연감", 2019

      3 이영환, "미시경제학 증보 제2판", 율곡출판사, 2005

      4 통계청, "‘2018 농작물생산조사 지침서.’", 2018

      5 농촌진흥청, "각 연도. 농축산물소득자료집", null

      6 김정호, 안병일, "“채소농가의 위험회피 태도 분석.”", 농촌경제 25(3): 1-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7 김동환, "채소류 수급안정대책, 이대로 좋은가?", 시선집중 GSnJ 제257호. GS&J 인스티튜트., 2018

      8 농촌진흥청, "각 연도. 지역별 농산물 소득 자료", null

      9 김태균, 홍나경, 최정열, 최윤영, 조재환, 임성수, 양승룡, 백진이, 박준형, "농가경 영 수익성의 리스크 관리방안", 농촌진흥청, 2006

      10 권태진, 정우석, 이정환, 이동현, 우가영, 김석현, 김명환, "배추 무 수급불안의 원인과 대응방안", 농촌진흥청, 2015

      11 박준기, 안병일, "“노지채소 계약재배 사업의 효과 분석.”", 농업경제연구 58(1): 143-175. 한국농업경제학회, 2017

      12 김미복, 지연구, 정원호, 오내원, 양찬영, 김종선, "농업수입보장보험 운용방안 정책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4

      13 남경수, "한국 농작물 재해보험 개선 방향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 문, 2021

      14 농림축산식품부 재해보험정책과, "2020년도 농업수입보장보험 시범사업 시행지침", 2020

      15 김대환, "“위험회피성향과 보험수요의 이론 및 실제”", 보험금융연구 97(0): 63-86. 보험연구원, 2019

      16 임용택, "“최적보험과 비기대효용이론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6(4): 265-285. 한국산업경제학회, 2003

      17 김석현, 최세현, 조재환, 박준형, 김혜영, 김태균, 김재한, "농작물 재해보험의 효과적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농림부, 2003

      18 김미복, 하인혜, 김태후, "농업여건 변화에 대응한 농업보험정책 발전 방안 .", R87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1: 코로나19 이후 농업 농촌의 변화와 미래 (Ⅱ).", E04-20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20 김태균, "“재해보험과 수입보험에 대한 생산자선호 및 후생효과 비교.”", 농 업경제연구 42(2): 33-49. 한국농업경제학회, 2001

      21 임효빈, 최선우, 최병옥,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 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농촌경제 43(1): 21-4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22 국승용, 한은수, 신성철, 서홍석, 김원태, "채소가격안정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 한 기준 수급물량 산정 연구.", P26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23 안경아, "계약 결정에 대한 위험 회피도의 영향: 사과 판매 계약을 중심으 로",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6

      24 고재모, 조재환, 박준형, 김태균, "“쌀 소득안정 정책수단의 생산자선호 및 후 생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농업경제연구 46(4): 195-214. 한국농업경제 학회, 2005

      25 정원호, "농업수입보장보험의 도입 필요성과 기대효과. KREI 농정포커스 제37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26 주용재, "“농업경영안정화를 위한 수입보험제도: 미국 캐나다의 사례를 중 심으로.”", 농업경영 정책연구 25(2): 139-153. 한국농식품정책학회, 1998

      27 김성섭, 서상택, 김태후, "“스튜던트 T 코퓰라 모델을 이용한 지역별 쌀 생 산량의 공간적 종속성 추정.”", 농업경제연구 58(3): 25-44. 한국농업경 제학회,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