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문헌과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 전통불교사찰의 재해석 = Reinterpretation of Seoul’s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rough Ancient Documents and Old Map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문헌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조선시대 불교와 불교사찰에 대해 해석하였고, 지리지와 고지도를 통해 서울전통불교사찰의 입지를 확인하여 현재 서울전통불교사찰을 재해석하...

      본 연구는 고문헌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조선시대 불교와 불교사찰에 대해 해석하였고, 지리지와 고지도를 통해 서울전통불교사찰의 입지를 확인하여 현재 서울전통불교사찰을 재해석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억불 속에서 불교는 국가방위수호, 왕실기도, 국가제사, 불당중창 및 승군활동 등 불사와 법맥을 유지하여 왔다. 둘째, 지리지 속에서 조선 초기에는 도성 내의 사찰이 존재했으나 유학자들의 상소로 존폐를 거듭하면서 후기에는 도성 밖의 내사산과 외사산을 중심으로 산사가 입지하였다. 셋째, 지리지와 고지도 상의 서울에 입지한 사찰은 현존하는 29개 사찰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양 자료에 모두 있는 사찰은 9개 사찰이다. 이들 사찰들은 과거에는 산사에 해당하지만 현재는 승가사와 문수사를 제외하고는 도시개발로 아파트 내에 입지하거나 산지라도 접근이 용이하다. 다섯째, 현재 서울 전통불교사찰은 고문헌 속의 26개 사찰을 포함한 60개 사찰이고, 이는 근·현대를 거치면서 도심의 포교당 형식의 사찰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현대불교사찰은 도시변화와 함께 도시인구를 흡수하기 위해 사찰입지의 접근성, 불교원리의 단순성, 종교심리의 현실성을 받아들여 다양한 방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rprets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cient document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has significance in reinterpreting the current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eoul by confirming the location ...

      This study interprets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cient document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has significance in reinterpreting the current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eoul by confirming the location of Seoul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rough historical geographical texts and old ma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at in the midst of billions of dollars, Buddhism has maintained the immortality of Buddhism, including national defense protection, royal prayer, national ancestral rites, liturgical recitals, and monk activities. Second, in the early Joseon geography, there were temples within the capital city, but as they continued to exist due to the appeals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r years, mountain temples were located around the inner and outer Mt. Third, as for the temples located in Seoul on geography and old maps, 29 existing temples could be identified. Fourth, there are 9 temples in both materials. These temples in the past were mountain temples, but now, with the exception of Seunggasa Temple and Munsusa Temple, they are located within apartments due to urban development or are easily accessible even in the mountains. Fifth, there are currently 60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eoul, including 26 temples in the ancient literature, which are changing into the city’s Pogyodang-style temples through the modern and modern times. Therefore, modern Buddhist temples in Seoul are being reborn in various ways by accepting the accessibility of the temple site, the simplicity of Buddhist principles, and the reality of religious psychology in order to absorb the urban population along with the urban chan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오용, "현대도시형 사찰건축의 공간구성 및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심의 조계종사찰을 중심으로" 14 (14): 195-198, 1994

      2 김개천, "현대도시사찰의 공간구획에 관한 연구" 2000

      3 고병철, "한국의 종교 현황" 문화체육관광부 2018

      4 김일림, "한국의 전통 불교문화경관의 재해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1-12, 2019

      5 金逸林, "한국 불교사찰의 입지유형과 경관구성"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6

      6 한상길,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한국선학회 (29) : 259-292, 2011

      7 문인곤, "풍수지리적 입지 분석도구의 변천과 비교 연구 -건원릉의 입지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101-114, 2019

      8 정우진, "지지와 고지도로 살펴본 고군산군도의 역사경관과 명소 인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3 (33): 1-36, 2021

      9 황인규, "조선시대 불교계의 고승과 비구니" 혜안 2011

      10 홍병화, "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역사" 민족사 2020

      1 최오용, "현대도시형 사찰건축의 공간구성 및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심의 조계종사찰을 중심으로" 14 (14): 195-198, 1994

      2 김개천, "현대도시사찰의 공간구획에 관한 연구" 2000

      3 고병철, "한국의 종교 현황" 문화체육관광부 2018

      4 김일림, "한국의 전통 불교문화경관의 재해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1-12, 2019

      5 金逸林, "한국 불교사찰의 입지유형과 경관구성"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6

      6 한상길,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한국선학회 (29) : 259-292, 2011

      7 문인곤, "풍수지리적 입지 분석도구의 변천과 비교 연구 -건원릉의 입지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101-114, 2019

      8 정우진, "지지와 고지도로 살펴본 고군산군도의 역사경관과 명소 인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3 (33): 1-36, 2021

      9 황인규, "조선시대 불교계의 고승과 비구니" 혜안 2011

      10 홍병화, "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역사" 민족사 2020

      11 장원석, "일제의 사진첩에 투영된 식민지 조선의 이미지" 한국사진지리학회 30 (30): 42-67, 2020

      12 아세아문화사, "유형원의 동국여지지(1656)"

      13 이공수, "왜란과 호란 이후 불교계의 변동과 추이"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8) : 210-239, 2015

      14 국사편찬위원회, "영인본 여지도서(1760년대)" 1979

      15 류명환, "역주 가람고" 도서출판 역사문화 2016

      16 이행, "신증동국여지승람"

      17 "세종실록지리지 필사본"

      18 사찰문화연구원, "서울의 전통사찰" 1994

      19 이기봉, "서울의 미래가치, 고지도를 통해서 본서울지명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10

      20 이찬, "서울의 고지도" 범우사 1991

      21 이찬, "서울 고지도 집성을 위한 기초연구" 3 : 1-39, 1994

      22 "문화체육관광부"

      23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24 고영섭, "국가 비보사상과 한양비보사찰-사찰의비보를 통한 국도의 명당화,한양천도와 도시철학-불교사상을 중심으로" 7-39, 2020

      25 국립중앙도서관,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지명연구" 2010

      26 국립중앙도서관, "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2011

      27 곽태희, "1990년대 이후 건립된 현대도시 사찰에 관한 연구-종교적 상징성을 중심으로" 24 (24): 829-832, 2004

      28 손성필, "16세기 조선의 정치ㆍ사회와 불교계"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1) : 43-86,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