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혼 노인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138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노년기 부부간의 불화로 인한 황혼이혼이 증가 추세에 있다. 노년기 부부관계가 이혼이나 별거로 인한 가정의 파탄을 초래한다면, 노인들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절망감을 맞이하게 ...

      최근 노년기 부부간의 불화로 인한 황혼이혼이 증가 추세에 있다. 노년기 부부관계가 이혼이나 별거로 인한 가정의 파탄을 초래한다면, 노인들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절망감을 맞이하게 될 뿐 아니라 자녀들은 홀로된 부모를 각각 부양해야 하는 부양부담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들도 파생되어 진다. 따라서 노년기 부부갈등 요인들을 사전에 예방하고, 부부관계를 더욱 행복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혼 노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방향과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60세 이상 유배우자 노인 255명에 대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240명에 대하여 조사를 완료하였다. 완료된 조사자료에 대하여 SPSS WIN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만을 살펴보면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한방을 사용하고 있을수록, 배우자와 별거를 하지 않을수록, 남자일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망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부부관계 요인에서는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간 정서적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부간 사회·여가활동을 많이 할 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사회심리적 요인, 부부관계 요인 등 세 가지 영역을 모두 포함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간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 만족이 높을수록, 성별이 남자일수록, 부부간에 사회·여가활동 참여가 높을수록, 직업이 없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부간에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배우자를 지지하고 격려해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개인적 특성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부부관계요인 등 세 가지 영역을 남자노인, 여자노인으로 비교분석해 보았을 때 남자노인의 경우, 부부간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별거를 하고 있지 않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여자노인의 경우, 부부간 의사소통이 높을 수록, 부부간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부간 성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각방을 사용하지 않을수록, 별거를 하고 있지 않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녀로 비교분석해 보았을 때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값에 대한 남·녀 비교분석에서 여자노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망과 자아존중감, 자녀와의 애정적 결속도, 성생활 만족도, 성횟수가 남자노인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남자노인에게서는 의사소통, 정서적지지, 성생활 중요도, 결혼만족도가 여자노인보다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해 보면,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부간 의사소통 정도, 부부간 정서적지지 정도, 부부간 성생활 만족도, 성별, 부부간 사회·여가활동 참여정도, 직업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부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부부간에 자기표현력을 키우고, 배우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려는 연습과, 개방적이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부부간 서로를 격려해주고 지지해줌으로써 부부간의 장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부부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올바른 성교육이 필요하며, 잘못 알려진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인식전환뿐 아니라 사회적 편견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사회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시스템은 노인종합복지관, 노인회관, 노인대학뿐 아니라 정부, 시민단체, 언론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통해 노인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방적인 교육여건을 마련하여 노인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한다. 또한 노인의 성 상담소가 개설되어져야 한다.
      넷째,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져야 할 뿐 아니라 노년기 부부교육 프로그램은 부부간의 성차에 근거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노인종합복지관 뿐만 아니라 TV나 라디오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노년기 부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여가·사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홍보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여섯째, 노년기에 경제적 생활고로 인해 생계비를 벌기위한 명목으로 직장을 다니는 노인의 경우, 대부분 공공근로나 노동·일용직과 같은 단순근로직 종사자가 많다. 정부는 취업취약계층인 고령자 고용 전담기구의 개설과 노인 창업을 지원하는 정책적인 노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고용촉진과 직업고용 안정책을 개선시켜야 한다.
      끝으로, 노년기 성공적인 부부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전담할 수 있는 노인전문가가 양성되어야 하며, 교육기관의 활성화가 노인복지기관이나 노인대학 뿐 아니라 기업 및 사회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결혼만족도와 관련된 후속연구에서는 부부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부부단위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근거이론을 통한 사례분석·심층면접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recently increased to have twilight divorces of the aged or senescent due to marital troubles. If a marital relationship in old age ends up with family conflict from a divorce or separation, not only do they feel devastated in their last stage ...

      It has recently increased to have twilight divorces of the aged or senescent due to marital troubles. If a marital relationship in old age ends up with family conflict from a divorce or separation, not only do they feel devastated in their last stage of life, but also there are incidental problems as their children may become responsible for looking after each parent. Therefore, research about the factors that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is needed to prevent the marital trouble issues of the aged for continuing better relationships.
      To do so, I will discus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aged and in this research I will suggest some practical and politic ideas for the aged couples as well as some welfare policies. To reinforce this theses, I have conducted interview research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255 elders of which 240 were completed and this data has been tested by SPSS WIN.
      Firstly, when we look only at socio-demographical factors, marital satisfaction is higher for those who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for couples who sleep in one room and are not separated, for those who are male and for those who have better quality of life. When it comes to socio-psychological factors, marital satisfaction is higher for those who have more social support. In regards with marital relationship factors, couples who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emotional supports with their partner, sex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leisure activities as a couple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Secondly, when we look at all of these 3 different areas together, that is socio-demographical, socio-psychological and the marital relationship factors, we can see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is higher for couples wh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emotional supports, sex life satisfaction, social leisure activities and for those who are male and without jobs. Therefore there should be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a husband and a wife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support and encourage spouses.
      Finally,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aged female and male in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marital relationship factors has been done as follows. For aged males, they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with better emotional supports, understanding of their partner, sex life satisfaction an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ir partner. For aged females, they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with better understanding and emotional supports from their partner, sex life satisfaction but without separation or using a separate room. Therefore, there does not seem to be much difference in sex comparison analysis. However, while social support, self-esteem, relational bonding with children, sex life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sexual encounters for aged females have higher average values, for aged males communication, emotional support, sex life importance and marital satisfaction have higher average values.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bove is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marital satisfaction of the aged are in order of communication, emotional supports, sexual satisfaction, sex, participation of social leisure activities and job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practical and politic proposals based on these findings.
      To begin with, couples ne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and grow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to have effective communication. They also need to practice seeing things from their spouses' perspective.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married couples is considered necessary to lead to ope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econdly,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ositively strengthen their spouses through encouragement and support.
      Thirdly, right sex education is necessary and not only do we nee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but also consider plans to eliminate socially biased views of the sex life of the elderly. This can include social education system in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assembly halls for the aged and colleges for the elderly. Also to have the basic human need satisfied for the elderly, we need to have an open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access to specialized sex education programs that provide correct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ature aged sex through public relations, the government,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media. Sexual counseling centers for the aged also have to be open.
      Fourthly, to improve women's marital satisfaction, the aged couple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structured on sexu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s.
      The fifth point covered is that requirement to develop social leisure activity programs that both husband and wife can participate in at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as well as through mass media such as TV and radio. Public relations in particular need to be preceded to activate the social leisure activities through voluntary works.
      Sixthly. in the case of some aged people who work to cover the cost of living due to poverty and are likely to be simple laborers such as public or daily worker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stabilization measures of their employment and work conditions.
      Finally, to maintain successful married life in old age, experts on the aged need to be trained to develop and take complete charge of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vation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needs to be accomplished not only through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or colleges for the elderly but through private enterprises and social educational awareness.
      For the next research paper regarding marital satisfaction, the suggested subject of the study should be a married couple as a unit with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example case analysis and depths analy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 제기 = 1
      • 제2절 연구 목적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 6
      • 목차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 제기 = 1
      • 제2절 연구 목적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 6
      • 제1절 결혼만족도 = 6
      • 1. 결혼만족도의 개념 = 6
      • 2. 결혼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 7
      • 제2절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
      • 1. 인구사회학적 요인 = 7
      • 1) 개인적 특성 = 8
      • 2) 가족구조 특성 = 9
      • 3) 배우자와의 특성 = 10
      • 2. 사회심리적 요인 = 11
      • 1) 사회적 지지망 = 11
      • 2) 자아존중감 = 11
      • 3) 자녀와의 애정적 결속도 (가족 응집성) = 12
      • 3. 부부관계 요인 = 12
      • 1) 부부간 의사소통의 효율성 = 12
      • 2) 부부간 정서적 지지 = 13
      • 3) 부부간 성역할 태도 = 13
      • 4) 부부간 성생활 만족도 = 14
      • 5) 부부간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 = 15
      • 제3장 연구방법 = 17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 17
      • 1. 연구모형 = 17
      • 2. 연구가설 = 18
      • 제2절 조사대상 및 표집방법 = 18
      • 제3절 측정 방법 = 18
      • 1. 조사도구 = 18
      • 1) 종속변인 = 18
      • 2) 독립변인 = 19
      • 2. 조사도구의 구성 = 23
      • 3. 자료분석 방법 = 24
      • 제 4 장 연구 결과 분석 = 26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6
      • 1. 개인 특성 = 26
      • 2. 가족구조 특성 = 28
      • 3. 배우자와의 특성 = 30
      • 3-1. 배우자와의 성생활 만족도와 실태 = 31
      • 제2절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33
      • 1. 각 요인의 평균값에 대한 남·녀 비교분석 = 33
      • 2.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 34
      • 3. 사회심리적 요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36
      • 4.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38
      • 5.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전체 요인에 대한 분석 = 39
      • 1) 공선성 통계량 = 39
      • 2) 전체(남·녀) 조사대상자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분석결과 = 40
      • 3)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최종 분석결과에 대한 남·녀 비교분석 = 43
      • 제5장 결론 및 제언 = 46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 46
      • 제2절 결론 및 제언 = 47
      • 제3절 연구의 한계 = 49
      • 참고문헌 = 51
      • 조사연구 설문지 = 56
      • ABSTRACT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