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종업원의 주식보상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n Firm's Performance of Employee Stock O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77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식보상시스템의 도입으로 기업은 최소의 비용으로 유능한 인재를 확보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고, 특히 첨단산업과 같은 성장산업에서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기술력을 확...

      주식보상시스템의 도입으로 기업은 최소의 비용으로 유능한 인재를 확보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고, 특히 첨단산업과 같은 성장산업에서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기술력을 확보함으로써 기업의 대내외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업원의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임직원의 잠재적인 주주화를 통해 주인의식고취 및 책임경영을 실현 시킨다. 본 연구는 주식보상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회계변수평가모형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데 유용한지를 검증하였으며 현행 기업회계기준에 의해 작성된 주식매입선택권이기업 지식자산의 형태로 자산화되었을 경우 기업가치 평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회계변수들은 기업가치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측정치들이었으나 스톡옵션 부여와 관련된 주식매입선택권의 경우 현행 기업회계기준 방법에 의하였을 경우에는 주식매입선택권과 주식보상비용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자산화 된 주식매입선택권의 경우 유의한 양(+)의 값으로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데 유의한 결과임을 지적하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주식매입선택권을 현행 기업회계기준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자산화 시킨 후 스톡옵션의 효익 지속기간 동안 상각하는 것이 기업가치를 평가하는데 더 유용한 방법이라는 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compare the ability of alternative accounting method for employee stock option to reflect firm value using the Ohlson's(1995) valuation model for 200 firms. The each methods, I compare are employee stock option expense recognition bas...

      In this study, I compare the ability of alternative accounting method for employee stock option to reflect firm value using the Ohlson's(1995) valuation model for 200 firms. The each methods, I compare are employee stock option expense recognition based on the K-GAAP disclosures, and asset recognition at the grant date based on the SFAS No. 123 Exposure Draft: Accounting for stock-based compensation. The model include: (1) a model that uses reported earnings, equity book value, and compensation expense based on the K-GAAP disclosures; (2) a model that uses pro-forma earnings, equity book value and adds a measure of the unrecognized asset arising form granting of employee stock options. Finding form estimating equations that the K-GAAP method for calculating compensation has no explanatory power, and the SFAS No.123 Draft Exposure method for arising asset and fair value compensation better captures than market's perception of the economic impact of stock options on firm values. However, the correlation of employee stock option compensation expense is posi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entive benefits derived from employee stock option plans outweigh the cost associated with plan. In addition, I couldn't find evidence that company in KOSDAQ that have high growth potential benefit more from employee stock option plan compared to lager, more mature firm in SE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권중, "자산재평가와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22 (22): 37-57, 1997

      2 김창수, "인센티브 스톡옵션제도 도입의 효과와 추진 방안" 경영연구소 34 (34): 157-201, 1997

      3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스톡옵션표준모델" 스톡옵션표준모델제정위원회 2000

      4 강천모, "스톡옵션제도의 효율적 정착방안" 현대경제연구원 1999

      5 박상수, "스톡옵션제도의 정립과 운영 개선방안" 한국상장회사협의회 1999

      6 원재환, "스톡옵션제도의 공시효과와 위험에 관한 연구" 28 : 579-623, 2001

      7 임종석, "스톡옵션의 회계처리와 비용인식" 2002

      8 백원선, "순자산의 순전성 감소항목의 가치평가: 재평가적립금, 이연자산 및 자본조정을 중심으로" 25 (25): 1-20, 2000

      9 김권중, "상속세법의 비상장주식 평가와 회계변수평가모형의 유용성" 23 (23): 57-79, 1998

      10 김권중, "기업공개시 공모가격 결정과 회계변수평가모형" 42 (42): 51-85, 1999

      1 김권중, "자산재평가와 회계정보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22 (22): 37-57, 1997

      2 김창수, "인센티브 스톡옵션제도 도입의 효과와 추진 방안" 경영연구소 34 (34): 157-201, 1997

      3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스톡옵션표준모델" 스톡옵션표준모델제정위원회 2000

      4 강천모, "스톡옵션제도의 효율적 정착방안" 현대경제연구원 1999

      5 박상수, "스톡옵션제도의 정립과 운영 개선방안" 한국상장회사협의회 1999

      6 원재환, "스톡옵션제도의 공시효과와 위험에 관한 연구" 28 : 579-623, 2001

      7 임종석, "스톡옵션의 회계처리와 비용인식" 2002

      8 백원선, "순자산의 순전성 감소항목의 가치평가: 재평가적립금, 이연자산 및 자본조정을 중심으로" 25 (25): 1-20, 2000

      9 김권중, "상속세법의 비상장주식 평가와 회계변수평가모형의 유용성" 23 (23): 57-79, 1998

      10 김권중, "기업공개시 공모가격 결정과 회계변수평가모형" 42 (42): 51-85, 1999

      11 김권중, "금융업을 이용한 공정가치 회계정보의 유용성 분석" 25 (25): 51-83, 2000

      12 박상수, "경영자 스톡옵션 도입기업의 장기적 기업성과" 경희대학교 20 : 2002

      13 한인구, "가치경영과 지식경영 in: 기술관리" 6-9, 1999

      14 Feltham, G, "Valuation and clean surplus accounting for operating and financial activities" 11 : 689-731, 1995

      15 Beaver,W.,H, "The information Content of Annual Earnings Announcements" 67-92, 1968

      16 Aboody, D, "The Value-Relevance of Intangibles; the Case of Software Capitalization" 36 : 161-191, 1998

      17 Barth, M, "The Effect of Cross-Sectional Scale Differences on Regression Results in Empirical Accounting Research" 13 : 527-567, 1996

      18 Beaver, W, "The Association Between Unsystematic Security Returns and the Magnitude of Earnings Forecast Errors" 17 (17): 316-340, 1979

      19 Aboody, D, "Stock-Based Employee Compensation and Equity Market Values" Stanford University 2000

      20 Barth, M, "Relative valuation roles of equity book value and net income as a function of financial health" 1-34, 1998

      21 Aboody,D, "Market Valuation of Employee Stock Option" 22 : 357-391, 1996

      22 Baum, G, "Introducing the New Value Creation Index" 3 : 140-143, 2000

      23 Black,F, "Fact and Fantasy in the Use of option" 31 : 1975

      24 Collins, D, "Equity Valuation and negative earnings: The role of book value of equity" 29-61, 1999

      25 Ohlson,J.A,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Security Valuations" (Spring) : 661-687, 1995

      26 Collins, D, "Changes in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and Book Values over the Past Forty Years" 24 : 39-67, 1997

      27 Ball, R, "An empirical evaluation of accounting income number" 159-178, 1968

      28 Collins, D, "An Analysis of Intertemporal and Cross-Sectional Determinants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11 : 143-181,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정보연구 -> 경영과 정보연구
      외국어명 : Management Information Review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06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