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왕실 보첩류의 DB구축 및 왕실구성원 연구_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15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은 왕을 권력의 정점으로 한 관료 체계를 가지고 있다. 혈연․혼인을 통해 형성된 왕실구성원은 조선의 핵심 지배층이다. 이러한 왕실 구성원의 정보를 담고 있는 왕실 보첩류는 사료적...

      조선은 왕을 권력의 정점으로 한 관료 체계를 가지고 있다. 혈연․혼인을 통해 형성된 왕실구성원은 조선의 핵심 지배층이다. 이러한 왕실 구성원의 정보를 담고 있는 왕실 보첩류는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장서각 소장 왕실보첩류의 경우 기존 발간된 목록집의 오류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보첩류의 목록 수정 보완과 해제, 왕실 보첩류의 DB화, 왕실 구성원에 대한 연구의 심화를 목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왕실 보첩류는 828종 5,280책이다. 1차년도에는 『선원록』․『선원계보기략』․『선원속보』 등의 목록 수정과 해제, 왕실 보첩 입력을 행하고, 2차년도에는 『가현록』․『유부록』․『돈녕보첩』․『왕비세보』 등의 목록 수정과 해제, 왕실 보첩 입력 그리고 왕실구성원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본 연구의 1차년도 목표는 첫째, 장서각 소장 왕실보첩류 828종 5,280책 가운데 1차년도에 325종 3,968책의 목록과 원본을 대조하여 목록을 수정 보완한다. 둘째, 새로 작성된 목록에 따라 해제를 작성하는 것이다. 셋째, 왕실 보첩류를 검토하여 가장 풍부한 왕실구성원이 등재되어 있는 책을 선별하여 입력을 실행하는 것이다.
      목록 수정 보완은 전임연구인력, 공동연구원(일반), 연구보조원이 담당하였다. 기존의 장서각 목록과 원본의 대조를 면밀히 하기 위해서 장서각에 소장된 보첩을 일일이 상호 대조하는 이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종의 『선원계보기략』과 3종의 『선원속보』에서 이본이 확인되었다. 이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목록을 수정 보완하였는데, 전체 목록의 약 85%가 완결되었다.
      해제는 전임연구인력이 담당하였다. 목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해제 대상 보첩은 319종이다. 해제 대상 보첩은 연구보조원들이 M.F 출력을 하였는데 2006년 9월~2007년 2월까지 출력된 것은 128,847매이다. 이본조사에 의외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이본의 M.F촬영·출력으로 시간이 지체되어 12월부터 해제를 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진행된 해제는 170종이고, 53%가 진행된 셈이다.
      입력은 보조연구원이 담당하였다. 전임연구인력과 공동연구원(일반)이 상의하여 기본적으로 입력할 보첩을 1908년 간행된 『선원계보기략』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선원계보기략』의 자손록 7책을 입력 중이다. 입력된 총인원은 5,519인으로 총입력량의 약 70%정도이다. 미입력된 부분은 대략 2,000여명으로 예상되며 1차년도 남은 기간 동안 완료할 예정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선원계보기략』·『선원속보』의 이본조사로 왕실 보첩류 목록을 수정 보완하여 장서각 소장 왕실 보첩류의 전모를 밝혔다는 것이다. 둘째,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보첩류의 사료적 가치를 재발견하게 되었다. 아직 기존 연구 성과에서 확인하지 못했던 보첩들을 찾아 냈다.(李偘의 『선원보략』, 1679년(숙종 5)간행된 『선원계보기략』 등) 또한 조선 전기 편찬 체제를 가진 왕실 보첩(『朝鮮國譜』, 『八高祖圖』)을 통해 왕실 보첩류가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지를 알 수 있다. 셋째, 장서각에 소장된 『선원록』·『선원계보기략』·『선원속보』 완질본 192종 1292책을 제본하여, 추후 누구나 손쉽게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4월 5일 “조선시대 왕실보첩류 자료의 實際”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개요 2. 연구내용 3. 참고문현

      1. 연구개요
      2. 연구내용
      3. 참고문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