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펄스와전류 측정 데이터의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보온재 배관의 결함 예측 = Predictions of Insulated Pipe Flaws by AI Learning of Pulsed Eddy Current Measurement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3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aw detection signals in the thermally insulated pipes are classifi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Nondestructive testing technology using pulsed eddy current (PEC) is a non-contact method for detecting surface flaws with high sensitivity; how...

      Flaw detection signals in the thermally insulated pipes are classifi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Nondestructive testing technology using pulsed eddy current (PEC) is a non-contact method for detecting surface flaws with high sensitivity; however, the inspector is required to be highly skilled in signal reading. To replace the skill level of the inspector by AI, the measurement data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I processing. A flaw with a depth of 50% of the thickness of the pipe was processed into diameters of 30, 60, and 90 mm in a 10-inch pipe, and these internal flaws were measured from the outside of the insulation material with a thickness of 50 mm using PEC. The PEC signals alone make it difficult to determine defect for flaws of 60 mm or less; however, AI processing data confirm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 This study shows that even with seemingly meaningless experiments, useful results can be obtained by employing A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보온재로 덮혀 있는 배관에서의 결함 신호를 구분하였다. 펄스와전류를 이용한보온재 비해체 방식의 와전류탐상은 비접촉으로 높은 감도로 표면 결함을 검출할 수 있...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보온재로 덮혀 있는 배관에서의 결함 신호를 구분하였다. 펄스와전류를 이용한보온재 비해체 방식의 와전류탐상은 비접촉으로 높은 감도로 표면 결함을 검출할 수 있지만, 신호 판독에 있어서 검사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 인공지능을 도입하여 검사자의 숙련도를 대체하기 위하여 실험결과와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처리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10인치 배관에 각각 배관 두께 대비 깊이 50%의 결함을 직경 30 mm, 60 mm, 90 mm로 가공하여 펄스와전류를 이용하여 50 mm 두께를 가진 보온재 외부에서 내부결함을 측정하였다. 펄스와전류 신호만으로는 60 mm 이하의 결함에서는 결함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처리한 결과에서는 결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의미 없어 보이는 실험결과일지라도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