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현대화된 "치파오" 텍스타일패턴의 조형미 = Plastic Beauty on Textile pattern of Modernized "QiPa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3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복식문화는 1950년대 사회주의 정책의 대두와 더불어 "의관대국(衣冠大國)"의 풍모를 잃어버렸고, "서복동점(西服東漸)"의 추세에 따라서 점차 주류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이후 현대사...

      중국의 복식문화는 1950년대 사회주의 정책의 대두와 더불어 "의관대국(衣冠大國)"의 풍모를 잃어버렸고, "서복동점(西服東漸)"의 추세에 따라서 점차 주류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이후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메스커뮤니케이션의 발달, 세역화(世域化, glocalism) 등으로 동·서양의 활발한 문화적 교류에 따른 다양한 융합 문화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과거에 서양 중심적 관점에 의해서나 흥미로 여겼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을 탈피하여 동양의 가치관 및 문화가 주목 받고 있으며 세계 패션계에서는 중국 전통 복식문화의 조형적 요소들을 적용한 새로운 중국풍이 유행하게 되었다. 현대 패션디자인에 활용된 치파오 디자인 요소 중 가장 부각되고 있는 것은 문양(紋樣)이라 할 수 있다. 패션디자인에 있어 문양은 텍스타일패턴으로 다양한 조형적 특징을 표현하며 미적 가치를 발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민족복식 중에서 대표적 모티브로 여겨지고 있는 치파오 문양의 조형적 특징과, 이것이 현대화된 ``치파오``의 텍스타일패턴의 조형분석을 통해 그 조형적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먼저 Ⅱ장에서 전통 치파오와 현대화된 ``치파오``로 용어를 구별하였고, 만주족(滿洲族) 의 장포(長袍)에서 유래한 치파오의 역사와 문양의 종류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현대 세계 패션 브랜드에 표현된 ``치파오`` 텍스타일패턴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조형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의 경우는 10여개 브랜드 152건의 사례를, 또한 서구의 경우는 30여개 브랜드 213건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종류·표현기법·구도·색채의 측면에서 텍스타일패턴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지면관계상 대표적인 예로 6개 브랜드의 분석결과를 상술하였다. 그 결과, 현대화된 ``치파오`` 텍스타일패턴의 조형미로 자연미, 전통미, 현대미, 융합미를 산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치파오``의 조형미는 치파오를 국제적인 트렌드로 발전하게 하는 동시에 여전히 전통적인 요소도 보존하게 한다.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중서고금(中西古今)이 융합하여 표현된다는데 ``치파오``의 매력이 있으며 세계의 수많은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큰 영감을 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stume culture of China lost their position to “The Great Country of Dress and its Ornaments” with rising socialism policy in 1950``s. After that time, in recent society, various converg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re increased through gl...

      Costume culture of China lost their position to “The Great Country of Dress and its Ornaments” with rising socialism policy in 1950``s. After that time, in recent society, various converg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re increased through glocalism. So old Orientalism by the West is distancing itself it, then new ‘chinoiserie’ is popular in the world fashion circles. It is pattern that the most im-portant fashion design elements among Chinese QiPao. In this vein, we research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QiPao patterns and the plastic beauty of modernized ‘QiPao’ by analyzing the textile patterns of it. First, in the Ⅱ chapter, we distinguished be-tween QiPao and ‘QiPao’, then studied history and pattern of QiPao. In the Ⅲ chapter, we analyzed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QiPao’ textile patterns displayed in worldwide fashion brands. For this analy-sis, we examined about 10 Chinese brands (152 cases) and some 30 the Western brands (213 cases) in kind, expression technique, compo-sition, and color. However, we just explained in detail 6 brands on account of space consideration. As a result, we could drew four plastic beauty of ‘QiPao’ textile pattern such as natural, traditional, high technological, and fused. We would refer it is attractiveness of ‘QiPao’ that it can fused express tradition and modernity, the East and the West, ancient and modern times, thus many fashion designers are greatly inspired by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賈慧, "중국 전통 복식 문화가 동아시아 현대 패션 트랜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최선주, "오리엔탈리즘 관점에 의한 대나무패턴의 현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3 최경희, "세계복식과 패션정보" 교문사 2002

      4 정홍숙, "로코코 시대의 프랑스 직물에 나타난 신와즈리(Chinoiserie) 영향에 관 한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8

      5 卞向阳, "论旗袍的起源" 20 (20):

      6 江南, "符号中国ㆍ旗袍" 當代中國出版社 2008

      7 张静琼, "服装史上的等级标识与反标识" 浙江丝绸工学院学报 1998

      8 陈彬, "国际服装设计作品鉴赏" 东华出版社 2008

      9 包銘新, "中國旗袍" 文化出版社 1998

      10 "http://www.vivinnetam.com"

      1 王賈慧, "중국 전통 복식 문화가 동아시아 현대 패션 트랜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최선주, "오리엔탈리즘 관점에 의한 대나무패턴의 현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3 최경희, "세계복식과 패션정보" 교문사 2002

      4 정홍숙, "로코코 시대의 프랑스 직물에 나타난 신와즈리(Chinoiserie) 영향에 관 한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8

      5 卞向阳, "论旗袍的起源" 20 (20):

      6 江南, "符号中国ㆍ旗袍" 當代中國出版社 2008

      7 张静琼, "服装史上的等级标识与反标识" 浙江丝绸工学院学报 1998

      8 陈彬, "国际服装设计作品鉴赏" 东华出版社 2008

      9 包銘新, "中國旗袍" 文化出版社 1998

      10 "http://www.vivinnetam.com"

      11 "http://www.baidu.c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
      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3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