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인지적 특질이 공군 비행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중한 연습의 조절효과 = The influence of non-cognitive qualities on Airforce fying training: Focus on deliberate practice mod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2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cently noted non-cognitive qualities that predict performance achievement of trainees such as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rowth mindset’ on airforce Flight training. And it seeks to establish w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cently noted non-cognitive qualities that predict performance achievement of trainees such as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rowth mindset’ on airforce Flight training. And it seeks to establish whether if deliberate practice positively mod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gnitive quality and flight training performance. The study has defined traditionally considered important items for Airforce studies as ‘deliberate practice’ and examined it’s positive modulation of the mentioned relationship. For the analysis, the study has analyzed surveys and flight training grades of 150 student pilots from The 3rd Flying Training Wing of ROK. From the analysis, we have derived three notable results. Firstly, there was a clear differentiation of non-cognitive qualities between those who quit midway and those who followed through. Secondly, the student pilot’s non-cognitive qualities positively influences the student’s flying training grades. Lastly, deliberate practice positively mod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gnitive qualities and flying training performances. Considering the strict conditions and long time consuming characteristics of flight training of airforce, the results imply the need of including not only cognitive factors but also non-cognitive factors into the selection of student pilots, and programs that strengthen the non-cognitive qualities during training period. Finally this application will bring out better use of financial aspect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the airfor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수행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주목을 받는 그릿, 긍정심리자본, 성장신념 등의 비인지적 특 질이 공군의 비행훈련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즉...

      본 연구는 최근 수행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주목을 받는 그릿, 긍정심리자본, 성장신념 등의 비인지적 특 질이 공군의 비행훈련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즉 학생조종사의 비인지적 특질(그 릿·긍정심리자본·성장신념)이 비행훈련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신중한 연습이 이들의 관계를 긍정적 으로 조절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군의 비행연구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을 신중한 연습으로 개념화하고, 이 신중한 연습이 비인지적 특질(그릿·긍정심리자본·성장신념)과 비행훈련 성과 사이를 긍정적으 로 조절하는지 검증해 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통제 변인이 적은 공군 3훈련비행단 학생조종사 150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와 비행훈련 성적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비행훈련 중도탈락자와 수료예정 학생조종사 간에는 비인지적 특질(그릿·긍정심리자본·성장신념)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었고, 둘째, 학생조종사의 비인지적 특질이 비행훈련 성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셋째, 비인지적 특질과 비행훈련 성과 간에 신중한 연 습이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군 비행훈련의 특성을 고려할 때, 학생조종사 선 발제도에 인지능력뿐만 아니라 비인지적 특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에 비인지적 특질을 강화하는 프 로그램 운영은 공군의 재정적 측면 및 인적자원개발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방향임을 시사하여 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은,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31-151, 2018

      2 임태홍,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PC) 타당화 검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157-166, 2014

      3 하혜숙,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4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5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6 김진구,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145-162, 2017

      7 임효진,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59-81, 2017

      8 박은, "암묵증진이론에 기반한 학습목표지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27-250, 2015

      9 말콤 래드웰, "아웃라이어" 김영사 2009

      10 김형진, "심리적자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본 개발노력과 사회적자본 개발노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6 (26): 3003-3028, 2013

      1 김정은, "한국형 그릿(Grit) 특성에 대한 고찰: 높은 그릿집단의 다차원적 유형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31-151, 2018

      2 임태홍,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PC) 타당화 검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157-166, 2014

      3 하혜숙,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4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5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6 김진구,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145-162, 2017

      7 임효진,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59-81, 2017

      8 박은, "암묵증진이론에 기반한 학습목표지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27-250, 2015

      9 말콤 래드웰, "아웃라이어" 김영사 2009

      10 김형진, "심리적자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본 개발노력과 사회적자본 개발노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6 (26): 3003-3028, 2013

      11 윤유경, "비행입문과정 학생조종사의 비행교수에 대한 바람직한 특성지각 및 소통노력 연구" 한국심리학회 32 (32): 949-966, 2013

      12 이슬비, "부정적 피드백의 완충제, 투지(Grit):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정서 반응에 투지가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0 (30): 25-45, 2016

      13 이수란,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349-366, 2013

      14 안도희, "대학생의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목적설정 및 학습접근책간의 관계모형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2 (32): 3-27, 2005

      15 이청아,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팀워크역량의 매개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19-144, 2014

      16 이순늠,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분석" 간호행정학회 23 (23): 181-190, 2017

      17 김진열,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18 조윤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19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연구소 18 (18): 169-192, 2017

      20 김현희,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30 (30): 247-273, 2017

      21 Chen, G.,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4 (4): 62-83, 2001

      22 Lauren Eskreis-Winkler,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Media SA 5 : 2014

      23 Ericsson, K. A.,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xpertise: Toward measurement of expert performance and design of 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5-431, 2009

      24 Smith, B. W., "The brief resilience scale : assessing the ability to bounce back" 15 (15): 194-200, 2008

      25 Avey, J. B., "The additive valu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pre-dicting work attitudes and behaviors" 36 (36): 1-42, 2010

      26 Snyder, C. R.,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 Differences Measure of Hope" 60 (60): 570-585, 1991

      27 고려대학교 두뇌동기연구소, "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cales(학습환경에서의학생동기척도)"

      28 최유희,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16, 2008

      29 Drake, C., "Skill acquisition in music performance : relations between planning and temporal control" 74 : 1-32, 2000

      30 Dweck, C. S.,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Tayler & Francis 2000

      31 Rojas, J. P.,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ademic grit scale" University of Kentucky 2012

      32 Youssef, C. M.,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33 : 774-800, 2007

      33 Chang, E. C., "Optimism and pessimism as partially independent constructs : Relationship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23 : 433-440, 1997

      34 Elliot, A. J., "On the measurement of achievement goals : critique, illustration, and application" 3 : 613-628, 2008

      35 Seligman, M. E. P., "Learned optimism" Pocket Books 1998

      36 Luthans, F., "Human, Social and N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 Investing in People for Competitive Advantage" 33 : 143-160, 2004

      37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 1087-1101, 2007

      38 Duckworth, A. 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91 (91): 166-174, 2009

      39 Luthans, Fred, "Develop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Resiliency" 5 (5): 25-44, 2006

      40 West M, "Developing collective leadership for health care" The King’s Fund/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41 Ericsson, K. A., "Deliberate practice and the modifiability of body and mind : Toward a science of the structure and acquisition of expert and elite performance" 38 : 4-34, 2007

      42 Duckworth, A. L.,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2 : 174-181, 2011

      43 Grant, H., "Clarifying achievement goals and their impact" 85 : 541-553, 2003

      44 Ericsson, K. A.,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5-706, 2006

      45 Elliot, A. J.,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72 : 218-232, 1997

      46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 256-273,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컨설팅 리뷰 -> 기업경영리뷰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Management Consulting ->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16-12-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KNU경영컨설팅연구소 -> KNU 기업경영연구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Management Consulting ->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Corporate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16-04-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 경영 컨설팅 연구소 -> KNU경영컨설팅연구소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Management Consulting -> Korean Institute of Management Consulting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2 1.37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