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문(論文) : 두사충(杜師忠)의 생애와 모명재(慕明齋)에 대한 역사적 고찰 = Historical review on the Du Sachung and Momyeongj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88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두사충은 1592년 12월 명(明)의 조선원군(朝鮮援軍)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참모인 수륙지획지사(水陸指劃主事)로 병영과 진터를 구축하는 임무를 맡아 활약했다. 전쟁이...

      두사충은 1592년 12월 명(明)의 조선원군(朝鮮援軍)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참모인 수륙지획지사(水陸指劃主事)로 병영과 진터를 구축하는 임무를 맡아 활약했다. 전쟁이 소강상태에 이르자 본국으로 돌아갔던 두사충은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유정(劉綎)을 총사령관으로 삼은 조선원군의 일원으로 두 아들과 함께 다시 조선에 왔다. 매부인 수군 도독 진린(陳璘) 휘하의 비장(裨將)의 직책으로 싸웠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귀국하지 않고 조선에 남아 대구에 터를 잡고 일가를 이루며 살았다. 그는 두 아들과 함께 조선 조정이 하사한 현 경상감영공원 일대에 살았으나 선조 34년(1601년) 경상감영이 대구로 이전해 오자 거처를 계산동 일대로 옮겼고, 나중에는 다시 최정산(현 앞산으로 추정됨) 아래로 이사하여 호(號)를 모명(慕明)이라 짓고, 동네 이름도 대명동(大明洞)이라 하고 동구 밖에 단을 쌓아 초하루와 보름마다 관복을 갈아입고 북녘을 향해 절했다고 한다. 두사충은 풍수지리에 매우 밝아 조선에 귀화한 후에는 충무공 이순신을 비롯한 조선 양반사회의 많은 사대부들과 교유하면서 명당(明堂)의 묘터를 봐주었다. 두사충은 항왜장군 김충선(일본명 沙也可)과 고려말 충신 우탁(禹倬) 선생의 후손인 백록당 우성범(禹成范)과도 교분을 나누었다. 대구에서 살다가 죽은 두사충은 그가 살아있을 때 잡아놓은 묏자리인 형제봉 기슭(현 대구 수성구 만촌동)에 묻혔으며, 묘소는 지금까지 잘 보전되고 있다. 두사충의 묘에서 걸어서 5분 정도 걸리는 산기슭 아래에 모명재(慕明齋)가 자리 잡고 있다. 모명재가 있는 만촌동 느지마을은 두사충의 후손들이 모여 살던 두릉두씨 집성촌이었으나 지금은 두 세 가구만이 살고 있다. 모명재는 1912년 경산 객사가 헐리자 그 재목을 구해 짓고 그 후 몇 차례 중수한 것이다. 모명재의 정문은 만동문(萬東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모명재 안에는 여러 개의 편액들이 걸려 있다. 모명재 경내에는 두 개의 비(碑)가 서 있는데, 그 하나는 이순신의 7대손으로 행삼도통제사(行三道統制使)를 지낸 이인수(李仁秀)가 지은 신도비(神道碑)이고(1802년 두사충 묘 옆에 건립한 신도비의 비문과 동일한 비문을 새긴 신도비를 1969년에 새로 건립함), 또 다른 하나는 모명재 중수에 공이 큰 10대손 두병선의 공덕비다. 두사충에 대한 역사 문헌과 기록은 그다지 많지 않다. 두사충이 살던 때로부터 거의 300년이 지난 1907년에 이르러 10대손인 두병하(杜炳夏)가 두사충의 삶과 행적을 정리한 실기(實紀)와 족보 등을 정리함으로써 비로소 두사충의 행적이 밝혀지고 역사적 조명을 다시금 받게 되었다. 그의 선조와 고향, 귀화 후의 구체적인 행적 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할 뿐더러 두사충과 모명재가 지닌 역사적 의의와 그의 공적에 대한 현창(顯彰) 노력도 미흡했다. 한·중·일 동아시아 3국 간 관계개선과 협력체제의 구축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한 때에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매우 큰 두사충과 모명재를 지역의 문화자산으로 가꾸어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구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의 수가 날로 늘어나는 때에 모명재를 중국인들이 즐겨 찾는 관광 명소로 가꾸어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 Sachung was one of the assistance forces of Ming Dynasty to save Joseon Kindom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952(Imjin War). He took in charge of building barracks and military camps as an advisor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Li Ru-song. Af...

      Du Sachung was one of the assistance forces of Ming Dynasty to save Joseon Kindom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952(Imjin War). He took in charge of building barracks and military camps as an advisor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Li Ru-song. After two years of making a contribution in the war, he returned to his native country in a truce. And he went to Joseon with his two sons to support Joseon forces when Japanese army invaded again in 1597. This time he was assigned to navy forces under the command of Admiral Chen Lin, his sister’s husband. After the war was over he remained in Joseon and settled down in Daegu. He was granted a land by the royal court of Joseon and lived at central part of Daegu area with his two sons. He moved to Gyesan-Dong area in 1601 and finally went to Daemyeong-Dong which was located under Choijeongsan Mountain. He was knowledgeable about geomantic theory. He socialized with many high-level scholar-officials including Admiral Yi Sunsin and helped them choose resting places. Du Sachung also made friends with Japanese General Kim Chungseon who was naturalized to Joseon Dynasty in 1592 and Woo Seongbeom, Confucian scholar lived at a small village in Daegu. He was buried at the foot of Hyeongjebong Mountain where he decided as his nursery beds when he was alive. Momyeongjae, the memorial hall of Du Sachung is located on the south side of the foot of the mountain. Momyeongjae was rebuilt and has been repaired several times since it was destroyed in 1912. His life was historically reviewed and revealed only after 300 years of his life which was around 1907 by Du Byeongha who is 10th generation of Du Sachung while he was studying and arranging the trace of his past.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his ancestors, birth date and his hometown. For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it is high time to study the trace of his life and shed new light on the contribution to our country. Du Sachung and Momyeongjae have a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s a bridge of understanding betwee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In this respect we need to grow these values as our local cultural assets. Finally Du Sachung will also play a big role in attracting Chinese tourists to this region by storytelling marketing and connecting other places of relevance to China. (Professor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byjin@cu.ac.k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진병용, "한일 평화의 가교 김충선(사야가)과 우록리에 관한 연구" 2012

      2 김진우, "한국인의 역사" 춘추필법, 2011

      3 우경섭, "조선후기 귀화 한인(漢人)과 황조유민(皇朝遺民) 의식" 한국학연구 (27) : 333 ~ 365, 2012

      4 이수환, "조선후기 歸化 中國人에 대한 정책과 江陵劉氏 嘉慶 2년 帖文" 민족문화논총 (43) : 503 ~ 533, 2009

      5 "조선왕조실록" 한국고전종합DB,

      6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7 "승정원일기" 한국고전종합DB,

      8 이정희, "백년 이웃 대구화교의 삶과 문화" 점심의 인문학(2014년 11월 1일), 2014

      9 "모명재 인터넷 사이트"

      10 현경용, "모명 두사충의 소점지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嶺南大學校 環境保健大學院, 2008

      1 진병용, "한일 평화의 가교 김충선(사야가)과 우록리에 관한 연구" 2012

      2 김진우, "한국인의 역사" 춘추필법, 2011

      3 우경섭, "조선후기 귀화 한인(漢人)과 황조유민(皇朝遺民) 의식" 한국학연구 (27) : 333 ~ 365, 2012

      4 이수환, "조선후기 歸化 中國人에 대한 정책과 江陵劉氏 嘉慶 2년 帖文" 민족문화논총 (43) : 503 ~ 533, 2009

      5 "조선왕조실록" 한국고전종합DB,

      6 "일성록" 한국고전종합DB,

      7 "승정원일기" 한국고전종합DB,

      8 이정희, "백년 이웃 대구화교의 삶과 문화" 점심의 인문학(2014년 11월 1일), 2014

      9 "모명재 인터넷 사이트"

      10 현경용, "모명 두사충의 소점지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嶺南大學校 環境保健大學院, 2008

      11 대구광역시, "대구시사" 1994

      12 거리문화시민연대, "대구新택리지" 북랜드, 2007

      13 "김충선연구회 인터넷 사이트"

      14 王德九, "皇朝遺民錄全(朝鮮編)" 국회전자도서관 소장, 1818

      15 "杜陵杜氏世譜" 1999

      16 楊昭全, "朝鮮華僑史" 中國華僑出版公司, 1991

      17 朝鮮總督府中樞院, "朝鮮姓名氏族關する硏究調査" 1934

      18 劉春蘭, "明・淸交替期 漢族의 朝鮮移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9 谷应泰, "明史紀事本末, 第七十二卷, 崇祯治乱" 維基文庫,

      20 崔承现, "明代遗民: 韩国华人历史探微" 华侨华人历史研究 (1), 2012

      21 王秋华, "明万历援朝将士与韩国姓氏" 中国边疆史地研究 14 (2), 2004

      22 大邱鄕土文化硏究所, "慶尙監營四百年史" 1998

      23 朝鮮總督府, "大邱府史" 1943

      24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