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조의 문체반정과 경화문화(京華文化) = Munchebanjeong of King Jeongjo and the culture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3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체반정에서 정조가 겨냥한 문체 비판의 대상은, 개인적인 글쓰기에 해당하는 문예문 보다 공적, 제도적인 글쓰기인 관각문이었다. 표면적으로는 주자학과 당송고문의 재정립을 표방하였...

      문체반정에서 정조가 겨냥한 문체 비판의 대상은, 개인적인 글쓰기에 해당하는 문예문 보다 공적, 제도적인 글쓰기인 관각문이었다. 표면적으로는 주자학과 당송고문의 재정립을 표방하였지만, 정조가 실제로 더욱 강조한 것은 국가를 경영하고 정책을 펼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문체, 궁극적으로 ``실용을 추구하는 글쓰기``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확장하여 정조가 당대의 문화를 선도해간 경화사족에 대하여 취한 비판적 시각과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른바 京華文化는 서울과 경기도를 생활 근거지로 삼고 전대의 사림이나 동시대 鄕班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간 京華士族의 문화를 범칭한다. 정조시대의 경화사족은 도시적 생활, 물질적 토대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유입한 문화를 대단히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던 바, 소설과 소품의 성행, 서화골동, 원예와 같은 심미적, 예술적 취향이 그 대표적인 양상이었다. 정조는 ``唐學``이라 하여 중국 열풍의 부정적 현상을 비판하였는데, 특히 실용, 실질과 무관하다는 관점에서 명청의 소설과 공안파의 소품을 가장 비판하였다. 정조는 자신의 측근 관료들부터 실질이 있는 문체로 국정에 실익이 되는 글쓰기에 힘쓰기를 요청하였다. 직접 주도한 각종 서적 편찬, 책문, 중국 서적 금지령 등을 통해 정조는 적극적으로 문체정책을 펼쳐 나갔다. 또, 문체반정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경화사족에 대한 정조의 대응을 살펴보면, 당색과 신분을 초월하여 정조의 측근 관료들 중 소설과 소품, 서학 등에 경사된 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조는 각 사례마다 비판의 강도와 정치적 조처의 수위를 달리 하였는데, 여기에도 실용을 중시하는 정조의 관점이 일정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literary movement performed by King Jeongjo which is called "Munchebanjeong" and the culture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King Jeongjo made so many comments on literary style critically and tried to change writing style ...

      This study is about literary movement performed by King Jeongjo which is called "Munchebanjeong" and the culture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King Jeongjo made so many comments on literary style critically and tried to change writing style of his officials. He criticized new types of writing like the Essays and nobles. He sought for contents and literary style of Ku-wen. He sometimes made political issues about literary style. However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King Jeongjo put much emphasis on practicality in official writing or systematized writing, not in private literary works. Many nobilities of the time of King Jeongjo enjoyed aesthetic or artistic tastes and immersed themselves in impractical knowledge or literary works. King Jeongjo criticized those trends and wanted to lead his officials into practical writing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