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지역 수확시기에 따른 밀 곡실 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Wheat Grain Silage with Respect to Days after Heading in Honam Region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7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wheat to make grain silage, in Honam region of Korea. We harvested wheat grain every third day from 30 to 42 days after heading (DAH).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from 61.6% at 30 DAH to...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wheat to make grain silage, in Honam region of Korea. We harvested wheat grain every third day from 30 to 42 days after heading (DAH).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from 61.6% at 30 DAH to 42.8% at 42 DAH. Yield of wheat grain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0 to 42 DAH (p< 0.05). Yield at 39 DAH (3.46T/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at 42 DAH (p< 0.05). With respect to the feed value of wheat grain silage, the amount of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crude ash was different by harvesting time (p< 0.05). However, the amou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from 30 and 42 DA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H of wheat grain silage from 30 to 42 DAH was between 3.8 and 4.5 and it was stable until 39 DAH (p< 0.05). The lactic acid content of wheat grain silage from 30 to 42 DAH decreased from 3.08% to 1.10%. With respect to moisture content, yield, feed value, and fermentatio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wheat grain silage was 39 DA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라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해 보면 밀 수량은 출수 후 30일부터 42일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최대 수량은 42일차에 5.57T/ha이었는데, 39일, 42일차와는 유...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라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해 보면 밀 수량은 출수 후 30일부터 42일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최대 수량은 42일차에 5.57T/ha이었는데, 39일, 42일차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가치의 경우 조단백, 조섬유, 조회분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나, 조지방, TDN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발효에 영향을 주는 pH는 30일부터 39일까지는 pH 3.8-4.2까지 안정을 유지하다가 42일차부터는 pH4.5로 증가하여 일부 품종의 경우 발효에 적합하지 않았다(p<0.05). 따라서 밀의 곡실 발효사료 제조를 위한 최적 수확시기는 출수 후 39일차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호, "호남지역 수확시기에 따른 겉보리 곡실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한국작물학회 62 (62): 16-23, 2017

      2 조성백,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 발효사료가 임신돈의 분 성상 및 악취물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17 (17): 145-154, 2011

      3 김경훈, "조사료용 다수성 총체밀 품종 ‘청우’" 한국육종학회 47 (47): 339-344, 2015

      4 송태화, "수확시기에 따른 맥류 곡실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한국작물학회 60 (60): 174-179, 2015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World food situation: FAO cereal supply and demand brief"

      6 Owens, F.N., "The effect of grain source and grain processing on performance of feedlot cattle: a review" 75 : 868-879, 1997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al Year Book of Agriculture and Food" 287-, 2016

      8 "R Ver 3.2.3., The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platform"

      9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10 Seo Kim, "Honam" 24 : 217-224, 2004

      1 박종호, "호남지역 수확시기에 따른 겉보리 곡실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한국작물학회 62 (62): 16-23, 2017

      2 조성백,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 발효사료가 임신돈의 분 성상 및 악취물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17 (17): 145-154, 2011

      3 김경훈, "조사료용 다수성 총체밀 품종 ‘청우’" 한국육종학회 47 (47): 339-344, 2015

      4 송태화, "수확시기에 따른 맥류 곡실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한국작물학회 60 (60): 174-179, 2015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World food situation: FAO cereal supply and demand brief"

      6 Owens, F.N., "The effect of grain source and grain processing on performance of feedlot cattle: a review" 75 : 868-879, 1997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al Year Book of Agriculture and Food" 287-, 2016

      8 "R Ver 3.2.3., The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platform"

      9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10 Seo Kim, "Honam" 24 : 217-224, 2004

      11 Lee, H.W., "Feed science" KNOU press 7-, 2015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Feed process guide book" 28-, 2011

      13 Gill, D.R., "Comparative values of hulless barley, regular barley, corn and wheat for growing pigs" 25 : 34-36, 1966

      14 Kim, K.J., "Changes in milling properties during maturation of wheat kernel" 30 (30): 381-387, 1985

      15 Chang, H.G., "Changes in carbohydrate components of hard and soft wheat during kernel maturation" 19 : 69-74, 1987

      1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protein sources for the animal feed industry" 167-184, 2004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f analysis based on research" 315-374, 2012

      18 Woodman, H.E., "A chemic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wheat grain" 14 : 563-586, 192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