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량유지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운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ridge Management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the future-coming system to overcome the failure of 80's system and accommodating various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The work scope related to bridge maintenance, i.e. inspection, repair & rehabilitation, and rep...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the future-coming system to overcome the failure of 80's system and accommodating various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The work scope related to bridge maintenance, i.e. inspection, repair & rehabilitation, and replacement has been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of priority rating method for the deterioration of bridges and result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s established.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stable, practical and efficient bridge management system, for this, the various functions and tools are adopted. The effectiveness of this system was verified through test model and this system will be set up on the highway net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80년대 말에 일반적인 교량에 대한 유지관리시스템의 개발경험과 현재 국내외에서 개발하여 사용중인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의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도로공사 실정에 부합되...

      본 연구는 지난 80년대 말에 일반적인 교량에 대한 유지관리시스템의 개발경험과 현재 국내외에서 개발하여 사용중인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의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도로공사 실정에 부합되는 미래지향적인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각 교량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을 선정하고, 교량의 상태평가방법에 대한 자세한 고찰을 통해 교량의 노후도, 기능성, 사용성을 고려하여 교량의 보수 보강우선순위를 산정하는 의사결정체계를 도입하고 점검 및 보수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추진방향은 무엇보다도 실용적이고 안정적인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의 개발이므로 이를 위하여 광범위한 사전조사를 수행했으며, 철저한 업무분석을 통해 교량유지관리를 통합수용할 수 있는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시험운용을 통해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1장 서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목적
      • 1.3 연구추진 방법
      • 1.4 연구의 개발 내용
      • 제2장 교량의 유지관리
      • 2.1 개요
      • 2.2 교량의 유지관리시 고려사항
      • 2.3 교량유지관리의 효율적인 방안
      • 2.4 교량유지관리의 데이터 분석
      • 제3장 고속도로 교량의 유지관리 현황
      • 3.1 개요
      • 3.2 고속도로 교량의 유지관리업무
      • 3.2 고속도로 교량에 대한 점검 및 유지관리업무
      • 제4장 교량유지관리 시스템
      • 4.1 개요
      • 4.2 교량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
      • 4.3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의 실행 및 기대효과
      • 4.4 각국의 교량유지관리 시스템
      • 제5장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시스템의 구축방법론
      • 5.1 개요
      • 5.2 고속도로 교량의 유지관리 정보시스템 현황
      • 5.3 도로관리 정보시스템의 분석
      • 5.4 HBMS 개발 실무위원회
      • 5.5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에 관한 업무분석
      • 5.6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성
      • 5.7 HBMS의 데이터베이스구축방안
      • 제6장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 시스템의 특징
      • 6.1 개요
      • 6.2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체계
      • 6.3 시스템 개발 표준
      • 6.4 HBMS의 기능상의 특징
      • 제7장 HBMS의 기본 모듈
      • 7.1 개요
      • 7.2 기본모듈의 구성
      • 7.3 교량의 점검단위 생성 및 명명규칙
      • 제8장 HBMS의 점검 모듈
      • 8.1 개요
      • 8.2 교량의 상태평가
      • 8.3 교량의 공용내하력
      • 8.4 점검모듈의 구성
      • 제9장 HBMS의 의사결정 모듈
      • 9.1 개요
      • 9.2 해외 BMS의 의사결정 모듈
      • 9.3 HBMS의 의사결정 방식
      • 9.4 의사결정 모듈의 구성
      • 제10장 HBMS의 예산 모듈
      • 10.1 개요
      • 10.2 예산모듈의 구성
      • 제11장 HBMS의 보수보강 모듈
      • 11.1 개요
      • 11.2 보수보강 공법 선정
      • 11.3 보수보강 모듈의 구성
      • 제12장 HBMS의 보고 모듈
      • 12.1 개요
      • 12.2 HBMS의 보고모듈의 구성
      • 제13장 HBMS의 INTRANET 기능
      • 13.1 개요
      • 13.2 초기화면
      • 13.3 교량유지관리 인트라넷 기능
      • 13.4 조회 기능
      • 13.5 그래프 조회 기능
      • 13.6 관련사이트
      • 제14장 결론
      • 14.1 연구 결과
      • 14.2 시험운용 결과
      • 14.3 기대 효과 및 향후 발전전략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