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중복장애인을 위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 및 지원요구 =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AC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5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are mainly provided to teachers and related experts. In contrast, support programs for parents who spend the most time with their children are limited. T...

      Background and Objectives: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are mainly provided to teachers and related experts. In contrast, support programs for parents who spend the most time with their children a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the AAC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with CCN and to find out their support need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AC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ult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children, 2) AAC parent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3) Communication support needs. Conclusion: First, the AAC education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family members other than parents, teachers, assistants, and peers. Second, families and schools should cooperate to maximiz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Third, parent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training contents centered on the parties and specific cases. Fourth, the AAC education program needs to deal with not only the method of making AAC or using tools, but also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rate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를 가진 아동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은 주로 교사나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공되어 왔고, 실제 아동과 가장 많...

      배경 및 목적: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를 가진 아동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은 주로 교사나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공되어 왔고, 실제 아동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CCN을 가진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들의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CN을 가진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과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3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녀와의 의사소통 경험, 2)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 경험, 3) 의사소통 지원 요구. 논의 및 결론: 첫째, 부모 외 가족 구성원과 교사, 활동보조인, 또래 등으로 AAC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중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정과 학교가 협력하여야 한다. 셋째, 부모교육은 당사자 중심의 연수 내용 구성 및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AAC교육 프로그램에는 AAC 제작이나 도구 사용방법 뿐 아니라 의사소통 중재전략을 비중있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아라, "활동보조서비스 상황에서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뇌성마비 성인의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18, 2016

      2 박경옥,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AAC 지원을 위해 전문가 컨설팅에 참여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의 경험"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23-145, 2019

      3 김정연,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오혜정, "장애자녀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에 대한부모의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75-196, 2018

      5 전혜인, "장애자녀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실태 및 부모의 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3, 2014

      6 윤형준, "일상생활환경에서 AAC를 적용한 모바일 메신저 사용이 지체장애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01-416, 2019

      7 김정연, "의사소통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58-81, 2005

      8 나지영,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한 문헌 고찰: AAC 사용 초기 상징단계의 중도중복장애 아동 대상으로"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49-66, 2016

      9 서현주,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1-27, 2018

      10 김경양, "스위치를 사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스위치 조절 능력 및 AAC 도구 사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25-54, 2015

      1 조아라, "활동보조서비스 상황에서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뇌성마비 성인의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18, 2016

      2 박경옥,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AAC 지원을 위해 전문가 컨설팅에 참여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의 경험"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23-145, 2019

      3 김정연,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연구소 2 (2): 37-58, 2003

      4 오혜정, "장애자녀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에 대한부모의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75-196, 2018

      5 전혜인, "장애자녀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실태 및 부모의 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3, 2014

      6 윤형준, "일상생활환경에서 AAC를 적용한 모바일 메신저 사용이 지체장애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01-416, 2019

      7 김정연, "의사소통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58-81, 2005

      8 나지영,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한 문헌 고찰: AAC 사용 초기 상징단계의 중도중복장애 아동 대상으로"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49-66, 2016

      9 서현주, "스위치를 활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1-27, 2018

      10 김경양, "스위치를 사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스위치 조절 능력 및 AAC 도구 사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25-54, 2015

      11 김정연,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209-231, 2008

      12 유민주, "부모교육 통합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143-169, 2009

      13 전병운, "보완대체의사소통의 대화상대자 훈련 연구동향" 1 (1): 25-54, 2013

      14 김경양, "보완대체의사소통(AAC)가족참여 연구동향 분석 통한 중재요소고찰" 10 (10): 219-243, 2011

      15 김상민, "보완대체의사소통(AAC)가족지원 상담 프로그램이 연구참여자의 AAC에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2020

      16 김주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에서의 관련자간 협력에 대한 연구문헌 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128-140, 2005

      17 김경미,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상대방 중심 질문하기 중재가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195-217, 2017

      18 이명희, "또래중재를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대화상대자 훈련이 중도 지체장애 유아의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08-128, 2006

      19 이명주, "그림상징 반응카드의 사용이 장애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75-203, 2011

      20 조경현, "국내외 보완대체의사소통 가족참여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2008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 (8): 119-139, 2020

      21 최민식, "고등 및 전공과 중도장애 학부모의 학교기반 진로·직업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165-192, 2019

      22 민미영, "가정과 연계한 AAC 말하기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친 효과 -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일상 경험 말하기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5 (5): 125-155,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