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십장생문(十長生紋)에 내재된 상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0959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2021. 8. 졸업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9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Origin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 형태사항

        xii, 234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송영빈
        참고문헌: p. 154-170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80601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mbolism in the pattern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or sipjangsaengmun 十長生紋 and the thre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positioned. The ten patterns symbolizing longevity - the sun, cloud, mountain, wate...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mbolism in the pattern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or sipjangsaengmun 十長生紋 and the thre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positioned. The ten patterns symbolizing longevity - the sun, cloud, mountain, water, rock, deer, crane, turtle, pine trees, and mushroom of immortality - are uniquely found in Korea culture. The record of these ten symbols firs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and during the Joseon period these symbols were widely used in decorative paintings at the royal court as well as in folk paintings and craftwork.
      Up to this day, however, the ten symbols have been studied mainly in terms of symbolism influenced by Taoist naturalism. In this thesis I intend to shift the focus to more fundamental significance inherent in each symbol of longevity.
      In the first chapter, I will introdu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The second chapter will observe the concept of spaces in ancient religions. The symbols of longevity are composed of ten patterns of landscape and animals and plants positioned in the three spaces - the heaven, the earth, and underwater world. Especially, the ancient concept of spaces is found in landscape patterns. Considering the ancients’ nature worship, cosmology in their religious belief must be closely related to the three-stage world view 三段世界觀. They believed that the three worlds 三界 in this view represent the three spaces where sacred natural objects such as the cosmic tree 宇宙木 and the cosmic mountain 宇宙山 were located and these objects stood at the center of each world to connect the heaven and the earth. In this chapter I will examine ancient India, primitive Buddhism, Siberian Shamanism, and Confucianism in China to explore the three-world concept in detail.
      The chapter three will discuss the view on the three worlds further by examining the music in Korean Shamanism 巫歌 and explore the ancient Korean views on life, death, and the life after death. According to the three-world view from the Shamanistic music, there exist the heaven where deities and deceased rulers reside, the hell, the paradise, and the world of immortals 仙界. Particularly, the world of immortals is a unique East Asian concept which refers to a utopia in this world located someplace in a mountain or near horizon. In this ideal place immortal spirits led a life of a mortal enjoying comfort and longevity. Among the thre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it is the earth that represents the world of immortals. This chapter will trace the origi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mmortals’ world in Chinese Taoism and Korean Shamanism.
      Chapters four, five and six are an in-depth study on symbolism in each symbol positioned in the three categorized spaces of heaven, earth, and underwater world. In this section, I will concentrate on visual symbolism in artifacts. To this end, this thesis will trace the origin of each symbolic pattern by examining the motifs and designs found in artifacts and reviewing documents on mythology, historical records, and oral literature.
      First, I will study the patterns of the sun, cloud and crane located on the space of heaven. The heaven is a place where the deities reside and the souls of deceased rulers ascend to, and the patterns of the sun and the cloud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imitive worship of the light and moisture of the heavenly goddess. In ancient civilization, the sun and the cloud were expressed in symbolic motifs and I will compare these motifs with the patterns found in Korean artifacts and relics. In Korea, the sun patterns are mostly found in mural paintings of Goguryeo, decorative tiles of Shilla,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ceramic rice-cake molds and incense burners of Joseon. Regarding the crane, it was considered a bird with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linked the heaven and the earth.
      Second, I will examine the patterns of mountain, rock, deer, pine tree, and mushroom of immortality that belong to the space of earth. Each symbol wa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world and was worshipped during the rituals 祭儀 communicating with the heaven. For example, the mountain, or the cosmic mountain, was a place for rituals where the earth mother goddess was seated. The pine tree, or the cosmic tree, was believed to link the three worlds. As for the rock, it was a sacred spirit pillar 神柱, a medium through which the deities descended from heaven. The deer was considered to have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ascended the heaven carrying the sun on its back. The deer also implies a sacrificial animal 犧牲獸 for hunting ceremonies and connects the earth and the heaven by guiding the dead souls to heaven. Mushroom of immortality contains condensed spiritual influence 靈氣. According to Korean Shamanism, the deities of the heaven and earth always carried the mushroom.
      Last, I will look into the patterns of water and turtle that belong to the underwater world. Water signifies vitality and the source of life. In ancient symbolic patterns, water was expressed in the forms of deviant crease lines or zigzag pattern. The heavenly goddess, mother goddess in the river, and water goddess in ancient times were depicted to embrace the parallel or zigzag water patterns. In Korea, the water goddess is found in the forms of water maidens from the paintings of Korean Shaman gods and in the paintings of the dragon lady in underwater palace. The pattern turtle was considered an animal that supported the earth while staying in the water.
      In conclusion, I will summarize my research and present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takes a meaningful step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looks into more fundamental symbolism inherent in the ten patter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lluminates th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located in regards to the concept of the three worlds, viewing the spaces as the center of the world that connect the heaven and earth based upon ancient religious views. Moreover, this thesis discovers the divinity 神性 in each symbol and this divinity enables each symbol to connect the three worlds. Furthermore, this thesis conducts an extensive and through research into the patterns found in artifacts and relics to support the proposition.
      A study on th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the origin of each symbol will widen our perspectives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en symbols that have been recognized merely as decoration or landscape in the background. The research into the origin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ill serve to recall our unique culture that has been forgotten for the most part but still constitutes the base of our spir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십장생문에 나타난 공간과 문양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에 관한 연구이다. 십장생문은 해, 구름, 산, 물, 돌, 사슴, 학, 거북이, 소나무, 영지 등의 10가지 문양을 모은 우리나라 특유...

      본 논문은 십장생문에 나타난 공간과 문양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에 관한 연구이다. 십장생문은 해, 구름, 산, 물, 돌, 사슴, 학, 거북이, 소나무, 영지 등의 10가지 문양을 모은 우리나라 특유의 장생문(長生紋)이다. 십장생문은 장수를 상징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으로 고려시대부터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조선시대에는 궁중 장식화부터 민화와 공예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 문양이다.
      지금까지 십장생문은 도교 사상이나 자연주의에서 영향을 받은 장생문이라는 상징의미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명제에서 벗어나 십장생 문양의 근원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밝히고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Ⅱ장에서는 고대 종교에 나타난 공간의 개념을 살펴본다. 십장생문의 형식은 하늘, 땅, 물의 3개 공간에 분포된 산수문과 동식물문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산수문은 고대의 공간관이 드러난 이미지이다. 고대인들은 인간을 둘러싼 자연의 움직임에 신앙심을 투사하고 해석했다. 고대 종교에 나타난 우주론은 삼단세계관(三段世界觀)을 나타낸다. 삼단세계관, 즉 삼계(三界)는 우주산, 우주목과 같은 성스러운 세계의 중심에서, 다른 세계가 이어지는 공간관을 말한다. 이 장에서는 고대 인도, 원시 불교, 시베리아 샤먼의 의식, 중국의 유교에 나타난 공간관을 살펴보고 이 공간관들에 나타나는 삼계 개념을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한국 무속의 무가(巫歌)에 나타난 삼계관을 정리하고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과 타계관(他界觀)을 알아본다. 무가에 나오는 삼계에는 신과 죽은 왕들이 거주하는 하늘이 있고 지옥, 극락, 선계(仙界)의 공간이 있다. 선계는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현세와 접합된 이상향이다. 산속 어딘가, 지평선 어딘가 있는 선계는 현세의 즐거움을 그대로 가지고 장생하는 신선들이 사는 곳이다. 십장생문의 공간 중 지상은 선계를 나타내며, 선계의 유래와 의미를 중국 도교와 한국 무속에서 찾아본다.
      Ⅳ장부터 Ⅵ장까지는 십장생 각 문양의 내재된 상징을 하늘, 땅, 물의 공간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 고찰은 유물에 나타난 시각적인 상징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물에 나타난 기호와 문양의 실증(實證)부터 신화, 역사서, 구비문학 등 문헌의 고찰을 통해 문양의 근원을 찾아본다.
      먼저 십장생문의 천상계에 위치한 해, 구름, 학에 대해 고찰한다. 하늘은 신이 존재하고 죽은 지배층의 영혼이 올라가는 곳이다. 이곳의 문양소인 해와 구름은 원시시대의 신앙인 하늘여신의 빛과 수분에 대한 숭배를 표상한다. 고대 문명에서 태양문, 구름문은 기호문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한국의 유적과 유물에 나타난 태양과 구름의 문양과 비교, 고찰한다. 태양문은 고구려 고분벽화, 신라 치미, 고려 불화, 조선 도자 떡살과 향로 등에 나타나며, 학은 태양새의 속성을 지니고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동물이다.
      십장생문 지상계의 문양은 산, 돌, 사슴, 소나무, 영지가 있다. 이 문양들은 하늘과 소통하는 제의(祭儀)와 연관되어 있고 세계의 중심을 표상한다. 산은 우주산으로 지모신의 좌정처이며 제의의 장소이다. 소나무는 우주목(宇宙木)으로 삼계를 이어준다. 또한 돌은 신이 내려오는 매개체인 신주(神柱)이며 성스러운 장소를 표방하는 표지이다. 사슴은 태양을 등에 얹고 올라가는 태양사슴의 속성, 사냥의례에 나타나는 희생수(犧牲獸)의 속성을 가지며, 죽은 자를 인도하고 지상과 하늘을 연결한다. 영지는 영기(靈氣)를 응축한 형태로 한국 무속에서 천상과 지상 신들의 지물(持物)이다.
      십장생문 수계의 문양으로 물과 거북이 있다. 물은 생명력, 배태력을 상징하며 생명의 원천지로 여겨진다. 물은 고대 기호문양으로 빗금, 지그재그문으로 나타난다. 원시시대 하늘여신, 강의 어머니, 물의 여신은 평행선과 지그재그문으로 물의 문양을 품고 있다. 우리나라 무신도에서 물의 여신으로 물애기씨, 용궁부인도가 나타난다. 거북은 지하계의 대표 동물로 영혼을 다른 세계로 인도하기도 하며, 지하에서 땅을 받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Ⅶ장은 결론 부분으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장수 상징 개념을 넘어 십장생문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을 찾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십장생문의 공간을 고대 종교관에 입각하여, 세계의 중심에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공간인 삼계라는 개념으로 상정한 점, 십장생문 각 문양소의 근원이 신성(神性)을 가지고 있고 삼계를 이어준다고 밝힌 점, 이를 규명하기 위해 유물과 유적의 문양으로 실증한 점에 의의가 있다.
      십장생문 공간과 문양의 근원에 대한 탐구는 산수와 같은 주변 문양 또는 장식 문양만으로 인식되어온 문양의 심도 있는 이해를 도와주고 상징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준다. 십장생 문양의 연원(連原) 탐구는 지금은 잊힌 우리 정신세계의 밑바탕에 흐르는 문화를 다시금 상기(想起)하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목적 및 선행연구 1
      • B. 연구방법 및 연구의의 5
      • Ⅱ. 고대 종교의 공간관, 삼계(三界) 8
      • A. 고대 인도의 삼계 : 천계(天界), 공계(空界), 지계(地界) 11
      • Ⅰ. 서론 1
      • A. 연구목적 및 선행연구 1
      • B. 연구방법 및 연구의의 5
      • Ⅱ. 고대 종교의 공간관, 삼계(三界) 8
      • A. 고대 인도의 삼계 : 천계(天界), 공계(空界), 지계(地界) 11
      • B. 원시 불교의 삼계 :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15
      • C. 시베리아 민족의 공간관 19
      • D. 중국의 공간관, 천지인(天地人) 30
      • Ⅲ. 십장생문의 공간관 43
      • A. 한국 무속의 공간관 43
      • B. 십장생문의 공간, 선계 51
      • 1. 중국 도교의 선계 52
      • 2. 한국 무속의 선계 60
      • Ⅳ. 십장생문의 상징, 천상계 69
      • A. 해 70
      • B. 구름 83
      • C. 학 90
      • Ⅴ. 십장생문의 상징, 지상계 95
      • A. 산 96
      • B. 돌 103
      • C. 소나무 110
      • D. 사슴 119
      • E. 영지 127
      • Ⅵ. 십장생문의 상징, 수계 132
      • A. 물 132
      • B. 거북 140
      • Ⅶ. 결론 148
      • 참고문헌 154
      • 참고도판 171
      • ABSTRACT 23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관중, 김필수, "관자", 소나무, 2006

      2 임동석, 좌구명, "국어", 동서문화사, 2009

      3 김성례, 피어스 비텝스키, "샤먼", 창해, 2005

      4 김학주, 열자, "열자", 연암서가, 2011

      5 김달진, 장자, "장자", 문학동네, 1999

      6 박제상, 윤치원, 원저, "부도지", 대원, 2002

      7 김영지, 전발평, 예태일, 서경호, "산해경", 안티쿠스, 2008

      8 김장환, 유향, "열선전",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9 갈홍, 장영창, "포박자", 자유문고, 1989

      10 갈홍, 이준영, "포박자", 자유문고, 2014

      1 관중, 김필수, "관자", 소나무, 2006

      2 임동석, 좌구명, "국어", 동서문화사, 2009

      3 김성례, 피어스 비텝스키, "샤먼", 창해, 2005

      4 김학주, 열자, "열자", 연암서가, 2011

      5 김달진, 장자, "장자", 문학동네, 1999

      6 박제상, 윤치원, 원저, "부도지", 대원, 2002

      7 김영지, 전발평, 예태일, 서경호, "산해경", 안티쿠스, 2008

      8 김장환, 유향, "열선전",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9 갈홍, 장영창, "포박자", 자유문고, 1989

      10 갈홍, 이준영, "포박자", 자유문고, 2014

      11 유협, 최동호, "문심조룡", 민음사, 1994

      12 고승, 김만원, "사물기원", 역락, 2015

      13 김부식, "삼국사기", null

      14 김원중, 일연, "삼국유사", 민음사, 2007

      15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윤기, "샤마니즘", 까치, 1992

      16 박용숙, "샤먼문명", 소동, 2015

      17 김근, 여불위, "여씨춘추", 글항아리, 2012

      18 마르셀 그라네, 유병태, "중국사유", 한길사, 2010

      19 하신, 홍희, "신의 기원", 집문당, 1993

      20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 "원시문화2", 아카넷, 2018

      21 허균, "전통 문양", ; 서울: 대원사, 2002, 1995

      22 유안 , 이준영, "회남자 상", 자유문고, 2015

      23 신동준, 좌구명, "춘추좌전 3", 한길그레이트북스, 2006

      24 최원오, "한국신화 1", 여름언덕, 2004

      25 윤열수, "민화이야기", 서울: 디자인하우스, 2003

      26 현승완, 현용준, "제주도무가",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15

      27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은봉, "종교형태론", 그레이트 북스, 2009

      28 박성규,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 1999

      29 김태곤, 김효정, "한국무신도", 열화당, 1993

      30 유헌식, "구름과 사유", 대동철학, 65, 301-320, 2013

      31 김덕삼, "도교의 기원", 시간의 물레, 2009

      32 임동권, "무경의 계보", 한국무속학, 3, 137-141, 2001

      33 박희영, 프랑수아 줄리앙, "사물의 경향", 한울, 2009

      34 감영수, 잔 스츄앙, 안동준 , "여성과 도교", 여강, 1993

      35 마리야 김부타스, 고혜경, "여신의 언어", 한겨레 출판, 2016

      36 미르치아 엘리아데, 정진홍, "우주와 역사", 현대사상사, 1976

      37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이기숙,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38 이은구, "인도의 신화", 세창미디어, 2003

      39 김재홍, 브루노 스넬, "정신의 발견", 까치, 1994

      40 이중톈, "중국사 1, n.p", : 글항아리, 2013

      41 이중톈, "중국사 2, n.p", : 글항아리, 2013

      42 이중톈, "중국사 3, n.p", : 글항아리, 2014

      43 한국도가학회, "포박자 연구", 도서출판 문사철, 2016

      44 김명신, 정민경, 이연희, 이민숙, 응소, "풍속통의 상", 소명출판, 2015

      45 김원중, 진수, "삼국지 위서2", 민음사, 2007

      46 강순형, "「조선어보」", 『조선어보』, 궁중유물전시관, 1995

      47 노자키 세이킨(野岐誠近), 안양길, 변영섭, "中國吉祥圖案", 도서출판 예경, 1992

      48 유중선, "岩石信仰傳說", 한국민속학, 2, 53-68, 1970

      49 이양구, 제임스 프레이저, "문명과 야만II", 강천, 1996

      50 최병헌, "백제금동향로", 한국사 시민강좌, 23, 134-152, 1998

      51 왕대유, 임동석, "용봉문화원류", 동문선, 1994

      52 김종대, 임장혁, 이승수, "이천거북놀이", 민속원, 2006

      53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서울: 예원, 1998

      54 김만원, 반고, "백호통의 역주", 역락, 2018

      55 정병조, "불교의 우주관", 과학사상, (10), 80-98, 1994

      56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이미지와 상징", 까치, 2018

      57 박우택, 홍태한, "한국의 무신도", 민속원, 2008

      58 김종대, "한국의 성신앙", 인디북, 2004

      59 마이클 탤보트, "홀로그램 우주", 정신세계사, 1999

      60 양민종, "《샤먼이야기》", 정신세계사, 2003

      61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n.p", : 대윤, 2005

      62 막스 베버, 이상률, "유교와 도교, n.p", : 문예출판사, 1990

      63 심연옥, "한국자수이천년", 삼화인쇄출판사/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20

      64 심연옥, "한국직물이천년", 삼화인쇄출판사/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06

      65 노브고라도바, 정석배, "蒙古의 先史時代", 학연문화사, 1995

      66 갈조광, 심규호, "도교와 중국문화", 동문선 문예신서, 1993

      67 송조린, 홍희, "생육신과 성무술", 동문선, 1998

      68 김종성, "신라왕실의 비밀", 역사의 아침, 2016

      69 박미라, 위앤양, "중국의 종교문화", 길, 2000

      70 강우방, "한국미술의 탄생", 솔, 2007

      71 김태곤, "한국의 무속신화", 집문당, 1985

      72 나희라, "한국인의 생사관", 지식산업사, 2008

      73 최준식, "한국인의 생사관", 종교연구, 10, 173-208, 1994

      74 이내옥, "백제 문양전 연구", 미술자료, NO.72,73, 2005

      75 전호태, "비밀의 문 환문총", 김영사, 2014

      76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용주, "세계종교사상사 3", 이학사, 2005

      77 아리엘 골란, 정석배, "세상의 모든 문양", 푸른역사, 2004

      78 김홍남, "중국 한국 미술사", 학고재, 2009

      79 이평래, 체렌소드놈, "「다얀 데레흐 2」", 『몽골민간신화』. 대원사, 2001

      80 이선우, "『태을금화종지』", 에 대한 융의 해설, 동서비교문학저널, (46), 295-314, 2018

      81 이어령, "공간의 기호학, n.p", : 민음사, 2000

      82 유요한, "종교⸱상징⸱인간", 21세기 북스, 2014

      83 김열규, "한국인의 신화, n.p", : 일조각, 2005

      84 이성구, "漢代의 死後世界觀", 중국고중세사연구, 38, 2015

      85 동아시아 고대학회, "동아시아의 영혼관", 경인문화사, 2006

      86 김윤아, 최혜영, 최원오, 이재정, 양민종, 신진숙, 문현선, "유라시아 신화여행", 서울 : 아모르문디, 2018

      87 남경희, 콘퍼드, "종교에서 철학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88 김영균, "탯줄과 숫자 3 연구", 비교민속학, 44, 129-163, 2011

      89 나희라, "고대 한국의 타계관", 한국고대사연구, 30, 83-111, 2003

      90 고성훈, 이윤희, 여동빈, "공역, 태을금화종지", 여강, 2005

      91 백승균, 야스퍼스, "역사의 기원과 목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7

      92 박선화, 에리히 노이만, "위대한 어머니 여신", 살림, 2007

      93 김용헌, 모트, "중국의 철학적 기초", 서울:서광사, 1994

      94 전호태, "고구려고분벽화연구", 사계절, 2000

      95 장광직, 하영삼, "중국 청동기 시대 하", 학고방, 2017

      96 박성훈, "편, 한국삼재도회 上", 시공사, 2002

      97 김진희, 천축기담, "(알기 쉬운) 인도신화",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9

      98 니꼴라이 예꼐예프, 이건욱, 양민종, 알렉세이 츄마까예프, "(알타이)샤머니즘, n.p", : 국립민속박물관, 2006

      99 김의숙, "물의 제의(祭儀) 연구", 인문과학연구, 9, 33-57, 2001

      100 윤이흠, "天思想의 宗敎的 意味", 유교사상문화연구, 4 5, 1992

      101 김일권,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 사계절, 2008

      102 양민종, 일리야 N, 마다손 채록, "바이칼의 게세르 신화", 솔, 2008

      103 정선경, "신선설화를 읽는 방법", 중국어문학논집, (104), 217-241, 2017

      104 전호태, "한국 고대의 여신신앙", 역사와경계, 108, 1-28, 2018

      105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서울: 두산동아, 1992

      106 최수빈, "도교의 생사관(生死觀)", 도교문화연구, 37, 239-284, 2012

      107 나가르주나, "서경보 옮김, 대지도론", 명문당, 1986

      108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민속신앙사전, n.p", : 국립민속박물관, 2009

      109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2』", 서울: 두산동아, 2000

      110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2:중국", 김영사, 2004

      111 김석수, 허용호, 박선경, 김열규, "한국인의 죽음과 삶, n.p", : 철학과 현실사, 2001

      112 나다니엘 엘트먼, "황수연 옮김, 물의 신화", 해바라기, 2003

      113 박정진, "단군신화에 대한 신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10

      114 김진영, "인도신화와 고통의 문제", 남아시아연구, 24(4), 35-54, 2019

      115 허균,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 서울: (주)교보문고, 2001, 1991

      116 방동미, "『원시 유가 도가 철학』", 서광사, 1999

      117 전호태, "고구려 진파리1호분 연구", 역사와현실, (95), , 147-179, 2015

      118 김영권, 임진호, "신화로 읽는 중국의 문화", 문현, 2010

      119 동중서, 이상은, "유가 독존의 시대를 열다", 공업화학 전망, 제 22권 제2호, 2019

      120 전호태, "화상석 속의 신화와 역사", 소와당, 2009

      121 이용진, "한국(漢國)의 서왕모 도상", 동악미술사학, 6, 101-127, 2005

      122 윤이흠, "기독교의 신성화와 세속화", 과학사상, (24), 1998

      123 진형준, 질베르 뒤랑,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문학동네, 2007

      124 홍윤희, "신화를 생산하는 신화학자", 중어중문학, 51, 139-168, 2012

      125 이욱, "조선 왕실의 제향 공간, n.p",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126 김태중, 최광식, 이완재, 신종원, 문경현, "신라인의 산악 숭배와 산신", 신라문화제 학술발표논문집, 12, 15-40, 1991

      127 허흥식, "한국 신령의 고향을 찾아서", 집문당, 2006

      128 박원길, "북방문화원형과 조형스타일", 아시아민족조형학보, 11, 5-76, 2012

      129 이규보, "(李奎報), 국역 동국이상국집", 민족문화추진회, 1978

      130 손정일, "「고대 중국인의 사후인식」", 『중국어문학논집』제29호, 2004

      131 김원중, 사마천, "사마천, 김원중 옮김, 민음사", 민음사, 2018

      132 동북아문화재단, "알타이스케치_산지 알타이편", 동북아문화재단, 2014

      133 박본수, "조선시대 궁중장식화와 민화", 한국색채학회, 2013

      134 방병선, "明末淸初 中國 靑花白瓷 연구", (30), 321-351, 2008

      135 곽영화, "굿그림(무신도)의 도상해석학", 민족미학, 10(2), 255-265, 2011

      136 윤열수, "그림으로 보는 한국의 무신도", 이가책, 1993

      137 윤명철, "단군신화에 대한 구조적 분석", 韓國思想史學, VOL.2, NO.1, 123-204, 1988

      138 최경화, "조선후기 십장생문 백자 연구",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95), 83-110, 2017

      139 유재빈, "2장, 궁중 회화 속의 산과 나무", 숲과문화연구회, 2016

      140 김지선, "《박물지》에서의 공간의 의미", 중국어문학지 12, 2002

      14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4", ; 서울: 웅진출판 주식회사, 1997, 1991

      142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n.p", : 예문서원, 2007

      143 김화영, "한국연화문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7

      144 유미나, "「민화 속의 거북 도상과 상징」", 한국민화, (7), 132-161, 2016

      145 하문식, "고인돌의 숭배 의식에 대한 연구", 비교민속학, 2008

      146 하야시 미나오, "돌에 새겨진 동양의 생활과 사상", 두남, 1996

      147 신준식, "막스 베버의 도교론에 관한 연구", 사회와 이론, 2007

      148 곽진석, "에벤크족 샤먼 북에 나타난 상징", 한국문학논총 51호, 2009

      149 이윤기, 진쿠퍼,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2019

      150 이하우, "알타이의 제단제의장소 바위그림", 12, 155-182, 2007

      151 임영주, "한국문양사:한국미술양식의 흐름", 미진사, 1983

      152 강영경, "「고대 한국 무속의 역사적 전개」", 『한국무속학』제10집, 2005

      153 유병덕, "韓國 精神史에 있어서 道敎의 特徵", 도교문화연구, 1, 61-70, 1987

      154 윤용남, "유가의 생사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 『철학논총』, 새한철학회, 제 59집, 2010

      155 장장식, "「몽골의 어머니신앙과 여성신격」", 『동아시아 여성신화』, 집문당, 2003

      156 이안근, "「전통식물문양의 기호학적 연구」", 『조형미디어학』, 19권1호, 2016

      157 사라알란, 오만종, "거북의 비밀-중국인의 우주와 신화-", 예문서원, 2002

      158 한형주,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 시대적 특성", 민족문화연구 제41호, 3-39, 2004

      159 박본수,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십장생도>」", 󰡔美術史論壇』15, 한국미술연구 소, 2002

      160 문혜진, "샤머니즘박물관 무신도의 여신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42(3), 2019

      161 양회석, 이수진, "「공맹의 생사관과 그 문학적 수용」", 『중국인문과학』제40집, 2008

      162 윤덕인, "강원도 민속제의의 제물에 관한 연구", 비교민속학, 30, 419-463, 2005

      163 임장혁, "고대의 사냥과 가축에 의한 동물공희", 비교민속학, 70, 173-198, 2019

      164 양회석, 진영아, "신화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생사관", 『중국인문과학』, 제 40집, 2008

      165 박원길, "유라시아 초원제국의 샤마니즘, 서울", 민속원, 2001

      166 고은영, "제주도 특수신본풀이의 성격과 의미,",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 원, 2019

      167 리길산, 현채련, 하현명, "죽음앞에서 곡한 공자와 노래한 장자", 예문서원, 1999

      168 고현아, "「신라 원화제 시행의 배경과 성격」", 󰡔역사와 현실󰡕 67, 2008

      169 윌리엄 시어도어 드 베리, "다섯 단계의 대화로 본 동아시아 문명", 실천문학사, 2001

      170 편무영, "시왕 신앙을 통해 본 한국인의 타계관", 민속학연구, (3), 223-250, 1996

      171 김난주, "융 심리학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신화", 집문당, 2007

      172 성인근, "조선시대 어보(御寶)의 상징체계 연구", (38), 121-152, 2014

      173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제의(祭儀)", 역사와현실, 32, 93-122, 1999

      174 김인희, "「고구려의 지모신 신앙과 성적제의」", 『동아시아 여성신화』, 집문당, 2003

      175 엄순천, "「문양에 나타난 에벤키족의 세계관」", 『인문연구』, 80권,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176 임재해, "「설화에 나타난 우주론적 공간인식」", 『기층문화를 통해본 한국인의 상상체계』상, n.p.: 민속원, 1998

      177 멜리사 리틀필드 애플게이트, "벽화로 보는 이집트 신화, 최용훈 옯김", 해바라 기, 2000

      178 양종승, "한국 무속식 고찰 : 무속도를 중심으로", 몽골학4, 1996

      179 허균, "日月五嶽圖의 思想的 背景에 관한 試考", 한국민화, (2), 7-25, 2011

      180 박본수, "朝鮮後期 十長生圖 硏究,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81 나희라, "고대 한국의 저승관과 지옥관념의 이해", 한국문화, 38, 2006

      182 박대남, "부여 규암면 외리출토 백제문양전 고찰", 신라사학보, (14), 199-242, 2008

      183 송화섭, "시베리아 알타이 지역의 샤먼상 암각화", 한국무속학, 16, 349-389, 2008

      184 손광성, "일월오악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185 정선경, "『태평광기』신선고사의 시공간성 연구", ,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86 김효정, "튀르크 설화 속의 종족기원 모티브 연구", 지중해지역연구, 10(3), 1-32, 2008

      187 김진영, "힌두 죽음의례의 신성화 구조와 그 기능", 남아시아연구, 19(3), 59-80, 2014

      188 심연옥,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의 복식직물과 문양",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73), 5-33, 2012

      189 강삼혜, "대곡리암각화 사슴상의 의미와 도상양식", 강좌미술사, 2016

      190 박종성, 임재해, "산신설화의 전승양상과 산신숭배의 문화", 비교민속학, 29, 2005

      191 허남춘, "성모ㆍ노고ㆍ할미란 명칭과 위상의 변화", 한국무속학, 29, 115-142, 2014

      192 김민수, "시베리아 에벤크족의 세계 모델과 강(江)", 슬라브학보, 30(1), 29-56, 2015

      193 천진기, "신라 토우에 나타난 신라속(新羅俗) 연구", 민속학연구, (5), 43-66, 1998

      194 정선경, "「선경설화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고찰」", 『동아시아의 영혼관』, 경인 문화사, 2006

      195 김일권, 정성희, "壁畵天文圖를 통해서 본 高句麗의 正體性", 고구려발해연구, 18, 1039-1063, 2004

      196 김성환, "黃老道 연구 : 사상의 기원과 사조의 계보", 도교문화연구, 27, 33-72, 2007

      197 김일권, "위진 수당대 고분벽화의 천문성수도 고찰", 한국문화, 24, 199-242, 1999

      198 이수진, "유가(儒家) 생사관(生死觀)의 형성과 전개",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발표 논문, 2009

      199 최인학, "기층문화를 통해 본 한국인의 상상체계 상", 민속원, 1998

      200 백련사, 주수완, "사적비(圓妙國師碑) 귀부의 미술사적 의의", 강좌 미술사, 48, 2017

      201 김성민, "서양 연금술에 대한 융의 종교철학적 고찰", 현상학과 현대철학, 43, 135-160, 2009

      202 임재해, "설화에 나타난 나무의 생명성과 그 조형물", 비교민속학, 4, 69-100, 1989

      203 윤찬원, "「明淸時代 功過挌들에 나타난 도교윤리」", 󰡔도교문화연구』, 제47집, 2014

      204 김현석, 양회석, "「노장(老莊)의 생사관과 그 문학적 수용」", 『중국인문과학』, 제 40집, 2008

      205 김정임, "朝鮮時代 <日月五峯圖> 役割의 擴散과 展開", 문화사학, (43), 2015

      206 김정은, "〈십장생도(十長生圖)〉의 상징과 생명사상", 한국민화, (6), 6-40, 2015

      207 김종대, 윤서옥, "경기도 거북놀이의 전승과 새로운 계승양상", 어문론집 60, 2014

      208 김진영, "베다제식의 신화적 구조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209 어건주, "신화 분석을 통한 시베리아지역정체성 연구", 30(4), 81-114, 2014

      210 조현학, "M이론에 의한 삼계(三界)의 실체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 회논문집, 9-33, 2012

      211 박종성, "「한국 만족 몽골의 창세신화 변천의 의미」", 『口碑文學研究』, 한국 구비문학회 제11집, 2000

      212 김진영, "베다 , 제식에서의 다끄시나(dak.si.naa)의 의미", 인도철학, no.16, 2004

      213 김주미, "三足烏 朱雀 鳳凰 圖像의 성립과 친연성 고찰", 역사민속학, (31), 233-285, 2009

      214 장석호, "선사 및 , 고대 미술 속 하이브리드 형상 연구", 19(1), 2014

      215 위안커, "중국신화사 上, 김선자⸱이유진⸱홍윤희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2010

      216 장상교, "떡살의 이용양상과 문양의 의미,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1

      217 곽진석, "시베리아 에벤크족의 신앙과 신화에 대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22, 345-363, 2010

      218 우노 하르바, "알타이 민족들의 종교적 표상 샤머니즘의 세계", 보고사, 2014

      219 김용숙, "샤먼문명 별과 , : 우주를 사랑한 지동설의 시대", 소동, 2015

      220 이건욱, "「시베리아민족들의 동물에 대한 관념과 상징」", 『샤머니즘의 사상』, 민속원, 2013

      221 김일권, "고구려 초기벽화시대의 神話와 昇仙적 道敎思想", 역사민속학, (18), 455-482, 2004

      222 윤경식, "이천거북놀이의 전승과 전통창출,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대학원, 2011

      223 염중섭, "불국사 가람배치의 사상배경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224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존(尊),뢰(罍)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 58, 171-240, 2001

      225 김성환, "한국 고대 仙敎의 ‘빛’의 상징에 관한 연구(上)", 도교문화연구 31, 29-55, 2009

      226 박정혜, "「순조 헌종년간 궁중연향의 기록: 의궤와 도병」", 『조선시대 향연과 의 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227 임재해, "건국본풀이로 본 시조왕의 해 상징과 정치적 이상", 비교민속학 43, 2010

      228 김일권, "고구려 고분벽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 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5), 249-290, 2009

      229 임병학, "『周易』으로 해석한 고구려의 祭天儀禮와 三足烏", , 원불교 사상과 종교 문화, 77, 2018

      230 김용범, 이승수, "서사문학 (敍事文學)에 나타난 우리 민족의 우주관", 민족과 문 화 1, 1993

      231 김용권, "「歲畵十長生圖의 상징과 그 쓰임새에 관한 연구」", 『동양예술』 6호, 한국동양예술학회, 2002

      232 백승정, "「몽골의 인장에 나타난 알항헤 디자인의 상징성」", 󰡔몽골학』 32권, 한 국몽골학회, 2012

      233 나희라, "고대 한국의 샤마니즘적 세계관과 불교적 이상세계", 한국고대사연구, 20, 197-249, 2000

      234 홍지예, 홍희, "문양과 의례로 본 동고(銅鼓) 문화의 상징체계 분석", 중국학논총 41, 2014

      235 문준일, "시베리아 에벤족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신화적 형상", 35(2), 69-95, 2019

      236 정진희, "中國熾盛光如來圖像考察(중국치성광여래도상고찰) 2", 불교학보, 63, 373-405, 2012

      237 김민수, "러시아 극동지역 우데게족 설화에 나타난 곰과 호랑이", 동화와 번역 (21), 15-38, 2011

      238 전나나, "덕수궁 중화전 당가 구조와 오봉병의 원형에 대한 고찰", 미술사학, (39), 189-218, 2020

      239 양종승, "시베리아지역 샤머니즘의례의 다양성에 대한 사례연구", 단군학연구, (20), 211-245, 2009

      240 심영옥, "「십장생도에 내재된 壽福吉祥의 상징적 이미지 연구」", 『동양예술』 10집, 한국동양예술학회, 2004

      241 나희라, "고대 한국의 생사관(生死觀)-영혼관(靈魂觀)을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47, 89-116, 2008

      242 미즈노고겐(水野弘元), "東峰 옮김, 원시불교(서울 : 진영사), 민속학회, 민속신앙", 교문사, 1989, 1987

      243 염중섭, "佛敎의 須彌山 宇宙論에 관한 空間性 硏究,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 교 대학원, 2011

      244 김진영, "베다 초기에 나타난 죽음(mṛtyu) 개념의 기원과 전개 양상", 印度哲學 NO.37, 2013

      245 명세나, "조선시대 오봉병 연구 – 흉례도감 의궤 기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46 노미선, 오정, "중국 태양숭배사상의 시각적 표현연구 새형상을 중심으로", 한국 디자인학회, 2014

      247 류기수, "「중국(中國)과 한국(韓國)의 장수(長壽) Icon에 관한 소고」", 『중국학 연구』제45집, 2008

      248 조우연, "신작집궁정(神雀集宮庭) - 고구려 왕권 관련 신이기사 검토", 동아시아 고대학, 48, 47-117, 2017

      249 염중섭, "樓炭經 계통과 大毘婆沙論 계통의 須彌山 宇宙論 차이 고찰", 철학논 총, 56, , 223-253, 2009

      250 이건욱, "러시아 연방 극동 연해주 지역 원주민들의 호랑이 민속 연구", 21(2), 245-278, 2017

      251 김중순, "한국문화원류의 해명을 위한 문화적 기호로서‘새’의 상징", 한국학논 집 VOL.0 NO.56, 2014

      252 이영미, "민속에 나타난 거북상징 연구:설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 학교 대학원, 2001

      253 겅태화, "「집안오회분5호묘 천장벽화의 새로운 해석」(北方文物 3, 1993)", 『고 구려고고학논문해제집2 고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254 심하은, "상징을 통한 인간 내면의 소우주적 세계에 대한 연금술적 고찰", 연세 상담코칭연구, 5, 169-192, 2016

      255 조원교, "조선시대 도자기 그림에 대한 新解釋 -海中神山ㆍ三神山 그림-", 문화와 예술연구 12, 2018

      256 강인욱, "스키토-시베리아 문화의 기원과 러시아 투바의 아르잔 1호 고분", 20(1), 127-151, 2015

      257 이안나, "제주와 몽골의 돌 신앙- 신체(神體)의 산육시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민족문화연구, 2011

      258 서유원, "중국 주요 시조신화에 보이는 태양숭배와 태양 감응신화의 연구", 아시 아문화연구, 28, 93-119, 2012

      259 정연수, "백제금동대향로 계룡(鷄龍) 장식의 상징성과 역학사상(易學思想)", 한국 철학논집49, 2016

      260 구혜인, "조선시대 보궤불식의 함의와 제기(祭器)의 도철 거북문과의 관계", 한 국학(구 정신문화연구), 39(3), 77-110, 2016

      261 전금화, "동아시아 신화의 맥락에서 본 한국 돌 신화소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 울대학교 대학원, 2017

      262 최운식, "설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 「 영혼관 」『동아시아의 영혼관』", 경인 문화사, 2006

      263 강인욱, "유라시아 동부 초원지역 선비 유연 시기 고고학적 문화와 그 의의", 동북아역사논총, (57), 34-75, 2017

      264 김기주, "동양 自然觀의 비교철학적 연구-동서자연관의 거시적 비교와 전망", 동 양철학, 2002

      265 권지희, "조선후기 십장생도의 상징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 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66 노미선, "태양숭배 사상을 통해 본 중국 태양상징으로서의 ‘원’도형 연구", 한 국디자인포럼, 2014

      267 김선자, "도상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漢代 畵像石 - 西王母 圖像을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논집, (21), 391-419, 2002

      268 문동석, "한성백제(漢城百濟)의 도교문화(道敎文化)와 그 성립과정(成立過程)", 백 제연구, NO.50, 2008

      269 노중국, "한국 고대 사회에서 의기(儀器)와 위세품(威勢品)이 보여주는 상징성", 계명사학, 21, 1-33, 2010

      270 나희라, "「서왕모 신화에 보이는 고대 중국인의 생사관」, 󰡔종교학연구』15", 서 울대종교학연구회, 1996

      271 서유원, "중국 소수민족의 주요 創世神話에 보이는 천지형상과 補天神話의 연 구", 중국어문논역총간, 39, 37-63, 2016

      272 조셉니담, "콜린로넌 축약, 김영식, 김제란 옮김, 중국의 과학과 문명: 사상 적 배경", 까치, 1998

      273 김효정, "튀르크 설화 속에 나타난 사슴 모티브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제 26-2호", 한국중동학회, 2006

      274 조원교,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 圖像 연구(下) - 三國時代까지, 氣 표현 중심 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79), 2015

      275 노미선, "중국 태양숭배사상에 나타난 태양 상징 분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5

      276 유경환, "구지가(龜旨歌)에 나타난 거북의 상징적(象徵的) 의미(意味)와 기능(機 能)", 어문연구, 26(2), 67-81, 1998

      277 최원오, "동북아신화에서의‘惡, 또는 부정적 존재들’에 대한 비교신화학적 이 해", 한국문학논총 제54호, 2010

      278 양민종, "무당 귀물(鬼物) 연구 : 『삼국유사』의 삼부인(三符印)과 무당의 거 울 칼 방울을 중심으로", 생활문물연구 2, 2001

      279 조현학, "삼계(三界)Ⅱ,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55, 존 바우커, 세계종교로 보는 죽음의 의미", 청년사, 2005, 2014

      280 임재해, "민속종교에서 숭배되는 나무와 숲, 산림문화대계, VOL.3 NO.-, 자크 브로스, 주향은 옮김, 나무의 신화", 이학사, 199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