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T 학부생의 다중지능과 학문적 적응도 분석 -C 프로그래밍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Academic Adjustment Lev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of IT Major -Focused on C Programm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357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IT 학부생의 다중지능에서의 특성과 학과 및 전공학문에 대한 학문적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H대학 M과의 IT 학부생 1학년 신입생 70명이었고 전공학문은 학과의 기초전...

      본 연구는 IT 학부생의 다중지능에서의 특성과 학과 및 전공학문에 대한 학문적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H대학 M과의 IT 학부생 1학년 신입생 70명이었고 전공학문은 학과의 기초전공필수인 "컴퓨터언어I-C언어" 과목이었다. 연구는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서 논란의 소지가 적은 8개 지능 영역을 사용하였고, 학문적 적응도는 대학생의 학과와 전공학문에 대한 적응력의 정도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변인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해 흥미, 몰입, 학과전공에 대한 친숙성과 관련성의 정도,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과만족도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IT 학부생은 다중지능 중 대인지능과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으로 나타났고 남녀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다중지능과 학문적 적응도 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학문적 적응도에서 C프로그래밍 학문에 대해 흥미와 몰입이 낮았지만 다중지능의 언어지능과 C언어에 대한 몰입과의 유의미한 상관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였다. 다중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유의미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공학문에 대한 관련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C언어에 친숙함을 많이 느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을 논의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IT학부생의 학문적 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처방적 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 levels of academic adjustment for the department and the maj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T. Seventy freshmen majoring in IT at the department of M, H University p...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 levels of academic adjustment for the department and the maj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T. Seventy freshmen majoring in IT at the department of M, H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basic major subject required for the department was Computer Language: I-C Language. Eight intelligence areas less controversial i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ere used; academic adjustment was manipulatively defined as the degree of adjustment for the department and the maj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nd pleasure, flow, familiarity and relevance to the major, academic achievement, and major 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T showed high levels of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ith in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academic adjustment. In particular, while pleasure and flow in C programming were found to be at low levels in academic adjustmen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nguistic intellig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and flow in C language was a very interesting finding. Whil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who were more highly aware of the relevance to the major and who were more familiar with C language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bout prescriptive strategie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미, "대학생의 두뇌우성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7 (7): 75-97, 2011

      2 김주현,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청소년기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93-412, 2005

      3 김종운,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201-227, 2012

      4 김혜온, "다중지능 이론의 비판적 성찰"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1-19, 2009

      5 신희경, "내적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대학 및 학과에 대한 만족도와 학문적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45 (45): 71-100, 2007

      6 이웅규, "내재적 동기가 프로그래밍 언어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159-175, 2010

      7 최병수, "교육용 모바일 앱의 ARCS 요인과 학습지속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3 (13): 239-247, 2013

      8 윤경미,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다중지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517-536, 2008

      9 H. J. Kim, "Validation study of multiple intelligence measur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10 H. J. Kim, "Validation Study of Multiple Intelligence Measur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1 김경미, "대학생의 두뇌우성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7 (7): 75-97, 2011

      2 김주현,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청소년기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93-412, 2005

      3 김종운,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201-227, 2012

      4 김혜온, "다중지능 이론의 비판적 성찰"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1-19, 2009

      5 신희경, "내적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대학 및 학과에 대한 만족도와 학문적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45 (45): 71-100, 2007

      6 이웅규, "내재적 동기가 프로그래밍 언어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159-175, 2010

      7 최병수, "교육용 모바일 앱의 ARCS 요인과 학습지속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3 (13): 239-247, 2013

      8 윤경미,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다중지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517-536, 2008

      9 H. J. Kim, "Validation study of multiple intelligence measur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10 H. J. Kim, "Validation Study of Multiple Intelligence Measur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11 H. Gardner,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Basic Books 1999

      12 H. Gardner,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ic Books 1983

      13 Y. B. Lee, "Effect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Konkuk University 2004

      14 K. H. Park,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the Linguistic Intellig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Touth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ir's Brain Waves" Myongji University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Webcasting, Internet and Telecommunication ->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TV학회 논문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KCI등재
      2010-06-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TV학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Webcasting, Internet 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 -> The Institute of Webcasting, Internet and Telecommuni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TV학회 논문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터넷방송/TV학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TV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Webcasting, Internet 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 -> Institute Of Webcasting, Internet 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3 0.44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