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李東의 歌辭와 祭文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과 그 의미 = The Aspects and their Meanings of Expressing Emotions for Siblings in Lee dong’s Gasa and Funeral Or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their meanings of expressing emotions for siblings in Lee dong’s gasa and funeral oration. It is often found in women's gasa that they miss their parents. But in Lee dong’s gasa and funeral oration, th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their meanings of expressing emotions for siblings in Lee dong’s gasa and funeral oration. It is often found in women's gasa that they miss their parents. But in Lee dong’s gasa and funeral oration, the emotions for siblings are often expressed.
      First, expressing emotions for older siblings is as follows. She expressed her bitterness and pity for her older sisters' unhappy life. Her brother was a symbol of the home of her birth. She expressed her gratitude and tenderness toward her older brother. Second, expressing emotions for younger siblings is as follows. She expressed the sorrow of bereavement through the funeral oration for her younger sister and brother. In particular they were recognized as grateful and sorry for the memory associated with her son and daughter.
      In this way, Lee dong expressed various emotions by symbolizing the brotherhood through gasa and funeral oration. The various emotions revealed in these works are the various forms of expression of brotherhood in the end. It was seen that the pride of the family and the self-identity of the family were wor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인숙, 2019, 이동의 가사와 제문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과 그 의미, 184 : 89~112 이 글은 이동의 가사와 제문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

      정인숙, 2019, 이동의 가사와 제문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과 그 의미, 184 : 89~112 이 글은 이동의 가사와 제문에 나타난 친정 형제에 대한 정서 표출 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여성의 가사에 흔히 친정 부모를 그리워하는 내용이 발견되는 것과는 달리 이동의 작품에는 친정 형제에 대한 소회를 표출한 경우가 많은 점에 주목하였다.
      손위 형제의 경우 두 언니에 대해서는 그들의 불행한 삶에 대한 원통함과 연민의 정서가 단편적으로 포착되었고, ‘친정’을 상징하는 존재로 기억 환기된 오빠에 대해서는 애틋한 정서가 자전적 기억 속에서 확인되었다. 그런가 하면 손아래 형제는 각각의 제문을 통해 사별의 비애와 상실감이 표출되는 양상이 확인되었고, 따뜻한 시선을 견지한 긍정적 표현을 포함하여 자식과 관련된 기억 속에서 고마움과 안타까움 등이 포착되었다.
      작품에 드러난 여러 감정은 ‘형제애’의 다양한 표출 형태라 하겠는데 여기에는 친정 가문에 대한 자긍심과 친정 가문의 일원이라는 자기정체성이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東 할머니 가사모음"

      2 정인숙, "회혼가류 가사를 통해 본 노년의 행복과 가문의식 그리고 내면의 갈등" 한국문학치료학회 19 : 113-141, 2011

      3 조애영, "한국현대내방가사집" 당현사 133-139, 1977

      4 성기옥,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48-, 1999

      5 박민일, "처음으로 발굴된 강원도 규방가사-"남매가"-"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9 : 1989

      6 정인숙, "이동(李東) 가사(歌辭) '니 여사 격근 역ᄉᆞ'와 '심회풀'에 나타난 생애 서술의 특징과 기억 재현의 양상" 한국시가학회 45 : 309-336, 2018

      7 정인숙, "이동(李東) 가사(歌辭)에 나타난 가족 사별의 서술 특징과 기억 환기의 양상-<형이 아우계 졔문>, <ᄯᅡᆯ의 애연 심회>, <부부이별가>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50) : 175-208, 2018

      8 임형택, "옛노래 옛사람들의 내면풍경" 소명출판 217-254, 2005

      9 "영덕군청 홈페이지"

      10 안동민속박물관, "안동의 한글제문"

      1 "李東 할머니 가사모음"

      2 정인숙, "회혼가류 가사를 통해 본 노년의 행복과 가문의식 그리고 내면의 갈등" 한국문학치료학회 19 : 113-141, 2011

      3 조애영, "한국현대내방가사집" 당현사 133-139, 1977

      4 성기옥,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48-, 1999

      5 박민일, "처음으로 발굴된 강원도 규방가사-"남매가"-"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9 : 1989

      6 정인숙, "이동(李東) 가사(歌辭) '니 여사 격근 역ᄉᆞ'와 '심회풀'에 나타난 생애 서술의 특징과 기억 재현의 양상" 한국시가학회 45 : 309-336, 2018

      7 정인숙, "이동(李東) 가사(歌辭)에 나타난 가족 사별의 서술 특징과 기억 환기의 양상-<형이 아우계 졔문>, <ᄯᅡᆯ의 애연 심회>, <부부이별가>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50) : 175-208, 2018

      8 임형택, "옛노래 옛사람들의 내면풍경" 소명출판 217-254, 2005

      9 "영덕군청 홈페이지"

      10 안동민속박물관, "안동의 한글제문"

      11 박애경, "신출 가사 「즌별가」,「효열가」와 규방가사의 전통" 민족문학사학회 22 : 58-80, 2003

      12 정인숙, "신자료 李東 歌辭 연구- 경북 명문대가 여성의 삶의 기록과 자기표현 -" 한국고전문학회 (51) : 129-163, 2017

      13 정인숙, "소고당가사에 나타난 ‘평화’ ‘고현’ ‘산외’의 장소성과 그 의미" 국제어문학회 (81) : 83-111, 2019

      14 백순철, "규방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가족인식" 한민족문화학회 (28) : 5-32, 2009

      15 신경숙, "규방가사, 그 탄식 시편을 읽는 방법" 국제어문학회 (25) : 87-110, 2002

      16 박혜인, "규방가사 ‘사친가’를 통해 본 모녀관계" 1 : 2000

      17 이희숙, "규방가사 <형뎨원별가> 연구"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사림어문학회 11 : 20-27, 1998

      18 전재강, "경북 내방가사1-계녀가류·탄식가류" 북토리아 396-403, 2016

      19 "詩經"

      20 최규수, "自歎型 <思親歌>의 특징적 양상과 ‘思親’의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147-170, 2012

      21 정인숙, "新資料 李東 歌辭 <바늘졔문>의 특징과 그 문학사적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6 (46): 157-180, 2018

      22 최규수, "<사친가>의 자료적 실상과 특징적 면모" 한국고전연구학회 (25) : 149-174, 2012

      23 서정호, "(그리움으로 찾아가는 아름다운 전통 가옥과의 만남)한옥의 美, 1" 경인문화사 392-394,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