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A의 활성화와 공정거래법의 규제 완화에 대한 비평 = A Critique on the Relaxation of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for M&A Activ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gave us great despair. In Spiteof the Efforts to overcome the economic disaster, economy is being an recession. In suchcircumstances, the best goal of the current government is econo...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gave us great despair. In Spiteof the Efforts to overcome the economic disaster, economy is being an recession. In suchcircumstances, the best goal of the current government is economic recovery and growth. Increase atrade surplus and foreign exchange reserves, the largest ever recorded, but domestic demand isdeclining, the economic situation is very grim.
      It has emerged need that the power of our economy need to elevate. March 6, 2014, thegovernment was published on the “M&A Activation Plan” jointly by the relevant authorities. Therelevant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Ministry of Justice, wasconsultation and discussion, with the expert.
      If “The Plan” is exercised, The M&A will be activates, and the market will be expands. So M&Awill be expected to revitalize the economy by infuse. The Plan is the improvement of legislation 25for relevant to M&A practice. It was including Commercial Code, Capital Market Act, and Monopoly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Regulation on Supervision, and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M&A regulations related to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is following four. But I wasthought that should be doubt to be question of the correct or not.
      Firstly, PEF specifies the regulation of cross-shareholding enterprise group restriction is mitigated.
      But with regard to the idea of Monopoly Regulation and F air Trade, can not combine parts.
      Secondly, PEF will be exempted from Notifying Duty(Combination of Enterprise Report). Originally,it must have been reported to the Fair Trade Commission. But I do not agree with this. And becauseit is Report on After, not become a constraint M&A transactions difficult.
      Thirdly, general holding company is permitted the financial holding company as subsidiaries.
      However, this should not be allowed. However, this should not be allowed. Because it should be largecapital and the large corporation centralization. And it is concerned with which financial capital isbelong to the industrial capital.
      Fourthly, the large enterprises to acquire small businesses, must be incorporated affiliates. Whensmall enterprises are incorporated as affiliates, extend to the grace period. However, this is so recklesscompanies should be careful to get the exten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7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는 경제개발과 국가부흥을 꿈꾸며 21세기의풍요롭고 행복한 미래를 바라보았던 우리에게 큰 절망을 안겨다 주었다. 10년 간격으로 연이어당하였...

      1997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는 경제개발과 국가부흥을 꿈꾸며 21세기의풍요롭고 행복한 미래를 바라보았던 우리에게 큰 절망을 안겨다 주었다. 10년 간격으로 연이어당하였던 경제적 재난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지만, 충격과 회복 그리고 다시 다가온 침체는 경제를 끝 모를 나락으로 몰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경제회복과 성장이 현 정부의 최고의 목표가 되는 일은 너무도 당연하다.
      외적인 면에서 대기업 중심의 수출증가로 엄청난 무역흑자 그리고 사상 최대의 외환보유고를 기록하고 있지만, 내수경기로 체감되는 국내 경제상황은 매우 암울하다.
      이에 M&A를 통해 사업구조의 자율적 재편을 촉진하고, 기업 구조조정을 유도하며, 중소ㆍ벤처기업의 자금회수와 성장을 가져옴으로써, 우리나라 경제의 동력을 높여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지난 2014년 3월 6일 정부는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등 관계부처들의 논의와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관계기관 합동으로 「M&A 활성화 방안」를 발표하였다.
      M&A를 활성화하여, M&A시장을 확대하고 M&A효과를 통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기대하며 동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즉 M&A를 통한 기업경영의 시너지 효과는 창업과 투자그리고 관리와 회수 등 기업 자본흐름에 선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정부는 상법ㆍ자본시장법ㆍ공정거래법ㆍ보험업감독규정ㆍ조세특례제한법 등에 관련된 M&A법규에 대한 25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이 가운데 「공정거래법」과 관련된 M&A 규제완화의대상은 4가지인데, 과연 이러한 조치가 올바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먼저 「PEF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 규제의 완화」의 경우 공정거래법의 이념과 관련하여합치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다만 PEF를 「공정거래법」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하기 보다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 대상으로 두되 인수기업에 대한 의결권행사를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것이적합하다고 본다.
      또한 「PEF의 설립 시 기업결합 신고의 면제」의 경우, 현재 사후신고로 되어 있는 기업결합 신고가 M&A거래를 제약한다고 보기 어려와 기업결합 신고면제는 큰 의미가 없다. 대규모회사의기업결합 시에는 사전신고를 하도록 되어 있는데, PEF설립 시와 SPC설립 시에 사전신고를 면제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PEF 역시 시장에서 경쟁을 제한할 위험성이 있다는 점에서 기업결합 신고를 면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다음으로 「일반지주회사의 금융자회사 보유 허용」의 경우, 대기업이나 재벌 중심 기업집중과자본 등 경제력 집중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며, 금융자본을 사금고로 만들 우려가 매우 높으므로허용되어서는 아니된다.
      마지막으로 이미 3년으로 연장된 「대기업의 중소기업 인수 시 계열사 편입 유예기간을 확대」하자는 방안의 경우, 중소기업 계열사 편입기간 유예가 무분별한 기업 확장을 부추기며, 중소기업적합업종의 기업 진입마저 가능하게 하는 악용의 소지가 있다.
      M&A활성화라는 목적을 위해 「공정거래법」까지 규제완화의 방향으로 몰아가는 것에 의문을갖지 아니할 수 없으며, 그 타당성 여부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소기업청, "「벤처ㆍ창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추진방안" 중소기업청 관계부처 합동

      2 권종호, "현행법상 M&A활성화의 법적 장애와 국내기업역차별제도" 한국비교사법학회 12 (12): 363-397, 2005

      3 경제정책조정회의, "해외 M&A 활성화 추진방안" 재정경제부ㆍ산업자원부ㆍ공정거래위원회 2007

      4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정책팀, "출자총액규제로 인한 투자저해실태와 시사점, CEO REPORT ON VURRENT ISSUE" 전국경제인연합회 2004

      5 김우진, "우리나라의 해외 M&A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 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14

      6 황문성, "우리나라의 M&A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조사국 산업분석팀(한국은행) 2009

      7 김철중, "우리나라 M&A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크로스보더를 통한 글로벌 기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3 (23): 2013

      8 천경훈, "순환출자의 법적 문제" 한국상사법학회 32 (32): 97-157, 2013

      9 송호신, "상법상 기업매수에 대한 M&A법제" 법학연구소 17 (17): 141-189, 2009

      10 안수현, "사모투자전문회사와 공정거래법상의 쟁점" 한국경제법학회 4 (4): 2005

      1 중소기업청, "「벤처ㆍ창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추진방안" 중소기업청 관계부처 합동

      2 권종호, "현행법상 M&A활성화의 법적 장애와 국내기업역차별제도" 한국비교사법학회 12 (12): 363-397, 2005

      3 경제정책조정회의, "해외 M&A 활성화 추진방안" 재정경제부ㆍ산업자원부ㆍ공정거래위원회 2007

      4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정책팀, "출자총액규제로 인한 투자저해실태와 시사점, CEO REPORT ON VURRENT ISSUE" 전국경제인연합회 2004

      5 김우진, "우리나라의 해외 M&A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 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14

      6 황문성, "우리나라의 M&A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조사국 산업분석팀(한국은행) 2009

      7 김철중, "우리나라 M&A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크로스보더를 통한 글로벌 기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3 (23): 2013

      8 천경훈, "순환출자의 법적 문제" 한국상사법학회 32 (32): 97-157, 2013

      9 송호신, "상법상 기업매수에 대한 M&A법제" 법학연구소 17 (17): 141-189, 2009

      10 안수현, "사모투자전문회사와 공정거래법상의 쟁점" 한국경제법학회 4 (4): 2005

      11 정완, "미국 반트러스트법 시행 가이드라인" 법무부 법무자문위원회 127 : 1990

      12 전국경제인연합회, "대기업 M&A 활성화에 관한 의견"

      13 윤창현, "금산분리제도의 현황과 과제 - 금산분리완화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2008

      14 전국경제인연합회, "금산분리 완화법안의 10대 쟁점과 실상 - 금산분리규제는 왜 완화되어야 하나? -, 입법설명자료①"

      15 이병윤, "금산분리 관련 제도의 현황과 논점" 한국금융연구원 20 : 2006

      16 민세진, "금산분리 강화방안의 쟁점" 한국경제학회 5 (5): 2013

      17 김상조, "관치로 귀결될 ‘M&A활성화 대책, 경향신문 온라인 경제칼럼"

      18 이형규, "공정거래법상 출자총액제한제도와 그 문제점" 한국비교사법학회 12 (12): 607-642, 2005

      19 배경화, "경제회복을 위한 IT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간 인수합병(M&A) 활성화 방안에 대한 소고"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9

      20 Michael Gruson, "The Second Bnaking Directive of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and Its Importance of Non-EEC Banks" 12 (12): 1988

      21 The American Antitrust Institute, "Summary of Hart-Scott-Rodino Act" National Press Club 2013

      22 정대로, "SK그룹-SK증권 처리에 따른 영향 분석, 이슈코멘트"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KDB대우증권 2012

      23 박삼철, "PEF에 대한 감독·규제법상의 문제" 한국금융법학회 2 (2): 41-56, 2005

      24 이병욱, "M&A활성화로 중소기업 발전 도모해야, In KERI 칼럼" 한국경제연구원

      25 송종준, "M&A와 공정거래법상 문제 - 국내기업의 역차별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50) : 2004

      26 신상훈, "M&A에 대한 각국의 기업결한 신고 및 심사제도와 사례" 국제거래법학회 20 (20): 1-25, 2011

      27 기획재정부 자금시장과, "M&A 활성화 방안, 보도자료 - 경제혁신 3개년 계획 후속대책"

      28 Stephen C.Diamond, "Leveraged Buyouts" Dow Jones Irwin 1985

      29 김명수, "KDB산업은행" 산은경제연구소(KDB) 조사분석부 법무실 2014

      30 Amanda N.Persaud, "Investment Adviser Regulation - Pravate Equity Fund : Legal Analysis of Structural, ERISA, Securities and Other Regulatory Issues" Practising Law Institute 2012

      31 송호신, "EC경쟁법의 M&A규제" 한양법학회 3 : 1992

      32 Malcolm S.Salter, "Choosing Compatible Acquisitions" 1981

      33 Bilal Sayyed, A, "A “Sound Basis” Exists for Revising the HSR Act’s Investment-Only Exemption, The Antitrust Sour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5 0.69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