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공론과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단계적 참여 설계 - 뉴욕 거버너스 아일랜드 공원 및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 = Step-by-step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hrough Construction of Public Discourse and Community Development - An Analysis of New York Governors Island Park and Public Spac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3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뉴욕 거버너스 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사례로 삼아 오랜 시간 동안 대중과 단절되어 있던 공간이 공원이나 공공 공간으로 조성될 경우, 참여 설계를 어떠한 방식과 단계로 진행하는...

      본 연구는 뉴욕 거버너스 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사례로 삼아 오랜 시간 동안 대중과 단절되어 있던 공간이 공원이나 공공 공간으로 조성될 경우, 참여 설계를 어떠한 방식과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한지 프로젝트 단계별로 심층 고찰한다. 그 결과, 단계적 참여 설계의 방식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프로젝트 준비 단계에서는 넓은 의미에서 참여 설계의 일환으로 공론의 형성이 있었다. 다양한 사람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개발하기 위해 합의점을 찾는 시도가 여러 주체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둘째, 프로젝트 착수 단계 이전에 대상지를 공공에게 개방하고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치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커뮤니티를 형성해 나갔다. 셋째, 공모전 이후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완성 단계 전까지, 다년간의 커뮤니티 형성 단계를 거치며 만들어진 커뮤니티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설계가 이루어졌다. 넷째, 프로젝트 세부 설계와 조성 단계에서는 공청회와 같은 전통적이고 소극적인 방식의 참여 설계를 시행함으로써 전문적인 설계 내용 및 전문가의 영역을 보전하였다. 공공의 참여는 공원의 큰 틀을 만드는 마스터플랜 단계에서 대부분 반영되고 구체적인 설계에서는 그 내용을 전문가가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시민과 전문가가 각자의 역할에 충실히 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결과를 낳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프로젝트 단계별로 참여 설계의 방식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즉, 단계별로 공론의 형성, 커뮤니티의 형성과 발전, 커뮤니티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참여 설계가 구상되어야 하며, 참여하는 시민과 전문가 각각의 영역을 보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공론과 커뮤니티의 형성 단계를 참여 설계의 한 과정으로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hich takes the New York Governors Island project as an example, is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design for transforming a space that had long been isolated from the public into a park and/or communal space. We foun...

      This study, which takes the New York Governors Island project as an example, is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design for transforming a space that had long been isolated from the public into a park and/or communal space. We found that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design at each project phase consists of the following. First, in the preparatory phase, there was construction of public discourse: efforts to find a consensus to develop the space in a public-driven direction was led by various initiatives. Second, by opening the site to the public before the design phase and by consistently inviting a wide range of activities, a community was formed and its attachment to the site was established. Third, after the competition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master planning phase, substantial and active participatory design was enabl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of the community formed and developed over many years. Fourth, in the detail design and implementation phase, a traditional and passive way of participatory design such as public hearings was used, thereby preserving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designers. Public participation was reflected most in the master planning phase to create a broad framework of the park, while professionals designed the more specific aspects; this efficient and effective approach enabled both citizens and professionals to dutifully take part in developing the pa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de of participatory design should be varied at each project phase, from construction of public discourse, to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o participatory design for social interaction. Furthermore, it is effective to preserve the unique roles of citizens and design professional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extend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design to include the construction of public discourse and commu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금,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계 및 조성" 한국조경학회 31 (31): 78-89, 2003

      2 김연금,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1 (31): 73-85, 2003

      3 김승범, "시애틀공공도서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담론과 참여를 통한 공공성 구현" 대한건축학회 28 (28): 131-138, 2012

      4 박지현, "군기지 이전지 활용에 관한 참여설계과정 - 요코하마 후카야 통신소 이전지 아이디어 공모사업 사례 -" 한국조경학회 39 (39): 10-25, 2011

      5 "http://www.nps.gov/gois/index.htm"

      6 "http://www.govislandblog.com"

      7 "http://www.figmentproject.org/figment_history"

      8 "http://vanalen.org/projects/public-property-an-ideas-competition-forgovernors-island/"

      9 "http://govisland.com/"

      10 Habermas, J,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MIT Press 1991

      1 김연금,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계 및 조성" 한국조경학회 31 (31): 78-89, 2003

      2 김연금,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1 (31): 73-85, 2003

      3 김승범, "시애틀공공도서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담론과 참여를 통한 공공성 구현" 대한건축학회 28 (28): 131-138, 2012

      4 박지현, "군기지 이전지 활용에 관한 참여설계과정 - 요코하마 후카야 통신소 이전지 아이디어 공모사업 사례 -" 한국조경학회 39 (39): 10-25, 2011

      5 "http://www.nps.gov/gois/index.htm"

      6 "http://www.govislandblog.com"

      7 "http://www.figmentproject.org/figment_history"

      8 "http://vanalen.org/projects/public-property-an-ideas-competition-forgovernors-island/"

      9 "http://govisland.com/"

      10 Habermas, J,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MIT Press 1991

      11 Wates, N., "The Community Planning Handbook" Earthscan 2006

      12 United States of America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Quitclaim Deed to 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 2003

      13 United States of America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Quitclaim Deed to GIPEC" 2003

      14 GIPEC, "Public Open Space Professional Design Services: Governors Island" Request for Proposals 2007

      15 GIPEC, "Public Open Space Professional Design Services: Governors Island" Request for Statements of Qualification 2006

      16 Office of Deputy Mayor for Economic Development, "Phased Redevelopment of Governors Island Final Generic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Project Description" 2011

      17 Trust for Governors Island, "Outreach Slides and Hammock Story" 2014

      18 Arendt, H., "Human Con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19 Governors Island Alliance, "Governors Island: Guidelines for Parks and Public Spaces"

      20 Trust for Governors Island, "Governors Island Visitorship"

      21 DiNapoli, T. P, "Governors Island Preservation and Education Corporation Management of the Governors Island Redevelopment Process" Office of the New York State Comptroller, Division of State Government Accountability 2006

      22 GIPEC, "Governors Island Preliminary Design Guidelines"

      23 GIPEC, "Governors Island Park and Public Space Master Plan" 2010

      24 GIPEC, "Governors Island Park Master Plan Public Outreach Summary" 2009

      25 GIPEC, "Governors Island Land Use Improvement and Civic Project General Project Plan" 2006

      26 Junichi, S., "Democratic Publicness" E-UM 2009

      27 Hillery, G. A,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20 (20): 111-123, 1955

      28 VanAlen Fellowship in PublicArchitecture, "Competition for Governors Island" New York Harbor 1996

      29 Trust for Governors Island, "All Event Partners 2008-2014" 2014

      30 Kim, W. D.,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articipation design tool for urban regeneration" 28 (28): 85-8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