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로 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의 효율적인 위치기반 서비스 = An Efficient Location Based Service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ying Street Data extracted from Digital M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1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creasing use of high-performanc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users have been able to connect to the Internet anywhere, anytime, so that Location Based Services(LBSes) have been popular among the users in order to obtain personalized...

      With the increasing use of high-performanc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users have been able to connect to the Internet anywhere, anytime, so that Location Based Services(LBSes) have been popular among the users in order to obtain personaliz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ir locations. The services have advanc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realistically and intuitively by adopting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where the technology utilizes various sensors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s. However, the services have inherent problems due to the small screen size of the mobile devices and the complexity of the real world environment. Overlapping contents on a small screen and user’s possible move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isplaying the icons on objects that block user’s environment such as trees and buildings. The problems mainly happen when the services use only user’s location and sensor data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applies street data extracted from a digital map. The method uses the street data as well as the location and direction data to determine contents that are placed on both sides of a virtual street which augments the real street. With scrolling the virtual street, which means a virtual movement, some information far away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can be identified without user’s actual movement. Also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for region “Aenigol”, and the efficiency and usefulness of the method is ver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 폰을 비롯한 다양한 고성능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모바일 환경 하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위치와 ...

      스마트 폰을 비롯한 다양한 고성능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모바일 환경 하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위치와 관련 있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 몇몇 서비스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 된 각종 센서들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직관적이고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크기와 사용자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정보 표시, 즉 작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콘텐츠간의 오버랩이나, 사용자의 실제 이동 가능성을 무시하는 아이콘 배치 등의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문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서 및 콘텐츠의 위치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위치기반 정보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로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치지도로부터 자동 추출한 도로데이터를 기존의 증강현실 서비스에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위치기반 정보를 도로 기준으로 분류하고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가능성을 나타내는 도로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접근 가능성이 확보된 콘텐츠만을 도로중심으로 배치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 나아가 서비스 화면에 증강된 도로를 스크롤하는 동작으로 가상이동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직접적인 이동 없이 현재 위치와 떨어진 장소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을 경기도 고양시의 "애니골" 지역을 대상으로 구현하여 그 효율성과 편의성을 확인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석, "엠비언트 서비스 모델 기반의 실시간 구매활동 지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공간정보학회 18 (18): 67-75, 2010

      2 김병호, "모바일 증강현실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POI 데이터 모델" 한국IT서비스학회 10 (10): 269-280, 2011

      3 황정래,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0 (20): 57-67, 2012

      4 신진주, "맵 인터페이스와 지식처리를 활용한 지역관련정보 통합검색 시스템" 한국공간정보학회 18 (18): 129-140, 2010

      5 Zhou, F, "Trends in augmented reality tracking, teraction and display:A review of ten years of ISMAR" 193-202, 2008

      6 Jeon, J. H., "Standardization Trend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26 (26): 33-45, 2011

      7 "ScanSearch"

      8 "Ovjet"

      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10 "Layar"

      1 서경석, "엠비언트 서비스 모델 기반의 실시간 구매활동 지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공간정보학회 18 (18): 67-75, 2010

      2 김병호, "모바일 증강현실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POI 데이터 모델" 한국IT서비스학회 10 (10): 269-280, 2011

      3 황정래,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0 (20): 57-67, 2012

      4 신진주, "맵 인터페이스와 지식처리를 활용한 지역관련정보 통합검색 시스템" 한국공간정보학회 18 (18): 129-140, 2010

      5 Zhou, F, "Trends in augmented reality tracking, teraction and display:A review of ten years of ISMAR" 193-202, 2008

      6 Jeon, J. H., "Standardization Trend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26 (26): 33-45, 2011

      7 "ScanSearch"

      8 "Ovjet"

      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10 "Layar"

      11 Choe, H. O., "LBS, Location-Based Services" 86 : 59-69, 2003

      12 Heras-Quiros, P., "Augmented Reality browsers should allow labeling objects" 2010

      13 Dijkstra, E. W., "A note on two problems m connexion with graphs" 1 : 269-271, 1959

      14 Normand, J. M., "A new typology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2012

      15 Azuma, R. T.,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6 (6): 355-385,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KCI등재
      2016-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논문지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KCI등재
      2010-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
      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KCI등재
      2010-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지 -> 한국공간정보학회 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 미등록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1 0.992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