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 Analysis of Tidal Asymmetry and Flood/Ebb Dominance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19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 조류 변형과 창 낙조 우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4개 정점에서 동기간에 관측한 조류자료와 기 관측된 조석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석 및 조류의 변형 정도는 $M_4/...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 조류 변형과 창 낙조 우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4개 정점에서 동기간에 관측한 조류자료와 기 관측된 조석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석 및 조류의 변형 정도는 $M_4/M_2$ 진폭비를 분석한 결과 상류로 갈수록 증가하며, 조석의 상대 위상차($2M_2-M_4$)를 계산하면 모든 정점의 값이 $180^{\circ}C$ 이하로 창조 우세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류자료의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조석 조화상수의 상대 위상차 결과와는 다르게 최강 평균 낙조가 창조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나며, 정조시각을 이용하여 창조, 낙조 지속시간을 계산하면 낙조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다. 각 조류 관측정점의 주축 방향 유속성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항 이후 염하수로 북쪽입구까지는 상관도 값이 0.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류 분석결과에서 보여지는 낙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화분해 결과를 재구성하였다. 주 분조($M_2$)와 천해 분조($M_4$)를 결합하면 창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전형적인 창조우세 형태의 곡선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곡선에 조류 성분의 산술 합으로 계산한 비 조류성분(잔차류)의 값을 더하면 낙조가 강해지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로 나타난다. 즉, 천해분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류방향의 흐름을 극복하는 담수와 하구 비선형 효과에 의해서 생성되는 장주기 조류성분과 같은 낙조방향의 평균적인 흐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독특한 낙조심화 현상이 염하수로에서 나타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 River estuary (HRE) i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and tidal currents were measured at 4 stations in this estuary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previously observed tid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amplitude ratio of ...

      Han River estuary (HRE) i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and tidal currents were measured at 4 stations in this estuary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previously observed tid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amplitude ratio of $M_4/M_2$ showed that increasing upward to estuary in the HRE. Tide harmonic constants of relative phase $2M_2-M_4$ represent flood dominance, with under 180 degree. But this method has a limit of analysis that typically based on the non-linear distortion of the tidal current in tidal lagoon system where freshwater discharge is assumed to be relatively small. The results of statistically tidal current data indicated that ebb current velocity would be great unlike tide data. Ebb and flood duration time is calculated by slack time of tidal current showed that ebb duration time is longer than flood. The results of correlation of analysis show high value (0.9) between tidal current stations from Incheon harbor to north entrance of Yeomha channel. We reconstructed to find the reasons for the features of ebb dominance the results of harmonic analysis. As major component ($M_2$) in combination with shallow water component ($M_4$), the tidal curve was presented flood dominance that has a flood current is stronger. However, these curve were changed to ebb dominance add up the non-harmonic components that had ebb direction flow by calculated tidally averaged current. The characteristic of enhancement on ebb is showed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RE, because averaged flow which acts seaward such as long-term tidal current components due to non-linear effect and freshwater which overcome the flood curr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해양조사원, "한강 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구(II)" 한국해양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2 인하대학교, "창후항 박지보수 및 창후리 교동간 항로보수를 위한 준설관련 해양조사 보고서" 해양과학기술연구소 2003

      3 윤병일,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3 (23): 383-392, 2011

      4 강주환, "우리나라 서남해역의 창‧낙조우세와 황해에서의 조류타원도 회전" 대한토목학회 20 (20): 269-276, 2000

      5 송용식, "염하수로 인근에서 조석 변형과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동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3 (23): 393-400, 2011

      6 김창식, "경기만 조석 잔치류 산정 및 변동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 (22): 353-360, 2010

      7 Cloern, J.E., "Turbidity as a control on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in estuaries" Elsevier 7 (7): 1367-1381, 1987

      8 Pugh, D.T., "Tides, surges and mean sea level: a handbook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Wiley 1987

      9 Blanton, J.O., "Tidal current asymmetry in shallow estuaries and tidal creeks" Elsevier 22 (22): 1731-1743, 2002

      10 Seim, H., "Tidal circulation and energy dissipation in a shallow, sinuous estuary" Springerlink 56 (56): 360-375, 2006

      1 국립해양조사원, "한강 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구(II)" 한국해양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2 인하대학교, "창후항 박지보수 및 창후리 교동간 항로보수를 위한 준설관련 해양조사 보고서" 해양과학기술연구소 2003

      3 윤병일,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3 (23): 383-392, 2011

      4 강주환, "우리나라 서남해역의 창‧낙조우세와 황해에서의 조류타원도 회전" 대한토목학회 20 (20): 269-276, 2000

      5 송용식, "염하수로 인근에서 조석 변형과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동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3 (23): 393-400, 2011

      6 김창식, "경기만 조석 잔치류 산정 및 변동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 (22): 353-360, 2010

      7 Cloern, J.E., "Turbidity as a control on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in estuaries" Elsevier 7 (7): 1367-1381, 1987

      8 Pugh, D.T., "Tides, surges and mean sea level: a handbook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Wiley 1987

      9 Blanton, J.O., "Tidal current asymmetry in shallow estuaries and tidal creeks" Elsevier 22 (22): 1731-1743, 2002

      10 Seim, H., "Tidal circulation and energy dissipation in a shallow, sinuous estuary" Springerlink 56 (56): 360-375, 2006

      11 Nidzieko, N.J., "Tidal asymmetry and velocity skew over tidal flats and shallow channels within a macrotidal river delta" AGU 117 : C03001-, 2012

      12 Dronker, J., "Tidal asymmetry and estuarine morphology" Elsevier 20 (20): 117-131, 1986

      13 Ippen, A.T., "Tidal Dynamics in Estuaries, In Estuary and Coastline Hydrodynamics" McGraw-Hill 493-545, 1966

      14 우승범, "The Classification of Estuary and Tidal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Gyeong-Gi Bay, South Korea" COASTAL EDUCATION & RESEARCH FOUNDATION 64 (64): 1624-1628, 201105

      15 Preisendorfer, R.W.,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Elsevier Science Ltd 425-, 1988

      16 Lanzoni, S., "On tide propagation in convergent estuaries" AGU 103 (103): 30-793, 1998

      17 Friedrichs, C.T., "Nonlinear tidal distortion in shallow well mixed estuaries: A synthesis" Elsevier 26 (26): 521-545, 1988

      18 Speer, P.E., "Nonlinear hydrodynamics of shallow tidal inlet/bay system. Estuarine, In Tidal Hydrodynamics" Wiley 321-339, 1991

      19 Wang, Z.B., "Morphology and asymmetry of the vertical tide in the Westerschelde estuary" 22 (22): 2599-2609, 2002

      20 Robins, P.E., "Morphological controls in sandy estuaries: the influence of tidal flats and bathymetry on sediment transport" Springerlink 60 (60): 503-517, 2010

      21 Aubrey, D.G., "Hydrodynamic controls on sediment transport in well-mixed bays and estuaries, In Physics of Shallow Estuaries and Bays" Springer 245-258, 1986

      22 Kang, J.W., "Flood and ebb dominance in estuaries in Korea" Elsevier 56 (56): 187-196, 2003

      23 Park, K.,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ASCE 128 (128): 257-267, 2002

      24 Speer, P.E., "A study of non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t/estuarine systems. Part II: theory" Elsevier 21 (21): 207-224, 1985

      25 Aubrey, D.G., "A Study of Non- 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t/Estuarine Systems. Part I: Observations" Elsevier 21 (21): 185-205,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