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전통주거지에 내재된 지속가능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Sustainable Planning Elements in Traditional Resi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51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lms to provide detailed methods of traditional residence and suggest sustainable planning element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new residence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Introduction of various themes of residence ...

      This study alms to provide detailed methods of traditional residence and suggest sustainable planning element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new residence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Introduction of various themes of residence In addition, It sublates the existing residence development limited to the field of housing environment and energy through case studies of traditional residence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briefly introduce the concept of development and related parts from Habitat n agenda that deals With the purpose of human residence development and policy Moreover, It reestablishe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creates the criterion based on them Second, select a case of traditional residence and find out the basic factors and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by cases through existing reports and survey Sustainability of each cases are briefly explained through theones of Gledion and Alexander Third, synthesize results after analyzing realizable method of studied cases and provide detailed methods and classify them into physical, social, economical, historical' cultural elements Futhermore, It will provide planning elements of sustainable traditional residence based on the result Through all these, 22 physical, 12 social and economical, 8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for sustainable planing elements of traditional residence can be suggested Among them, several elements show differences between detailed methods of traditional and foreign Eventually, these have Implication on being used as planning elements unique to traditional resid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회마을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1979

      2 "지속가능한 커뮤너티 실현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 및 평가"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8.11.

      3 "지속가능 개념을 도입한 주거단지의 계획특성과 패턴언어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론" 보성각 1999.

      4 "전통마을의 환경생태학적 해석" 12 (12): 1996.7

      5 "외암마을 보존방안 학술조사연구보고서" 아산군 1990

      6 "양동 민속마을 정비계획 조사보고서" 1994

      7 "The Habitat Agenda, Chapter Ⅰ, Ⅱ, Ⅲ, Ⅳ," UN Centre . chapter ⅰ :

      8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urbanism" Basel, Switzerland : Brikhuser, 2002

      9 "Space, Time and Architecture" Cambridge, Massachusetts :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10 "Our Common Future"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1 "하회마을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1979

      2 "지속가능한 커뮤너티 실현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 및 평가"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8.11.

      3 "지속가능 개념을 도입한 주거단지의 계획특성과 패턴언어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론" 보성각 1999.

      4 "전통마을의 환경생태학적 해석" 12 (12): 1996.7

      5 "외암마을 보존방안 학술조사연구보고서" 아산군 1990

      6 "양동 민속마을 정비계획 조사보고서" 1994

      7 "The Habitat Agenda, Chapter Ⅰ, Ⅱ, Ⅲ, Ⅳ," UN Centre . chapter ⅰ :

      8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urbanism" Basel, Switzerland : Brikhuser, 2002

      9 "Space, Time and Architecture" Cambridge, Massachusetts :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10 "Our Common Future"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11 "Ecourbanism, Barcelona" Spain : Gustavo Gili, SA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