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적과 단감의 장아찌 제조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8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적과 단감은 비타민 A와 C등의 영양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전량 폐기 처분되고 있다. 이러한 적과 단감의 이용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해 적과 부유 단감으로 15℃, 60일간 숙성 중의 경도, 색...

      적과 단감은 비타민 A와 C등의 영양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 전량 폐기 처분되고 있다. 이러한 적과 단감의 이용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해 적과 부유 단감으로 15℃, 60일간 숙성 중의 경도, 색도, pH 및 염도의 변화와 기호도, 색, 냄새, 염도 및 조직감 등을 10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적과 단감 장아찌의 경도는 처음 10일간은 감소하였으나 이후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30일 이후에는 감소하여 연화되였다. 색도의 변화는 명도(L)는 염수 장아찌와 고추장 장아찌 모두 숙성기간 중 감소하였으며 ΔE 값은 고추장 장아찌의 경우 처음 30일간, 염수 장아찌는 40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고추장 장아찌와 염수 장아찌 pH의 변화는 처음 10일간은 큰 감소 폭을 나타내었지만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여 숙성 60일째에는 각각 4.5와 4.0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장아찌의 경우 점차 증가하여 60일째에는 고추장 장아찌 5.8, 염수 장아찌는 6.1이 되었으며 침지액의 염도는 점차 감소하여 60일 후에 각각 5.8과 5.4로 나타났다. 각각의 장아찌에 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숙성 40일째에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고추장 장아찌는 5.9, 염수 장아찌는 4.3으로 나타나 적과 단감을 이용한 고추장 장아찌의 이용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develop a new pickle with prepersimmon.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test during storage of kochujang and salt pickles were investigated at 15℃ for 60 days. Hardness and color of the pickles decreased with proceeding of matur...

      To develop a new pickle with prepersimmon.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test during storage of kochujang and salt pickles were investigated at 15℃ for 60 days. Hardness and color of the pickles decreased with proceeding of maturation period. and was completely soften after 30 days for the kochujang pickle and after 40 days for the salt pickle. The pHs of pickles maturated for 60 days were changed to 4.5 in the kochujang pickle. and to 4.0 in the salt pickle. respectively. Salt value of both the pickles were 5.8 and 5.4. respectively. Sensory test was favored at the kochujang pickle with 40 days. Color. flavor. salt concentration.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kochujang pickle were higher than those of salt pickle. Therefore, the pickles could be used as a novel prepersimmon fermentation fo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