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산업장 근로자의 표준체중치 = Standard Body Weight in Korean Industrial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1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노동력보존에 기여할 목적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하는 구미공단내의 20-29세 산업장 근로자 10,407명(남자 6,201명. 여자 4,206명)을 대상으로 1985년의 정기 신...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노동력보존에 기여할 목적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하는 구미공단내의 20-29세 산업장 근로자 10,407명(남자 6,201명. 여자 4,206명)을 대상으로 1985년의 정기 신체 검사 자료로 부터 성별. 연령별 평균신장, 평균체중 및 신장과 체중간의 상관관계와 회귀방정식을 구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신장별 표준체중과 이상체중의 범위를 구했으며 신장과 체중으로 BMI를 산출하였다.
      20대 근로자의 평균신장은 남자가 168.2±5.61cm였고 여자는 155.9±5.26cm였고 평균체중은 남자가 61.4±6.56kg, 여자는 52.4±6.00kg이었다.
      신장과 체중간의 상관계수는 남자의 경우 +0.541이었고 회귀방정식은 Y(체중)=0.637Ⅹ(신장)-44.975였으며 여자는 상관계수가 +0.559였고 회귀방정식은 Y(체중)=0.637 Ⅹ(신장)-46.898 이었다.
      신장별 표준체중은 신장이 155cm일때에 남녀 각각 53.0kg, 51.8kg 이었으며 165 cm 일때는 59.3kg, 58.2kg이었고 175cm일때에 65.6kg, 64.6kg이었고, 정상체중의 범위는 신장이 155cm일때에 남자는 47.5-58.5kg, 여자는 46.9-56.8kg, 165cm일때는 남자는 53.8-64.8kg, 여자는 53.2-63.2kg, 175cm일때에 남자는 60.1-72.1kg, 여자는 59.6-69.6kg으로 평가되었으며, 비만은 신장이 155cm 일때에 남자는 64.1kg이상, 여자는 61.8kg이상, 165cm일때는 남자는 70.3kg이상, 여자는 68.2kg이상, 175cm일때에 남자는 76.7kg이상, 여자는 74.5kg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성별. 연령별 BMI는 남자가 21.7±1.95였고 여자는 21.6±2.05였고 Garrow의 BMI 분류방식에 따른 desirable range에 속하는 근로자는 남자가 75.9%였고, 여자는 71.3%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contribute to promotion of health and preservation of labor power of Korean laborers, the body height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for 10,407 workers(6,201 male, 4,206 female) in the age group of 20-29, engaged in manufactures in the Gumi industri...

      To contribute to promotion of health and preservation of labor power of Korean laborers, the body height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for 10,407 workers(6,201 male, 4,206 female) in the age group of 20-29, engaged in manufactures in the Gumi industrial complex, Gumi city, Kyungpook province. The abov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1985 periodic examination chart for calculation of the mean body weight, mean body heigh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equation between weight and height, standard body weight, body mass index(BMI) and distribution of laborers within Garrow's classification of BMI by age and sex group.
      Mean body height of 20-29 age group was 168.2±5.61 cm for male and 155.9±5.26 cm for female.
      Mean body weight of 20-29 age group was 61.4±6.56 kg for male and 52.4±6.00 kg for femal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equation of 20-29 age group were +0.541 and Y(Wt)=0.632X(Ht)-44.975 for male and +0.559 and Y(Wt)=0.637X(Ht)-46.898 for female.
      Standard body weight of 20-29 age group was 53.0 kg at 155 cm, 59.3 kg at 165 cm, 65.6 kg at 175 cm for male and 51.8 kg at 155 cm, 58.2 kg at 165 cm at 64.6 kg at 175 cm for female.
      Range of normal body weight of 20-29 age group was 47.5-58.5 kg at 155 cm,
      53.8-64.8 kg at 165 cm, 60.1-72.1 kg at 175 cm for male and 46.9-56.8 kg at 155cm, 53.2-63.2 kg at 165 cm, 59.6-69.6 kg at 175 cm for female.
      Range of obesity of 20-29 age group was 64.1 kg and over at 155 cm, 70.3 kg and
      over at 165 cm, 76.7 kg and over at 175 cm for male and 61.8 kg and over at 155 cm, 68.2 kg and over at 165 cm, 74.5 kg and over at 175 cm for female.
      Body mass index(kg/m²) of 20-29 age group was 21.7±1.95 for male and 21.6±2.05 for female, 75.9% of male laborers and 71.3% of famale counterparts fall in the desirable range of BMI by Garrow's classifi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