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글 자음자(子音字) 지도 순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angeul Alphabet 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5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글 자음자의 배열 순서를 다시 확정하는 일은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국어학적 접근을 토대로 한 자음자 배열 중 일부는 교육의 효율성이나 사용의 적절성 면에서 다소 문제가...

      한글 자음자의 배열 순서를 다시 확정하는 일은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국어학적 접근을 토대로 한 자음자 배열 중 일부는 교육의 효율성이나 사용의 적절성 면에서 다소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자음자 배열에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 두 가지기준의 선후를 달리하여 배열하면 ‘조음 위치 → 조음 방법’, ‘조음 방법 → 조음위치’의 두 가지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조음 위치를 앞에 둘 경우 자음의소리의 세기가 강해지는 정도나 자음자의 형태가 가획 및 병서로 확장되는 과정을설명하기 어렵다. 반면에 조음 방법을 제1기준으로 할 경우 소리의 세기에 따라자음자를 차례로 배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소리의 세기가 자음자의 가획 및 병서에 반영되므로 자형의 복잡도를 반영할 수 있다.
      국어 사용 빈도에 관한 조사를 보면, 조음 위치를 제1기준으로 할 경우 사용빈도가 매우 불규칙한 양상을 보이는데 반해, 조음 방법을 제1기준으로 할 경우사용 빈도는 비교적 규칙적인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향후 자음자의 배열 순서는제1기준을 조음 방법으로 하고, 제2기준을 조음 위치로 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numbers of Hangeul alphabet and rearrange Hangeul alphabetically order. There are 19 consonants in Hangeul, and two standards of arrangement for Hangeul alphabetical order. One is articulation place, the other is articul...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numbers of Hangeul alphabet and rearrange Hangeul alphabetically order. There are 19 consonants in Hangeul, and two standards of arrangement for Hangeul alphabetical order. One is articulation place, the other is articulating method.
      [표] It is Hangeul consonantal system.
      [표] We can rearrange consonants the following.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ㅇ ㅋ ㅌ ㅍ ㅊ ㅎ ㄲ ㄸ ㅃ ㅆ ㅉ So, we have to study the rearrangement of Hangeul consonants to teach primary school students and foreign learn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 2005

      2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함께 배우는 건국 한국어 1-1 2판"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3

      3 인간발달연구,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 한국인간발달학회 8 (8): 27-43, 2001

      4 이상억, "한국어의 이음·음소 및 자모의 출현빈도수 조사 비교" 서울대 인지과학연구소 1 (1): 137-164, 2000

      5 신지영, "한국어 사전 표제어 발음의 음소 및 음절 빈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94-106, 2010

      6 곽재용,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분석" 한글학회 (290) : 265-295, 2010

      7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1~2학년군, 국어①-나" ㈜ 미래앤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1~2학년군, 국어①-가" ㈜ 미래앤 2013

      9 박미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음소 및 음절의 출현빈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07-228, 2011

      10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 대사전" 평양종합인쇄공장 1992

      1 국립국어원,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2" 2005

      2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함께 배우는 건국 한국어 1-1 2판"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3

      3 인간발달연구,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 한국인간발달학회 8 (8): 27-43, 2001

      4 이상억, "한국어의 이음·음소 및 자모의 출현빈도수 조사 비교" 서울대 인지과학연구소 1 (1): 137-164, 2000

      5 신지영, "한국어 사전 표제어 발음의 음소 및 음절 빈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94-106, 2010

      6 곽재용,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분석" 한글학회 (290) : 265-295, 2010

      7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1~2학년군, 국어①-나" ㈜ 미래앤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1~2학년군, 국어①-가" ㈜ 미래앤 2013

      9 박미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음소 및 음절의 출현빈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07-228, 2011

      10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조선말 대사전" 평양종합인쇄공장 1992

      11 신지영, "성인 자유 발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의 음소 및 음절 관련 빈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193-215, 2008

      12 김완진, "訓民正音 子音字와 加劃의 原理" 한국어문교육연구회 (7·8) : 186-194, 1975

      1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Active Korean 1"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