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자연동장치개발; 1단계 보고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1단계 1, 2차년도 주요실적
      • 제1절 서론
      • 제2절 1차년도 주요실적
      • 1. 기술개발 내용 및 범위
      • 제3절 2차년도 주요실적
      • 제1장 1단계 1, 2차년도 주요실적
      • 제1절 서론
      • 제2절 1차년도 주요실적
      • 1. 기술개발 내용 및 범위
      • 제3절 2차년도 주요실적
      • 1. 기술개발 내용 및 범위
      • 제2장 기술개발 목표 및 내용
      • 제1절 기술개발의 최종 목표사업목표
      • 1. 목표시스템사양
      • 2. 목표 시스템 구성도
      • 제2절 단계별·연차별 기술개발 목표 및 내용
      • 1. 단계별 기술개발목표 및 범위
      • 2. 단계별 기술개발 추진일정
      • 3. 연차별 기술개발목표 및 내용
      • 제3절 기술개발 추진 전략
      • 1. 기술개발추진체계
      • 2. 연도별 기술개발 추진체계
      • 제3장 RAMS
      • 제1절 RAMS의 정의
      • 1. RAMS의 정의
      • 2. 철도 RAMS의 목적
      • 제2절 RAMS 구현을 위한 유럽 표준안 분석
      • 1. EN50126
      • 2. EN 50128
      • 3. EN 50129
      • 4. EN 50159
      • 제3절 RAMS 구현을 위한 안정 임계 시스템
      • 1. 안정 임계 시스템이란?
      • 2. 안정 시스템 구현을 위한 방법
      • 3. Format Methods
      • 제4절 전자 연동장치의 RAMS 확보 방안
      • 1. RAMS구현 방향
      • 2. 전자 연동 장치에 RAMS적용
      • 제5절 2단계 RAMS 추진 방향
      • 1. RAMS 추진방향
      • 2. RAMS 향후 작업 목표
      • 제4장 전자연동장치 1형 제작
      • 제1절 시스템 개요
      • 1. 개요
      • 제2절 시스템 구성도
      • 1. Hardware 구성도
      • 2. Software 구성도
      • 제3절 LCP 기능
      • 1. 기본기능
      • 2. 상세기능
      • 제4절 연동 논리부 기능
      • 1. 압구반응회로
      • 2. 진로선별회로
      • 3. 진로조사회로
      • 4. 전철기제어회로
      • 5. 전철기 표시회로
      • 6. 접근쇄정회로
      • 7. 진로 쇄정 회로
      • 8. 신호제어회로
      • 제5절 CAD기능
      • 1. 기본 기능
      • 2. 선형도 편집기
      • 3. 연동도표 생성기
      • 4. 연동표 편집기
      • 5. 결선 Logic 생성기
      • 6. 결선 Logic 편집기 및 해석기
      • 7. 연동 Program 생성기
      • 8. 연동기능 검사기
      • 9. 연동기능 및 I/O Simulator
      • 제6절 Network구성도
      • 1. Vital Network 구성도
      • 2. Non-Vital Network 구성도
      • 제7절 Simulation Test
      • 1. 도봉산역 연동도표
      • 2. 도봉산역 기능 Test
      • 3. 도농역 연동도표
      • 4. 도농역 기능 Test
      • 제5장 표시 제어부(LCP)
      • 제1절 LCP 시스템 개요
      • 1. 개요
      • 2. 기능
      • 3. 시스템 사양
      • 제2절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 1. 개요
      • 2. 통신 사양
      • 3. 전송사양
      • 4. 전송 DATA FLOW
      • 5. 전송 Format
      • 제3절 Data File구성
      • 1. 기본 구조
      • 2. 화면 표시 Scheme
      • 제4절 화면 구성
      • 1. 화면 구성도
      • 2. 세부 항목 설명
      • 3. 메뉴별 상세 설명
      • 제5절 데이터 처리 흐름도
      • 1. Function List
      • 제6장 CAD (Computer Aided Design)
      • 제1절 CAD 개요
      • 1. 개요
      • 2. 단위 시스템 기능
      • 제2절 연동 결선논리 생성기
      • 1. 개요
      • 2. 결선논리 분석
      • 3. 구성 및 기능
      • 4. 설계
      • 제3절 연동 Program 생성기
      • 1. 개요
      • 2. S/W 구성
      • 3. Relay Dat File
      • 4. XXX_DIO.H File 생성
      • 5. XXX_DIO.C File 생성
      • 6. XXX_TMR.C File 생성
      • 제4절 결선 Logic편집기 및 해석기
      • 1. 개요
      • 2. Program 구성
      • 제5절 연동기능 검사기
      • 1. 개요
      • 2. Program 구성
      • 제6절 연동기능 및 I/O Simulator
      • 1. 개요
      • 2. Program 구성
      • 제7장 전자연동장치 표준연동 S/W
      • 제1절 개요
      • 제2절 연동 도표 에디터 프로그램
      • 1. 개요
      • 2. 개발환경 및 OS
      • 3. 연도도표 에디터 프로그램의 기능 및 작성 기준
      • 제3절 연동처리 프로그램
      • 1. 개발환경 및 OS
      • 2. 객체지향기법과 프로그래밍 언어
      • 제4절 진로선별식 계전연동장치의 분석
      • 1. 개요
      • 2. 압구반응계 전기회로
      • 3. 진로선별회로
      • 4. 진로조사회로
      • 5. 접근쇄정계전기회로
      • 6. 진로쇄정계전기회로
      • 7. 전철기제어회로
      • 8. 신호제어 계전기회로
      • 제5절 표준연동소프트웨어의 분석 및 설계
      • 1. 개요
      • 2. 연동장치(시스템)의 정의
      • 3. 연동장치의 분석
      • 4. 클래스의 기본설계
      • 5. 연동장치의 설계
      • 제6절 연동 처리 프로그램
      • 1. 역정의 파일
      • 2. 연동처리 프로그램의 구성
      • 3. 각 객체(통신, 궤도, 신호기, 전철기, 진로)의 설계
      • 4. 전철기 단독전환부 설계
      • 5. 진로 설정부 설계
      • 6. 진로 처리부 설계
      • 7. 진로 취소부 설계
      • 제7절 향후 개발 과제
      • 제8장 연동논리부 H/W
      • 제1절 완성된 DDIS 시스템
      • 1. DDIS 시스템의 개요와 구성
      • 2. CPU 보드
      • 3. 입/출력 보드
      • 4. Input 보드
      • 5.Output 보드
      • 제2절 CPU Board 의 기능
      • 제3절 CPU Board Hardware
      • 1. Micro Controller 68EN360
      • 2. Memory
      • 3. Network
      • 4. Communication
      • 5. Reset
      • 6. VME Control
      • 7. RTC
      • 제4절 CPU Board Software.
      • 1. SFC(Service function Code) / DFC(Destination Function Code)
      • 2. MBAR (ModuleBaseAddressRegister)
      • 3. RSR(Reset Status Register)
      • 4. PLLCR (Phase-locked Loop Centre Register)
      • 5. CLKOCR (clockout control register)
      • 6. CDVCR ( Clock Divider Control Register)
      • 7. PICR - Periodic Interrupt Control Register
      • 8. SWIV - Software Watchdog Interrupt Vector Register
      • 9. PITR - Periodic Interrupt Timer Register
      • 10. BKAR (Breakpint Address Register)
      • 11. MCR (Module Configuration Register)
      • 12. SYPCR (System Protection Control Register)
      • 13. PEPAR (Port E Pin Assignment Register)
      • 14. GMR
      • 15. OR (Option Register)
      • 16. BR (Base Register)
      • 17. SDCR
      • 18. SDMA configuration register (SDCR)
      • 19. SDMA Status Register (SDSR)
      • 20. SDMA Address Register (SDAR)
      • 21. Port A Registers
      • 22. Non-OS 모드
      • 2. RTOS 모드
      • 제5절 시스템의 구성
      • 1. Stand-Alone System
      • 2. Hot-Standby System
      • 3. TMR System
      • 4. Dual-Duplex System
      • 5. N-MR System
      • 6. 상용보드 MO162의 TMR구성 실험
      • 제6절 결론
      • 제9장 TFM(Trackside Functional Module)
      • 제1절 서론
      • 제2절 TFM의 일반
      • 1. 정의 및 역할
      • 제3절 TFM 개발
      • 1. 문서의 목적
      • 2. 공급 전원 요구 사항
      • 3. 인터페이스 사양
      • 4. 상세 설명
      • 제4절 TFM의 Hardware 설계
      • 1. TFM PM의 구성 개요
      • 제5절 결론
      • 제10장 광통신 Network의 설계
      • 제1절 서론
      • 1. 필요성과 요구사항
      • 2. Self-Healing Ring 구조
      • 제2절 연동장치용 DMSHR의 설계
      • 1. 구성도
      • 2. 동작
      • 3. FPGA
      • 제3절 결론
      • 제11장 전철기 설계
      • 제1절 개요
      • 1. 개요
      • 2. 개발 목표
      • 3. 사용 조건
      • 제2절 전철기 구조
      • 1. 일반사항
      • 2. 외함
      • 3. 전환부 및 쇄정부
      • 4. 급유장치
      • 5. 전자 클러치
      • 6. 표시장치
      • 7. 접선자
      • 8. 수동장치
      • 9. 전철기 체결장치
      • 10. 외부상세구조
      • 11. 내부 상세구조
      • 12. 전자클러치(Friction torque limiter coupling)
      • 13. 궤도변에 설치된 전철기구조
      • 14. 컨트롤 로드 구성
      • 15. 전철기 설치
      • 15. 전철기 내부 배선도
      • 제3절 검사 와 시험
      • 1. 검사
      • 2. 시험
      • 제12장 결론
      • 참고문헌
      • 부록1. 전자연동장치 시험 및 모의시험장치
      • 부록2. 전자연동장치 1형 제작도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