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태도시 조성 핵심기술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최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31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연구의 개요(Outline of this study)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Background and Necessities)
      • 1.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New Paradigm for environment)
      • 2. 기존 도시개발의 문제(Problems of Existing Urban Development)
      • 3. 기존 연구동향 분석(Overview of prior study and researches)
      • 제1장. 연구의 개요(Outline of this study)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Background and Necessities)
      • 1.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New Paradigm for environment)
      • 2. 기존 도시개발의 문제(Problems of Existing Urban Development)
      • 3. 기존 연구동향 분석(Overview of prior study and researches)
      • 제2절 연구 목표 및 내용(Goals and contents of this research)
      • 1. 전체 연구목표 및 내용(Goals and contents of this research)
      • 2. 3차년도 연구내용 및 목표(Goal and contents of this year)
      •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Scope and methodology)
      • 1. 연구의 범위(Scope of this research)
      • 2. 연구의 방법(Methodology)
      • 3. 용어의 정의(Definitions of main terms which are referred in this study)
      • 제2장. 환경계획지표의 개발(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 제1절 개요(Introduction)
      • 1. 환경계획지표의 개발방향(The course of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 2. 환경계획지표의 구성 체계(Composition of environment planning indicator at urban planning level)
      • 3. 적용가능한 환경계획지표 검토(Checking up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to be applicable)
      • 제2절 도시개발사업계획 차원의 환경계획지표 개발(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at urban development planning level)
      • 1. 개요(Introduction)
      • 2. 환경부문별 환경계획지표와 산출방법(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by sections and method of measuring)
      • 3. 환경계획지표의 적용가능성 검토(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 4. 환경계획지표의 계획기준 제시(Suggestion of planning guideline)
      • 제3절 통합형 환경계획지표의 개발(Development of unified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 1. 개요(Introduction)
      • 2. 생태기반지표의 정의 및 산출방법(Definitions and method of measuring)
      • 3. 생태기반지표의 활용 가능성 검토(Possibilities of biotop space factor)
      • 4. 생태기반지표 활용의 한계 및 개선점(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biotops space factor)
      • 제3장. 환경친화적 공간계획체계 및 수단(Environmentally friendly spatial planning system and instrument)
      • 제1절 환경친화적 공간계획체계 및 수단의 개발방향(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plan system and instrument)
      • 1. 국내 도시계획체계 및 수단(Planning system and instrument in Domestic)
      • 2. 일본의 도시계획 및 수단(Planning system and instrument in Japan)
      • 3. 미국의 도시계획체계 및 수단(Planning system and instrument in U.S)
      • 4. 독일의 도시계획 및 수단(Planning system and instrument in German)
      • 5. 환경친화적 계획체계 및 수단의 개발방향(The course of development on environmentally friendly spatial planning system and instrument)
      • 제2절 경관생태계의 수립 기법(Methodology of landscape planning)
      • 1. 경관생태계획 개요(Introduction of landscape planning)
      • 2. 경관생태계획 작성 사례- 독일 Eckernf\ddot{o}rde(The examples of landscape planning)
      • 3. 경관생태계획 작성 지침(Drawing up of guideline on landscape planning)
      • 제3절 녹지기본계획의 수립기법(Methodology of greenery base planning)
      • 1. 녹지기본계획의 개요(Introduction of greenery base planning)
      • 2. 녹지기본계획 작성 사례 -독일 Kiel-Ihlberg(The examples of greenery base planning)
      • 3. 녹지기본계획 작성 지침(Drawing up of guideline on greenery base planning)
      • 제4장.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모델 제시(Plann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model)
      • 제1절 용인시 죽전지구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모델(Plann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model in Chuk-jeoun, Yong-in)
      • 1. 용인 죽전지구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모델 I(Model I in Chuk-jeoun, Yong-in)
      • 2. 용인 죽전지구의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모델 II(Model II in Chuk-jeoun, Yong-in)
      • 제2절 화성시 동지지구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모델(Plann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model in Dong- ji, Hwa-sung)
      • 1.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모델 I(Model I in Dong-ji, Hwa-sung)
      • 2. 화성 동지지구의 환경친화적 공간계획 모델 II(Model II in Dong-ji, Hwa-sung)
      • 제3절 환경친화적 공간계획모델의 평가(Estim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model)
      • 1. 용인 죽전지구 공간계획 모델(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model in Chuk-jeoun, Yong-in)
      • 2. 화성 동지지구 공간계획 모델(Environmentally friendly space model in Dong-ji, Hwa-sung)
      • 제5장. 활용 및 제도화 방안(Device of Application and systematization)
      • 제1절 환경계획지표의 활용 및 제도화 방안(Appl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
      • 1. 활용 방안(Application)
      • 2. 제도화 방안(systematization)
      • 제2절 환경계획기법의 활용 및 제도화 방안(Appl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spatial planning system)
      • 1. 환경계획기법의 활용 방안(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lanning system)
      • 2. 환경계획기법의 제도화 방안(Systematiz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spatial planning system)
      • 제3절 향후 연구 방향 및 계획(Research plan after this project)
      • 참고문헌(Refer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