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치국가의 위기와 공권력 무력화 현상에 관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risis of constitutional state and incapacitation of public power -Focusing on analyzing actual exam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6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민주주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국가 공권력에 의하여 국민의 기본권이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침해된 사례가 있기에 국민은 공권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경시하는 풍조가 팽배해 ...

      한국은 민주주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국가 공권력에 의하여 국민의 기본권이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침해된 사례가 있기에 국민은 공권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경시하는 풍조가 팽배해 있다. 특히 200년대 이후 많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국민은 실정법 질서를 불신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민에 의해 기초질서가 지켜지지 않는 국가는 선진국이 될 수 없으며 또한 법치국가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현실을 우리가 직시하여야 할 당면 과제이다. 무엇보다도 국가 공권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경찰의 정당한 법집행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현실은 많은 불특정 다수의 국민들에게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회지도층 인사들의 법질서 존중의식이 확산되어야 하고 또한 이를 위반할 시에는 지위고하(地位高下)를 막론하고 사법부에 의한 엄정하고 공정한 법집행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에 사회지도층의 모범적 법질서 준수의 선행을 전제한 한 기초질서의 확립은 국민 개개인의 준법의식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초질서 중에서 불법 집회시위와 관련하여 경찰의 엄정한 법집행도 중요하지만 경찰의 법집행에 대해서 국민들의 무한한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언론에서 국민의 여론에 대한 공정한 보도와 국가안보 및 사회질서를 염두에 둔 보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공권력 무력화 현상은 민주 사회의 성숙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현대 사회에서 엄정한 법집행의 권위를 부여받고 있는 선진 국가들도 불과 수십 년 전에 공권력 무력화의 시기를 슬기롭게 극복했던 역사적 사실이 있기에 우리도 이를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true that public power of Korean government has excessively restrained or violated people`s basic rights while forming democracy in Korea. So people are sensitive to or disregard public power. Especially since 2000 people have disregarded the la...

      It is true that public power of Korean government has excessively restrained or violated people`s basic rights while forming democracy in Korea. So people are sensitive to or disregard public power. Especially since 2000 people have disregarded the laws as we could see in many examples. But we have to clearly understand that Korea can`t be an advanced country and doesn`t work as a constitutional state when people don`t keep to basic rules. Above all many people are greatly affected by the fact that people don`t respect the reasonable law enforcement by the police that is the symbol of national public power. To prevent it, people in upper classes should first have the mind to respect the laws. When they violate laws, they should be punished by strict and fair law enforcement no matter how high ranks they are positioned. When people in upper classes keep to laws successfully and establish basic rules, we could expect that it could improve law-abiding spirit among people. It is important for the police to enforce laws strictly when there are illegal demonstrations. But first it is more important to create conditions so that people can greatly respect the law enforcement of the police. To achieve the goal the press should report the public opinions fairly and consider national security and social order when it reports some news. It is reasonable that the disregard of public power is a transitional condition that appears when a country advances to a democratic one. Many advanced countries, which enforce laws strictly these days, have once experienced the disregard of public power among their people some years ago. But they passed the period smartly. So it is expected that Korea also pass the period smar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숙, "힘내라 대한민국 경찰" 2004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9

      3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2001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9

      5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8

      6 이황우, "한국의 집회․시위문화 정착방안" 2006

      7 김해룡, "한국에서의 법치국가의 위기와 그 극복방안" 26 (26): 1997

      8 경찰청, "한국경찰사" 경찰청 1994

      9 손동권, "평화적 집회 및 시위문화의 정착" 2000

      10 심희기, "치안현장에서의 법질서 침해실태와 효율적 대응방안" 치안정책연구소 2004

      1 박찬숙, "힘내라 대한민국 경찰" 2004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9

      3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2001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9

      5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8

      6 이황우, "한국의 집회․시위문화 정착방안" 2006

      7 김해룡, "한국에서의 법치국가의 위기와 그 극복방안" 26 (26): 1997

      8 경찰청, "한국경찰사" 경찰청 1994

      9 손동권, "평화적 집회 및 시위문화의 정착" 2000

      10 심희기, "치안현장에서의 법질서 침해실태와 효율적 대응방안" 치안정책연구소 2004

      11 임준태, "집회시위시 발생하는 소음의 합리적 규제기준에 관한 연구" 치안연구소 20 : 2004

      12 임승택, "집회시위문화 변천과 경찰의 대응 토론문" 2006

      13 조병인, "집회 및 시위의 보장과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14 장석헌, "집시법의 한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6 (6): 197-218, 2004

      15 이상안, "집단행동의 불법화 과정에서의 위기요인" 치안정책연구소 (9) : 1998

      16 곽대경, "주취자처리제도의 개선을 위한 보호법안의 필요성" 한국공안행정학회 (19) : 175-210, 2005

      17 이만종, "주취자 보호법 제정법안에 대한 보완적 고찰" 2008

      18 이관희, "우리의 집회시위제도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각국의 집회시위제도 비교고찰" 치안연구소 1995

      19 김유환, "사회적 갈등관리를 통한 집회시위 문화 선진화 방안" 2008

      20 김진혁, "불법폭력시위의 근절과 대책" 2008

      21 김상겸, "법치국가실현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 의무" 한국공법학회 38 (38): 299-328, 2009

      22 김연태, "범죄진압장비의 효과적 사용에 관한 연구" 치안연구소 2004

      23 장석헌, "무관용경찰활동(Zero Tolerance Policing)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찰학회 4 (4): 21-38, 2002

      24 장석헌, "깨어진 창이론(Broken Window Theory)을통한 경찰의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16) : 179-204, 2003

      25 김태계, "기초질서관련 법률개정을 통한 법적실효성 확보방안" 한양법학회 (23) : 105-135, 2008

      26 노호래, "기초질서 위반에 대한 적극적 통제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17 (17): 57-93, 2008

      27 황인학, "기업활동과 법질서 확립" 2008

      28 이상훈, "공무집행방해사범에 대한 공권력 확보방안" 2008

      29 이창무,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에 대한 인식태도 비교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3) : 107-148, 2006

      30 이창무, "경찰의 집회관리방식에 대한 집회참가자와 일반국민의 인식차이 비교" 치안정책연구소 2006

      31 조 국, "경찰보호조치와 훈방조치의 법적근거 및 한계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03

      32 경찰청, "경찰백서" 경찰청 1995

      33 이윤호, "경제살리기와 법질서 확립" 2008

      34 Scholz, Rupert, "Rechtsfrieden und Gewaltmonopol - Grundlagen des Rechtsstaates, in: Der Rechtsstaat und seine Feinde"

      35 Obermayer, "Recht als Friedensordnung" 1984

      36 Kenneth J. Peak, "Policing America -Methods, Issues, Challenges-, 4th ed." Prencite Hall 2003

      37 Isensee, Josef, "Mehr Recht durch weniger Gesetze" 1985

      38 Geiß, Karlmann, "Mehr Gesetze, weniger Rechtsgewährung" 1996

      39 Denniger, Erhard, "Gewalt, innere Sicherheit und demokratischer Rechtsstaat" 1973

      40 Hofmann, "Geschichtlichkeit und Universalitätsanspruch des Rechtsstaats" 34 : 1995

      41 Schmalleger, Frank, "Frank, Criminal Justice Today, 7th ed." Prentice Hall 2003

      42 Benda, Ernst, "Der soziale Rechtsstaat, in: Handbuch des Verfassungsrechts, 2. Aufl."

      43 Karpen, Ulrich, "Bedingungen der Effizienz des Rechtsstaats"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