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이 지각한 체육수업환경, 체육수업태도 및 학습몰입간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3621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태권도ㆍ골프전공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 97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전익기
        참고문헌: p. 76-91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287238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은 인간의 올바른 변화와 사회화를 이끌어내며, 학생이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적절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학생 개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학습결과가 긍정적이거나 또는 ...

      교육은 인간의 올바른 변화와 사회화를 이끌어내며, 학생이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적절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학생 개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학습결과가 긍정적이거나 또는 부정적으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환경은 학습의 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학습 환경을 형성하는데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교사는, 수업을 계획하면서 수업내용이나 학생들의 참여도에 따라 학습 환경은 다양한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 환경은 학생들이 학습에 참여하거나 몰입하게 하는 태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특히, 스포츠 등의 신체 활동을 수반하는 체육 교과에서 학습 환경은 정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다른 교과와는 달리 운동장이나 체육관 등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 동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즉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청소년이 바람직한 체육수업태도나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체육수업환경을 제공하기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체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체육수업환경은 잠재적 내면세계를 자극할 수 있는 충분한 동인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나아가 학생들의 체육수업태도와 학습몰입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선행연구에서 유추해볼 수 있음에 따라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체육수업환경, 수업태도, 학습몰입 간의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체육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60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595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되었거나 이중응답 등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9부를 제외한 586부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가능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수집된 설문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사화 한 자료의 오류확인과 연구대상자 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그리고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체육수업환경은 체육수업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체육수업태도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체육수업환경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체육수업활동에서 긍정적인 교육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를 얻기 위해 청소년의 체육수업환경, 체육수업태도, 학습몰입이 구조적으로 작용하여 효과적인 체육수업활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체육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이 인지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을 도전지각환경, 위험지각환경 그리고 유능지각환경으로 구분하여 체육수업환경을 계획하거나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사는 체육 수업 중에 청소년이 인지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통제하거나 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학생들이 지각하는 체육수업환경에 대해 상호작용하여 학생들의 체육수업태도 및 학습몰입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체육 수업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하여 체육교육이 지향하는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체육수업환경에 대한 실천적이고 보다 확장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 should offer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where students are able to learn to the full, while bringing about right changes and socialization of humans. Results of learning may be perceived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depending on psycho...

      Education should offer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where students are able to learn to the full, while bringing about right changes and socialization of humans. Results of learning may be perceived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depending on psychological traits of each student, and so learning environment must be an important variable determining the results of learning. Teachers who play a major role in establishing learning environments can, while planning the lessons, make them with diverse atmospheres according to contents of lessons or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tudents. And learning environment as such could be an important motivation for the students to take part in the lessons or to be actively engaged in them. Learning environment in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particular - accompanied with physical atmosphere like sports - is made dynamically in the relatively wide space like school yard or a gym unlike other subjects conducted statically. Moreover,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ay happen immediately and so we need to try to provid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that allows youth to experience desirable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or engagement in learning. From this point of view, physical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experienced by students must be a valuable factor as a motivation to stimulate their potential inner world. What’s more, it may hav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ir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and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experienced by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at Gangwon-do as a popul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m. And it carried out a major survey among 60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collected 595 sample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ut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inally 586 shee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excepting nine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unsuitable for this study because of their insincere or improper answers. In regard to the methodology,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on collected survey data using SPSS 22.0 and AMOS 22.0. It also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check any error in the transcribed data and lear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s in the survey, the study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reliability analysis. Whil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each factors. Finally in an attempt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it carried ou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got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perceived by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Second,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of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gagement in learning. Thir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perceived by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gagement in learning.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learned that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for youth,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functioned structurally on the path of youth towards obtaining positive educational and social values. It tells us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re needed. And the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offered basic data as to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to plan or prepar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It was done by dividing psychological environments perceived b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into challenge-perceiving environment, risk-perceiving environment, ability-perceiving environment. Building on these finding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try to underst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that can be perceived by youth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trol or operate these and seek methods to enhance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attitude and engagement in learning of students by creating interactions i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students. Lastly, the study expects practical and more extended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could be conducted actively in the future so that students could willingly take part in and be engag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get the result of learning targeted by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3. 연구가설 8
      • 1) 체육수업환경과 체육수업태도 8
      • 2) 체육수업태도와 학습몰입 8
      • 3) 체육수업환경과 학습몰입 9
      • 4. 연구모형 10
      • 5. 용어의 정의 11
      • 1) 체육수업환경 11
      • 2) 체육수업태도 11
      • 3) 학습몰입 11
      • 6. 연구의 제한점 12
      • Ⅱ. 이론적 배경 13
      • 1. 체육수업환경 13
      • 1) 체육수업환경의 개념 13
      • 2) 체육수업환경의 선행연구 18
      • 2. 체육수업태도 20
      • 1) 태도의 개념 20
      • 2) 학습태도의 개념 21
      • 3) 체육수업태도의 개념 22
      • 3. 학습몰입 25
      • 1) 몰입의 개념 25
      • 2) 학습몰입의 개념 29
      • 3) 학습몰입의 구성요소 33
      • 4) 체육교과 학습몰입 관련 선행연구 36
      • Ⅲ. 연구방법 41
      • 1. 연구절차 41
      • 2. 연구대상 42
      • 1) 연구대상의 선정 42
      • 2) 연구대상의 통제 43
      • 3. 조사도구 44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44
      • 2) 체육수업환경 44
      • 3) 체육수업태도 45
      • 4) 학습몰입 45
      • 4.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6
      • 1) 설문지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6
      • 2) 확인적 요인분석 50
      • 5. 자료처리 방법 52
      • Ⅳ. 연구결과 53
      • 1. 정규성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53
      • 2.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가설 검증 54
      • 1) 구조모형 적합도 검증 54
      • 2) 구조모형을 통한 가설 검증 55
      • Ⅴ. 논의 59
      • 1. 체육수업환경과 체육수업태도의 관계에 대한 논의 59
      • 2. 체육수업태도와 학습몰입의 관계에 대한 논의 65
      • 3. 체육수업환경과 학습몰입의 관계에 대한 논의 67
      • Ⅵ. 결론 및 제언 71
      • 1. 결론 71
      • 2. 제언 73
      • 참고문헌 74
      • Abstract 90
      • 부 록 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양은, "심리학통론", 법문사, 1990

      2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998

      3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SPSS 아카데미, 2004

      4 부기원, "스포츠사회학의 기초 이론", 서울: 교육문화사, 1988

      5 김종환, "고등학생의 체육교과태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5(2), 251-266, 2006

      6 교육부, "2016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계획(안)", 세종: 교육부 인성 체육예술교육과, 2016

      7 이강헌, 조영주, "무용몰입의 개념구조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스포 츠심리학회지, 21(2), 187-200, 2010

      8 김영재, "한국형 여가몰입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9, 343-355, 2010

      9 유영달, "몰입감 모델 (flow model) 의 심리치료적 활용", 한국심리학 회지, 17(1), 35-55, 2005

      10 김경숙, 안혜임, 김종호, "여학생 체육활동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64, 603-614, 2016

      1 정양은, "심리학통론", 법문사, 1990

      2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998

      3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SPSS 아카데미, 2004

      4 부기원, "스포츠사회학의 기초 이론", 서울: 교육문화사, 1988

      5 김종환, "고등학생의 체육교과태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5(2), 251-266, 2006

      6 교육부, "2016년 학교체육 활성화 추진계획(안)", 세종: 교육부 인성 체육예술교육과, 2016

      7 이강헌, 조영주, "무용몰입의 개념구조 탐색 및 척도 개발", 한국스포 츠심리학회지, 21(2), 187-200, 2010

      8 김영재, "한국형 여가몰입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9, 343-355, 2010

      9 유영달, "몰입감 모델 (flow model) 의 심리치료적 활용", 한국심리학 회지, 17(1), 35-55, 2005

      10 김경숙, 안혜임, 김종호, "여학생 체육활동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64, 603-614, 2016

      11 김종환, "중학생의 체육수업몰입 척도개발과 타당화", 한구스포츠교육 학회지, 15(2), 65-81, 2008

      12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2013

      13 최석민, "열린교육의 원리탐색에 관한 연구: 몰입의 원리", 초등교육연 구, 12(1), 53-66, 1998

      14 정기호, "초등체육의 학습환경요인과 수업태도와의 관계", 한국체육과 학회지, 17(4), 921-929, 2008

      15 김윤희, "체육 수업 소외 극복을 위한 체육 수업 전략 개발", 한국스포 츠교육학회지, 16(1), 41-56, 2009

      16 김교헌, 김원식,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BAS/BIS) 척 도", 한국심리학회, 6(2), 19-37, 2001

      17 김정완, 이주욱, 이병준,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선호도", 한국체육교육학회, 16(2), 29-42, 2011

      18 송기현, 허진영, "대학 스키, 스노보드 수업의 심리적 학습환경과 자기", 2010

      19 송교원, 이창훈,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또래관계와 수업몰입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3), 125-148, 2014

      20 류민정, "한국판 체육수업 학습환경 척도(KPELES)의 타당성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2(4), 189-199, 2013

      21 송강영, 임영삼, 안병욱, "대학생의 여가유능감과 여가몰입 여가만족도 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 425-433, 2011

      22 문익수, 최만식, 손영수, "스포츠 몰입상태 척도(FSS)에 대한 통계적 타당성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2), 59-73, 2002

      23 최헌혁, 허진영, "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와 억제의 개념적 구 조", 한국체육학회, 49(3), 157-168, 2010

      24 이승행, "대학생들의 여가경험과 여가유능감 및 운동몰입의 관계", 한 국체육과학회지, 25(1), 45-56, 2016

      25 정용각,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몰입행동 척도의 타당도 검증", 한 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1), 1-21, 2004

      26 구자영, 김원호, 김용은, "중등 체육교사 이미지와 수업몰입 및 수업태 도 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2), 49-66, 2018

      27 소영호, 하상원,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여가태도와 몰입 및 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373-387, 2018

      28 박중길,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에 따른 무용수업 흥 미", 한국체육학회, 47(3), 439-449, 2008

      29 김영식, 정진성, 우성민, 박문환, "통합적 체육수업이 중학생의 체육수 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93-113, 2013

      30 김경숙, 서예원, "체육교과태도가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2012, 79-80, 2012

      31 김무영, 조홍식, 유상석,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 분위기와 교과 흥미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1), 43-60, 2012

      32 송춘현, 이계윤,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선수생활 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5(1), 193-200, 2000

      33 이상섭, 정병근, 이종철, "교양 체육수업의 참여동기와 몰입경험 및 수 업만족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7(2), 211-222, 2008

      34 조홍식, "중 고등학생들의 체육교과 흥미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 향", 한국체육학회지, 15(1), 179-191, 2012

      35 최효진, "지각된 무용교사의 피드백과 학습환경 및 수업흥미간의 관 계", 한국체육학회, 49(1), 365-372, 2010

      36 김진호, 홍세희, 추병대, "경영학 연구에서의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문헌연구 와 비판", 경영학연구, 36(4), 897-923, 2007

      37 송춘현, 정현주, 이건주, "초등학교 아동의 체육수업 참여 동기에 따른 체육수업 몰입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8(6), 787-798, 2007

      38 최용민, 최명구, 김봉환, "교양체육 참여자의 운동몰입과 운동태도, 운동지속 수행력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4(4), 63-75, 2015

      39 강정원,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성취동기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연 구",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학회, 11(5), 151-164, 2017

      40 오중근,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배려와 학생의 정서조절 및 학습몰입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3(4), 89-109, 2016

      41 김종우, 이지우, 문미숙, "교수의 정 (情) 과 유머, 교수-학생 교환관 계 및 학교몰입 간의 관계", 경영교육연구, 19, 1-22, 2014

      42 정혜진, 서영환, 김공,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과 체육수업 몰입 수 업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4(1), 249-265, 2015

      43 권순직, 정구인, "초등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재미요인, 수업몰입 및 수 업만족도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5(3), 149-165, 2014

      44 강이철, 석임복,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3(1), 121-154, 2007

      45 박중길, 정명수, "학생과 교사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차이와 체육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4), 43-56, 2011

      46 박태희, 이종경, "고등학교의 체육수업환경이 체육수업몰입 및 수업만 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3), 339-348, 2016

      47 김연경,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 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2006

      48 서연희, "중학교 체육교과 학습자의 내적동기와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 감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3(2), 137-155, 2016

      49 송호현, 오중근, "체육수업 분위기가 학생들의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5(2), 65-81, 2018

      50 허혜영, "교양체육수업 몰입정도가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1 박준희, "무용수업에서 학습환경과 교사의 피드백 지각이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9(4), 361-372, 2010

      52 김송희, "여가활동참여자의 여가유능감, 여가경험 및 몰입경험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 32(3), 257-265, 2008

      53 허진영, "체육수업 분위기와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도움요청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3), 107-122, 2011

      54 문창운, 정청희, "성취목표 성향과 동기적 분위기가 내적동기와 운동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 1-18, 1998

      55 전진숙, 조은혜, 조성식, "중학생의 학교유형에 따른 체육수업 성역할 인식과 체육수업 몰입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5(2), 281-293, 2010

      56 강신복, 조홍식, "체육수업의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잠재적 태 도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1), 185-195, 2005

      57 신혜숙, "댄스스포츠 참여 환경요인에 따른 참여만족, 여가몰입과 지 속적 참여의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95-104, 2009

      58 이경환, "지각된 체육학습환경과 교사 피드백이 고등학생의 내적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9(2), 83-92, 2010

      59 이충영, "태권도를 활용한 중학교 체육교과 수업몰입이 학교생활만족 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1), 989-1003, 2016

      60 곽기상,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학습에 대한 태도와 관련변인.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8

      61 김영욱, 유기성, 김재엽,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중 체형불안과 수업태 도의 관계: 수업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스포츠학회, 11(1), 1-11, 2013

      62 문제민, "중등 학생의 학습성향과 체육교사 수업평가와의 관계.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63 조홍식, "체육교사의 교수열정과 학생들의 교과 흥미도 및 학습몰입간 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2), 115-134, 2013

      64 김승용, 송기현,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학습 환경과 결과기대 및 문제 해결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5), 389-398, 2015

      65 조홍식,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도움요청 행동의 유형차 이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7(2), 13-25, 2008

      66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2011

      67 김영주, 백종수,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신뢰와 체육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3), 131-142, 2013

      68 김희정, 송인섭, "중․고등학생의 교사 학생관계, 학습동기 변인, 학습몰 입간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7(2), 409-429, 2013

      69 김승재, 박중길, "체육교사의 피드백과 학습환경 지각이 중학생의 수 업관련 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50(6), 211-222, 2011

      70 황정규, "대학교양체육의 수업환경요인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1 김원호, "중등 체육교사 이미지와 수업몰입 및 수업태도 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6

      72 남인수, 이기백,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중학생의 체육수업몰입 및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991-1003, 2010

      73 송춘현,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가치와 유능감지각, 성취목표 및 수 업몰입 간 인과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4), 199-212, 2013

      74 조홍식, "체육교과의 자율성지지와 학생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및 도움 요청행동과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8(1), 1732, 2011

      75 김종환,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유형과 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 및 체육 교과 태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3), 41-54, 2007

      76 송기현, 허진영, "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억제와 동기조절전략 및 도움요청 행동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521-534, 2011

      77 김봉경, "대학생의 체육수업 성역할 인식이 체육수업 몰입과 참여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3), 747-460, 2013

      78 문선호, "스키리조트에 대한 인지된 위험이 위험관리 필요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1(4), 77-86, 2006

      79 최헌혁, 허진영, "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와 억제 척도의 재검 증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5), 229-241, 2012

      80 김근오, 김도훈, "대학교 교양 골프수업 참여동기와 수업몰입, 수업만 족 및 운동지속의사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8(4), 683-694, 2009

      81 김미선,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참가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82 나귀임, "체육수업의 도전지향활동과 중학생의 자신감과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83 민경훈, 정한기, 이종민, "아동의 운동능력믿음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 한 인지평가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21(4), 39-50, 2016

      84 문윤제, "지역별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체육교육 인지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9(1), 77-86, 2008

      85 김영한, 하은정, 최현석, 이진옥, "지체장애학교의 체육 수업환경과 체 육교사의 수업만족도 및 교직헌신에 대한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 연구, 57(4), 255-281, 2018

      86 서예원, "체육교과태도가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7 원영신, 조은영, 이상희, "교수의 지도유형이 교양 댄스스포츠 수업 참 가자의 재미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8(1), 73-85, 2012

      88 김춘종, 손승범, "수상스포츠 참가자의 위험지각, 재미, 여가몰입 및 운동지속행동 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1(4), 271-282, 2012

      89 김동환, 김승용, "체육교사에 대한 교사신뢰와 체육교과태도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5), 1019-1029, 2014

      90 유진, 허정훈, "체육성취목표지향성과 동기분위기가 내적 동기, 자긍 심, 운동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편, 14, 68-86, 2001

      91 남인수, 이실관, 이기경,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학습환경이 중학생의 자기조절전략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 17, 709-728, 2017

      92 김수연,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8종 체육교과서 이론단 원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3 하재우, "고등학생의 성취목표 성향과 체육수업 몰입 및 수업만족 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4 문윤제, "체육 성취목표 성향과 체육수업 참여 동기가 초등학생의 체 육교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4(2), 121-131, 2008

      95 최웅철, 홍진배, "학교체육시설 개선을 통한 수업환경 만족이 체육수 업 몰입 및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3), 93-106, 2011

      96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 조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2003

      97 도경수, 조범현, "고교생의 인지욕구, 자기조절 학습능력, 학습몰입이 학업성취와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 집, 2013(1), 359-359, 2013

      98 최한빈, "체육 참여자들의 내적동기가 운동지속과 운동중독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99 고성진, "체육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이 학습태도와 학습몰입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00 이광수, "모험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동기, 스포츠몰입, 참여 후 행 동과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101 김보연, "체육수업환경이 학생들의 동기, 학습기능 및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02 조필환, "초등 체육에서 동기 분위기에 따른 자기 결정 동기와 과외 체육 활동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20(3), 141-153, 2015

      103 한선숙, "대학교양무용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교수의 지도 유형이 수업 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2), 653-667, 2012

      104 장혜림, "무용전공자들의 신체적 유능감이 무용몰입 및 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105 소연희,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의 수업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구조적인 관계분석", 아동교육, 20(2), 19-32, 2011

      106 김영한, 최현석,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체육교육환경이 내재적 동기, 교직 헌신 및 수업 만족에 미치는 구조 분석", 특수교육 저널: 이론 과 실천, 20(3), 239-259, 2019

      107 남인수, "체육 수업에서 지각된 학습 환경이 중학생의 행동 활성화/억 제 및 도움 요청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0(3), 155-168, 2015

      108 조홍식,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 지지환경이 학생들의 도움요청 행동과 수업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0(6), 273-284, 2011

      109 김지연, 최혜리, 주영주,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 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 구, 25(4), 101-124, 2009

      110 김경미, "무용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여고생의 무용학습태도 및 자아개념과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5

      111 황현희,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습몰입 및 수업태 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112 이형규, "여중생의 학습심리요인 및 심리적 수업환경이 체육수업몰 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13 이혁주,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수업 환경과 수업만족도 및 정의적 특성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8

      114 김종환, "중학생의 자기결정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 력 및 체육수업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0(5), 173-183, 2011

      115 박태희, "남자고등학생의 지각된 체육수업환경이 수업몰입 및 수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116 Kline, R. B., "구조방정식 모형-원리와 적용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역)", 서울: 학지사, 1998

      117 권윤정,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부모의 스포츠 참여에 따른 자녀의 체 육학습태도의 차이.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18 이기경,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학습환경과 중학생의 자기조절전략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6

      119 김범, 주형철, 이용건, "체육전공 대학생 들이 지각한 교수의 슈퍼리더 십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 그리고 학습몰입 간의 관계", 한국사회체 육학회지, 65, 333-346, 2016

      120 김보연, 천승현, 송용관, "체육수업 내 심리적 욕구지지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학습기능 및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체육학회지, 54(1), 127-145, 2015

      121 정준영, "대학 교양 골프수업의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122 현솔, "여성체육교사 이미지가 여학생의 신체적 유능감 및 체육수 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2018

      123 최헌혁, "체육수업행동의 활성화와 억제환경이 심리적 욕구와 자결 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24 김현용, "학교 유도 시설 환경이 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의 운동 만 족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 대학원, 2013

      125 김영욱, 유원용, "동계 모험스포츠 수업 수강 대학생의 각성추구성향 이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운동 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 육학회지, 50(1), 477-488, 2012

      126 강민정, "중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도유형이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27 이은주, "초등학생의 운동믿음에 따른 체육 수업에 대한 인지평가 가 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2017

      128 장정정, "중국 하남성 고등학생이 지각한 체육학습환경 및 자아탄 력성과 체육수업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 학원, 2017

      129 최현석,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체육교육환경, 내재적 동기, 교직 헌 신 및 수업 만족의 구조관계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 교 대학원, 2019

      130 이종경, 홍민기, "대한체육회 수업 참여자의 수업환경 만족, 운동몰입 및 운동 지속 의도 간의 관계: 천안시 체육회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지, 17(3), 63-71, 2019

      131 원세정,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심리적 행 복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 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32 김나영,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 작용, 몰입 및 학 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미간행 박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33 정현철, "지역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중학교 스포츠클럽활동 환경 요인이 체육활동 몰입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34 김규호, "모험스포츠 참여자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안전의식이 안전 실천행동, 위험지각, 운동몰입,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