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공지능 기반 공연예술에 관한 사례연구 :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6162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case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performing arts : focused on the meta performance <Schrodinger's lizard tail>

      • 형태사항

        vii, 123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박동우
        부록수록
        참고문헌: p. 90-94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9019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re overcoming the pandemic by applying methods suitable for non-face-to-face environments caused by COVID-19.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with embracing the latest technology of the ...

      Through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re overcoming the pandemic by applying methods suitable for non-face-to-face environments caused by COVID-19.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with embracing the latest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lso a change in the ways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While the scope of creative expression is spontaneously expanding by using the latest technology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however,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ar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adequate.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a case of performing art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lied. It is to study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is an appropriate device for a new type of performing arts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otential and expected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erforming arts.
      In this thesis, the meta performance <Schrödinger's Lizard Tail>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and results were analyzed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performance to the evaluation stage after the performanc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ing to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established through document study. Through case studies of culture and ar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ange of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omprehended.
      In the text,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erformanc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ta performance <Schrödinger's Lizard Tail>. In the meta performance <Schrödinger's Lizard Tail>, artificial intelligence did not just play the role of technology but also appeared as a character in the play that symbolized 'technology'. The technology used on the stage surpassed the role of a supplementary device for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as used as a character that delivered messages by the creators.
      As a result of interviews and surveys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erformance and the reason why artificial intelligence was used was not identified. However, respondents viewed the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rformance as a new attempt and positively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its development.
      The positive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forming arts according to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dience's interest in the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Second, it has sufficient value as a medium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age. Third, there are various ranges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mprehensive art such as scripts, music, videos, etc.
      I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formances are produced in the future,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ile strengthening the above positive aspects. First, clear reasons and goals must be set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erformance. Second,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b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performance. Third, there is a need for popularity to lower the entry barrier of the convergence performance itself.
      It is meaningful that a study on a new type of performing art that combines theater and da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conducted. I hope that our effort to adopt artificial intelligence to build an alternative form of performing ar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cont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의 기술력을 통해 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 적합한 방안들을 적용하며 팬데믹을 극복해나가고 있다. 공연예술 분야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 기술이 도입되면...

      4차 산업혁명의 기술력을 통해 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 적합한 방안들을 적용하며 팬데믹을 극복해나가고 있다. 공연예술 분야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 기술이 도입되면서 관객과의 소통 방법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가장 아날로그적이고 보수적인 장르라 볼 수도 있는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창작 표현의 범위를 자연스럽게 확장해 나가고 있지만,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된 공연예술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공지능이 적용된 공연예술에 관한 사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인공지능이 기술과 예술을 융합한 새로운 유형의 공연예술에 적합한 장치인지 확인하고 공연예술 내 인공지능의 활용성 및 기대효과를 전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공연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공연 후 평가 단계까지 전체 제작 과정 및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의 정의 및 주요 분류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수립하였고 인공지능이 적용된 문화예술 사례 조사를 통해 예술에 적용된 인공지능의 활용 범위를 파악하였다.
      본문에서는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의 분석을 통해 공연 내 인공지능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에서 인공지능은 단순히 기술의 역할만 한 것이 아니라 ‘기술’을 상징하는 극 중 하나의 캐릭터로 등장하였다. 무대에 사용된 기술이 공연의 배경 설명을 위한 보조 장치의 역할을 뛰어넘어 창작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극 중 구성 요소로 그 활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연의 평가를 위한 심층 인터뷰 및 설문 조사 결과, 공연 내 인공지능의 요소를 인지하기 어려웠으며 인공지능이 사용된 이유를 명확히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인공지능과 공연의 융합이라는 지점에 대하여 참신한 시도로 바라보며 그 발전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함을 확인하였다.
      위 연구 결과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공연예술의 긍정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에 대한 관객들의 흥미가 높은 편이며, 전문가들은 그 발전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둘째, 무대의 제약을 뛰어넘을 수 있는 매체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셋째, 종합예술인 공연예술의 대본, 음악, 영상 등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다양하다.
      추후 인공지능 기반 공연 콘텐츠가 제작된다면 위의 긍정적 측면을 강화함과 함께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공연 내 인공지능 기술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이유와 뚜렷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공연 내 인공지능의 역할과 사용에 대한 확실한 표현이 필요하다. 셋째, 융⦁복합 공연 자체의 진입 장벽을 낮출 대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여 연극과 무용이 접목된 공연예술에 관한 국내 최초의 사례연구로, 연극과 무용의 아날로그적 감성과 인공지능의 첨단기술이 만난 새로운 유형의 공연예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된 참신한 공연예술 콘텐츠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 4
      • 1.3. 선행연구의 고찰 7
      • I.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 4
      • 1.3. 선행연구의 고찰 7
      • Ⅱ. 인공지능의 이론적 배경 14
      • 2.1. 인공지능의 정의 14
      • 2.2. 인공지능의 분류 19
      • 2.2.1.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 19
      • 2.2.2. 머신러닝과 딥러닝 21
      • 2.3. 인공지능 문화예술 사례 29
      • 2.3.1. 럿거스대학교의 <AICAN> 29
      • 2.3.2. 가수 거북이의 <새로운 시작> 34
      • 2.3.3. 국립현대무용단의 <비욘드 블랙> 38
      • Ⅲ.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의 인공지능 활용 44
      • 3.1. 공연 개요 44
      • 3.1.1. 제작 배경 44
      • 3.1.2. 기획 의도 46
      • 3.1.3. 구성 47
      • 3.2. 인공지능의 활용 53
      • 3.2.1. 제작 과정 및 연출 방법 53
      • 3.2.2.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60
      • Ⅳ. 공연의 평가 및 분석 62
      • 4.1. 심층 인터뷰 62
      • 4.1.1. 인터뷰 대상 및 표집 방법 62
      • 4.1.2. 질문지 구성 63
      • 4.1.3. 분석 내용 65
      • 4.2. 관객 설문 조사 73
      • 4.2.1. 조사 대상 및 표집 방법 73
      • 4.2.2. 설문 조사 구성 73
      • 4.2.3. 분석 내용 75
      • Ⅴ. 결론 85
      • Ⅵ. 참고문헌 90
      • Ⅶ. 부 록 95
      • Abstract 1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