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곤신의 심판에 나타난 용사 하나님의 신학 : 사무엘상 5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60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사무엘상 5장의 전반부에서 블레셋 사람들은 다곤 신상 옆에 여호와의 법궤를 두었다. 그리고 다곤 신상은 여호와의 궤 앞에서 머리가 잘리고, 손발이 잘렸다. 후반부에서는 여호...

      국문초록

      사무엘상 5장의 전반부에서 블레셋 사람들은 다곤 신상 옆에 여호와의 법궤를 두었다. 그리고 다곤 신상은 여호와의 궤 앞에서 머리가 잘리고, 손발이 잘렸다. 후반부에서는 여호와께서 독한 종기를 블레셋 사람들의 도시에 재앙으로 내리쳤다. 본문에서는 하나님이 용사로서 등장하신다. 용사 하나님 신학은 성경 곳곳에서 드러나는데, 출애굽기 15장 3절( אִישׁ מִלְחָמָה )처럼 ‘용사 하나님’이라는 단어가 직접적으로 드러난 곳도 있지만, 행하시는 행동을 통해서 ‘용사 하나님’이 나타나는 곳도 많다.
      특별히 용사 하나님 신학은 법궤가 있는 곳에서, 성전(聖戰)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40년 동안 광야 생활을 할 때에 법궤를 중심으로 이동을 하였는데, 이때에 하나님은 용사로서 등장하셨다(민10:35-36). 여호수아를 중심으로 가나안 땅으로 입성할 때에도 법궤가 제일 선두에 있었고, 백성들은 그 뒤를 따랐다(수3:14). 이때에도 하나님은 용사로서 행동을 하셨다. 법궤가 가지고 있는 상징은 첫번째로는 하나님의 임재함이다. 특별히 전쟁의 상황에서 하나님이 전쟁에 참여하고 계신다는 것을 백성들에게 표현할 때에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법궤를 사용하였다. 법궤의 기능 두 번째는 하나님의 인도함이다. 고대 근동의 문화에서 보면, 마치 왕이 자기 군대를 이끌고 전쟁터로 가는 것과 흡사한 모습이다. 이와 같이 법궤와 함께하는 용사 하나님의 모습을 성경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사무엘상 5장 내러티브에서는 법궤가 등장한다. 이스라엘 백성들과 블레셋 백성들간에 벌어지는 가시적인 전투 장면은 없지만, 여호와가 다곤 신을 멸하시고, 죽이시고, 재앙을 내리시는 성전(聖戰)이 분명하다. 다곤은 에블라 토판에서 ‘신들의 주,’ ‘그 땅의 주,’ ‘가나안의 주’ 등으로 명명하고 있다. 즉 다곤의 지위는 만신전의 주 신이다. 가나안 지역과 페니키아 지역에서의 다곤의 지위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우가릿 문서에서는 다곤이 바알의 아버지로 등장한다(UT 137:36,37).
      블레셋 민족은 이런 다곤을 주 신으로 숭배하고 있었다. 특별히 아스돗은 당시에 가장 번영한 도시였다. 블레셋 사람들은 아스돗에 있는 다곤 신전에 법궤를 두었다. 이렇게 다곤 신전에 법궤를 둔 이유는 백성들 간에 펼쳐진 전쟁에서 승리한 끝에 블레셋의 주 신 다곤이 여호와보다 더 강하고 센 신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고, 그래서 여호와가 다곤을 섬기라는 뜻으로 혹은 패자가 굴복하는 복종의 의미로 법궤를 다곤 옆에 둔 것이다(5:2). 그러나 그 다음날 아침에 블레셋 사람들은 다곤 신상이 엎드러졌는데, 그 얼굴이 땅에 닿아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다곤 신상의 얼굴이 땅에 쳐 박혀 있는 것은 복종의 의미이다. 다곤이 여호와께 복종을 맹세하는 모습이었던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용사 하나님을 만날 수 있다. 백성들간에 펼쳐지는 가시적인 전쟁에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은 질 수 있다. 그러나 용사 하나님은 패배하지 않으신다는 것이 여기에서의 메시지인 것이다. 오히려 적군의 신이 여호와 앞에서 복종을 맹세한다. 그 다음날 아침에는 다곤이 쓰러져 있었을 뿐만 아니라 머리와 두 손목이 끊어져 있었다. 이것은 다곤이 완전히 죽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전쟁에서 목을 베는 현상은 성경 곳곳(삼상17:51, 삼상31:9)에서 볼 수 있다. 성전(聖戰)에서 다곤은 죽임을 당한 것이다. 윅긴스는 ‘바알이 죽었다’는 것을 ‘손목이 잘려 나갔고, 머리가 땅(바위)에 박혀 있는 것’으로 표현한 우가릿 문헌을 언급하면서, 다곤은 여호와께 죽임을 당하였다는 것을 논쟁하였다.
      여호와의 손이 법궤가 아스돗, 가드, 에그론으로 이동할 때마다 그 도시의 블레셋 사람들을 고통으로 집어 넣으셨다. 이 구절에서는 힘을 보이시는 ‘하나님의 손’을 통해서 용사 하나님이 드러난다. 여기서는 저자가 독자들로 하여금 이집트에서 역사하셨던 능력의 하나님을 떠올리게 한다.
      사무엘상 5장의 전반부에서 하나님은 용사 하나님으로 다곤을 죽이셨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도 하나님은 용사 하나님으로 다곤을 숭배하는 블레셋 사람들을 치셨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다곤과 블레셋에게 능력을 보이신 이유가 있다. 용사 하나님이 일어나셔서 대적을 물리쳤고 영원히 그들에게 욕이 되게 하셨다는 메시지를 던지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법궤를 블레셋 땅에서 이끌어 내기 위함이었다.
      이와 같이 용사 하나님 신학은 이스라엘에게 희망을 준다. 사무엘상 5장은 시온산을 택하시기 위한 하나님의 섭리 중의 하나인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1
      • 1. 목적…………………………………………………………………………………… 1
      • 2. 방법론………………………………………………………………………………… 2
      • 목차
      • I. 서론………………………………………………………………………………………………1
      • 1. 목적…………………………………………………………………………………… 1
      • 2. 방법론………………………………………………………………………………… 2
      • 1) 서사 분석 방법론………………………………………………………………… 2
      • 2) 용어 정리: 모티프 …………………………………………………………………6
      • 3) 용어 정리: 성전(聖戰)…………………………………………………………… 8
      • II. 구약 성경에 나타난 용사 하나님의 신학 ……………………………………………… 9
      • 1. 용사 하나님 신학…………………………………………………………………… 9
      • 2. 출애굽에서 가나안 입성까지 나타난 용사 하나님…………………………… 12
      • 3. 법궤의 이동에서 나타난 용사 하나님 ………………………………………… 14
      • 4. 신화적인 모티프를 통해서 나타난 용사 하나님……………………………… 18
      • 1) 시편 24편 ……………………………………………………………………… 21
      • 2) 시편 74편 13절-15절…………………………………………………………23
      • 3) 이사야 27장 1절……………………………………………………………… 24
      • 5. 사무엘상 5장과 성전(聖戰), 그리고 용사 하나님…………………………… 26
      • Ⅲ. 사무엘상 5장의 구조와 사역…………………………………………………………… 28
      • 1. 사무엘상 5장 구조………………………………………………………………… 29
      • 2. 사무엘상 5장 사역과 본문비평……………………………………………………30
      • Ⅳ. 주요 인물과 장소의 역사적 신화적 배경 …………………………………………… 33
      • 1. 블레셋 ……………………………………………………………………………… 33
      • 2. 다곤 ………………………………………………………………………………… 37
      • 3. 아스돗 ……………………………………………………………………………… 46
      • Ⅴ. 사무엘상 5장에 대한 서사적 읽기………………………………………………………49
      • 1. 다곤 곁에 여호와의 궤를 둠(2절) ………………………………………………51
      • 2. 법궤 앞에서 다곤이 쓰러짐 (3절, 4절) ……………………………………… 53
      • 3. 하나님의 손이 독종으로 치시매(6절) ………………………………………… 60
      • IV. 결론: 사무엘상 5장에서 나타난 용사 하나님과 그 메시지…………………………63
      • 참고문헌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