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주항쟁과 애국적 민주공화주의의 탄생 = 저항적 시민사회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조해석학적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2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표는 1980년 5월 광주항쟁 당시 항쟁 공동체의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했던 사회적 가치와 상상적 공동체의 의미구조를 규명하는 것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문화적 심층구조를 이...

      이 논문의 목표는 1980년 5월 광주항쟁 당시 항쟁 공동체의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했던 사회적 가치와 상상적 공동체의 의미구조를 규명하는 것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문화적 심층구조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구조해석학 방법론을 동원하여 광주항쟁 당시 시민들이 제작, 유포한 호소문, 성명서, 상황보고, 연설문, 노래가사, 가두 방송 원고 등의 텍스트를 분석했다. 특히 분석의 초점은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집단적 가치와 상상적 공동체의 관념이다. 집단적 가치의 측면에서는 민주?민족?민중?공화?반공주의의 이념과 가치를, 상상적 공동체의 측면에서는 지역ㆍ나라ㆍ민족ㆍ세계로 확장되는 상상적 공동체의 공간적 범위를 해석가설로 놓고, 전체 텍스트를 관통하는 집단적 정체성의 내적 질서와 위계구조를 재구성했다. 분석 결과, 광주항쟁의 집단적 정체성의 중핵에는 민주-공화주의의 집단적 가치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공동체에 대한 집단귀속감이 놓여 있었다. 광주항쟁은 한국사회에서 국가권력과 시민사회의 격렬한 충돌이 일어나는 저항의 고조기에, 민주공화주의적 가치지향과 애국주의적 정체성이 결합되는 집단적 정체성이 강렬하게 분출된 대표적 사례로 이해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consciousness and imagined communities which constituted the collective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of the 1980 Gwangju civic uprising, thereby making a contribution to t...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consciousness and imagined communities which constituted the collective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of the 1980 Gwangju civic uprising, thereby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deep structure of Korean civil society. This study analyzed on the basis of structural-hermeneutical methodology 54 texts which diverse groups of protest participants produced and made public during the protest events: declarations, public announcements, letters of plea, public speech, song lyrics, manuscript of street broadcast, etc. The two foci of interest were the shared social values and the spatial boundaries of imagined communities. As potentially cogent interpretive hypotheses the analysis took into consideration: the democratic, popular, nationalist, republican, and anti-communist ideas for the shared values, and the regional, patriotic, ethno-national, and cosmopolitan social identities for the imagined communities. The result of analysis was that the democratic-republican values and the strong commitment to the political community lay at the center of collective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of the protest actions. The Gwangju uprising can be understood as a historical example which shows that at the peak of protest cycles in South Korea the collective identities composed of democratic-republican value-commitments and patriotic social identities emerge from the life-world into the arena of contentious poli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기초와 연구 설계
      • Ⅲ. 집단적 가치의 구성과정과 의미구조
      • Ⅳ. 상상적 공동체의 공간과 시간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기초와 연구 설계
      • Ⅲ. 집단적 가치의 구성과정과 의미구조
      • Ⅳ. 상상적 공동체의 공간과 시간
      •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분석 문서 목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