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Self-Resilience and Happiness on Rol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8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care-teachers’ self-resilience and happiness on their role performance in order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care- teachers’ role perfor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care-teachers’ self-resilience and happiness on their role performance in order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In that regard, the study measured the self-resilience(Kolhnen, 1996), happiness (Argyle, 2001) and role performance(Park, 2011) of 308 childcare-teachers and analysed the relationship and relative influence between the factors. The result show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in all cases between each one and another of the self-resilience, happiness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teachers; Second, both self-resilience and happiness of the teacher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role performance; Lastly, in particular, the optimistic attitude, one of he sub-elements of self-resilience, and external happiness, one of the sub-elements of happi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all sub-elements of role performance. It means that for the childcare-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 well they should be equipped with high levels of self-resilience and happiness, especially the latter through optimistic attitude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Thus, programs for childcare teachers to develop their self-resilience and improvements of physical as well as social circumstances to heighten their sense of happiness are in or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orysenko, J.,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비밀" 아마고 2009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상, 중, 하" 두산동아 1999

      3 이상욱,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 자기탄력성의 중재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4 장한이,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생 및 학부모와의 상호작용, 교사효능감, 행복감의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 김희태, "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6 조혜경, "저 출산시대 보육의 질 함양을위한 보육정책의 방향모색" 1 (1): 1-10, 2005

      7 朴玹珍,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8 강정숙,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3-273, 2015

      9 Lopez, S. J., "인간의 강점 발견하기" 학지사 2008

      10 황해익,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11-432, 2013

      1 Borysenko, J.,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비밀" 아마고 2009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상, 중, 하" 두산동아 1999

      3 이상욱,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 자기탄력성의 중재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4 장한이,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생 및 학부모와의 상호작용, 교사효능감, 행복감의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 김희태, "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6 조혜경, "저 출산시대 보육의 질 함양을위한 보육정책의 방향모색" 1 (1): 1-10, 2005

      7 朴玹珍,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8 강정숙,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3-273, 2015

      9 Lopez, S. J., "인간의 강점 발견하기" 학지사 2008

      10 황해익,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11-432, 2013

      11 장영숙,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및 교수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63-288, 2017

      12 안진희,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과의 차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권수현,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역할갈등 및 역할갈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회복탄력성 상·하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11-331, 2011

      14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15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16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89-503, 2012

      17 송민영,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73-295, 2017

      18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9 원지현,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67-194, 2015

      20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15-235, 2009

      21 이희은, "유아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변인 간의 구조관계분석: 직무만족, 행복감, 관계지향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231-256, 2017

      22 최은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3 송명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환경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4 최형성,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129-149, 2017

      25 이희경, "유아교사의 역할 Q-set개발 연구" 4 (4): 27-54, 2000

      26 문은영,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행복감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7 정호경,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및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347-368, 2014

      28 이순옥,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2 (22): 261-285, 2018

      29 박성애,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및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937-961, 2017

      30 김영은,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2 (12): 189-207, 2012

      31 황미선, "영유아교사의 전문성과 행복감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9

      32 신희정,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91-308, 2013

      33 이경례,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3 (13): 163-182, 2013

      34 오채선,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형성을 위한 비판적 고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19-341, 2016

      35 김지은,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97-216, 2009

      36 박서연,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7-32, 2010

      37 박형경,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관련 변인 : 직업 선택동기, 직무환경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쉽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38 김은희, "어린이집 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9 서울경제, "아이 한 명도 안 낳는한국인...‘種의 존재를 포기한 셈’"

      40 김수진,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과 유아 창의성간의 관계" 1 (1): 125-146, 2005

      41 최미숙,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실시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역할수행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9) : 129-149, 2007

      42 김봉남, "보육시설 재이용의사 결정요인 연구 - 보육서비스 질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83-304, 2015

      43 이세나,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25-54, 2006

      44 이청,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어린이집내의 대인관계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45 김애자,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자기결정성과의 관계 분석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95-504, 2018

      46 이선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83-104, 2015

      47 장성예,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 18 (18): 1-25, 2018

      48 배성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233-258, 2014

      49 김하니,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50 백승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6

      51 홍금자, "보육교사의 전문성증진과 전문 인력의 확대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2) : 125-154, 2008

      52 권정윤, "보육교사의 전문성 및 CCTV 필요성 인식과 역할수행, 어린이집 조직건강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143-164, 2017

      53 문명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6

      54 박정숙,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행복감 간의 관계"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839-854, 2019

      55 이은숙,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보육효능감, 보육헌신 및 행복감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56 탁정화,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07-128, 2014

      57 황종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9 (19): 59-81, 2015

      58 이연경, "보육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직무스트레스가 교사가 인식한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87-1105, 2018

      59 박복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60 김정희,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75-190, 2014

      61 김은경,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역할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8 (8): 25-45, 2014

      62 김지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63 조필수, "보육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기초 :서울시 양천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64 정순영,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5 장미순,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66 이지영,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2) : 103-125, 2015

      67 권석만, "긍정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68 중도일보, "국공립 어린이집도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

      69 김인숙, "교사의 팔로우십 유형에 따른 원장-교사 교환관계·자아탄력성·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70 우수경,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5) : 105-125, 2015

      71 Diener, E., "Very happy people" 13 (13): 81-84, 2002

      72 Chen, C., "The role of resilience and coping styles in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25 (25): 377-387, 2016

      73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Broadway Books 15-18, 2003

      74 Luthar, S. S., "The resilience :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 for future work" 71 (71): 543-562, 2000

      75 Argyle, M., "The psychology of happiness" Routledge 2001

      76 Sinclair, V. G.,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rief resilient coping scale" 11 (11): 94-101, 2004

      77 Gu, Q., "Teachers resilience :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23 : 1302-1316, 2007

      78 Martin E. P. Seligman,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60 (60): 410-421, 2005

      79 Peterson, C.,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6 (6): 25-41, 2005

      80 Klohnen, E. C., "Conceptual anala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70 (70): 1067-1079, 1996

      81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Free Press 2004

      82 Block, J.,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53 (53): 281-295, 1982

      83 Tellegen, A., "Anxiety and the Anxiety Disorders" Erlbaum 681-706, 1985

      84 Walsh, F.,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 51 (51): 130-137,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Life-span Studies: KALS -> Association of Life-span Studies: ALS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38 2.177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