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제주도에 분포하는 제4기 단성화산체의 형태적 분류 및 분포 특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5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화산섬인 제주도에는 약 360여 개의 단성화산체가 분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일려진 것보다 100여 개가 더 많은 총 455개의 단성화산체가 ...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화산섬인 제주도에는 약 360여 개의 단성화산체가 분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일려진 것보다 100여 개가 더 많은 총 455개의 단성화산체가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총 455개의 단성화산체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분석구가 373개로 전체의 82.0%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며, 분석구 외에도 정상부가 뾰족한 형태이면서 용암으로 구성된 것이 9개(2.0%), 순상화산체가 27개(5.9%), 응회환이 17개(3.7%), 응회구가 3개(0.7%), 마르가 1개(0.2%), 용암돔이 25개(5.5%)가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이들 중 알오름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15개가 있다. 단성화산체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제주도의 서쪽에 비해 동쪽에 더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수량과 같은 풍화 요인에 의해 분석구의 형태가 영향을 받는다면, 강수량이 월등히 더 많은 남부 지역에 한 방향으로 터진 말발굽형 화구를 가진 분석구나 초승달형 분석구, 불규칙한 형태의 분석구 등이 더 많이 분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제주도에서는 오히려 강수량이 더 적은 북부 지역에 이러한 분석구들이 더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주도의 남북 간의 기후적인 요소의 차이가 분석구의 형태나 분포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단성화산체 중 응회환, 응회구와 마르는 주로 제주화산섬의 지하 또는 해안가의 저지대에 위치하며, 분석구는 대부분이 해안에서 떨어진 섬의 내륙부에 위치한다. 이는 제주도 단성화산체를 형성한 화산활동이 물(지하수 또는 얕은 바닷물)과의 접촉 유무에 따라 수성화산활동(수증기마그마분화)을 하거나, 마그마성화산활동(스트롬볼리안분화 혹은 하와이안분화)을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단성화산체의 고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고도 300 m 이하의 해안저지대에 253개(55.6%), 고도 300~600 m의 중 산간지대에 110개(24.2%), 600 m 이상의 산악지대에 92개(20.2%)가 분포하고 있어 과반수 이상이 해안저지대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주화산섬에 분포하는 단성화산체들은 응력장 안에서 생긴 단층이나 틈을 따라서 틈새 분출을 통해 선상으로 배열되어 나타나는 것과 이러한 틈새와는 무관하게 독립된 단일 화구를 통한 중심 분출을 통해 생성된 것이 함께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ju island is the biggest volcanic island in Korea and there are over 455 Quaternary monogenetic volcanoes, of which approximately 373 volcanoes(82.0%) are cinder cones. Other volcanic forms in the island include sharp-pointed lava cone without crate...

      Jeju island is the biggest volcanic island in Korea and there are over 455 Quaternary monogenetic volcanoes, of which approximately 373 volcanoes(82.0%) are cinder cones. Other volcanic forms in the island include sharp-pointed lava cone without crater(9 volcanoes; 2.0%), shield volcanoes(27 volcanoes; 5.9%), tuff rings(17 volcanoes; 3.7%), tuff cones(3 volcanoes; 0.7%), a maar(1 volcano; 0.2%) and lava domes(25 volcanoes; 5.5%). The monogenetic volcanoes include 15 small nested cinder cones(aloreum). The monogenetic volcanoes are more abunda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than in the western part. If the main cause of the weathering such as precipitation affected the shape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more monogenetic volcanoes(BC, CC, DC, etc.) are supposed to be present in the southern part that have more precipitation than in the northern part. But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show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parts. So we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the climatic conditions did not affect the distribution or the shape of cinder cones. Tuff rings, tuff cones and a maar are distributed beneath the island or in the low-altitude areas along the shore although cinder cones are distributed in the interior of the island. This means that the volcanic activity which formed the monogenetic volcanoes resulted from either phreatomagmatic eruption or magmatic (hawaiian or strombolian) eruptions depending on the reaction with water (underground water or shallow waters).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according to the altitude shows that 253(55.6%) volcanoes occur in low-lying coastal areas at an altitude below 300 m, 110(24.2%) in a middle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between 300~600 m and 92(20.2%) in a high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above 600 m. So more than half of monogenetic volcanoes are distributed in low-lying coastal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서론
      • 고찰
      • 결론
      • 요약
      • Abstract
      • 서론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기원,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Ⅲ): 40Ar/39Ar 절대연대자료에 근거한 제주도 형성 초기 용암 분출 기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3 (43): 163-176, 2010

      2 고기원,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Ⅱ): 가파도와 마라도 화산암류의 암석화 학 및 40Ar/39Ar 절대연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3 (43): 53-66, 2010

      3 고기원,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 동부지역 저지대 시추코어 화산암류의 암석화학 및 40Ar/39Ar 절대연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1 (41): 93-113, 2008

      4 고정선, "제주도 우도 단성화산의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암석학회 15 (15): 45-60, 2005

      5 고정선, "제주도 성산일출봉 일대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8 (28): 324-342, 2007

      6 고정선, "제주도 섭지코지 선돌 분석구의 화산작용과 현무암" 한국지구과학회 28 (28): 462-477, 2007

      7 윤성효, "제주도 남동부 태흥리 용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암석학회 11 (11): 2-29, 2002

      8 Pike, R. J., "Volcanoes of the inner planets: some preliminarycomparisons of gross topography" 3239-3273, 1978

      9 Nakamura, K., "Volcanoes as possible indicators oftectonic stress orientations" 2 : 1-6, 1977

      10 Hwang, S. K., "Volcanic form of the Songaksan tuffring-cinder cone complex, Jeju Island, Korea" 36 (36): 473-486, 2000

      1 고기원,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Ⅲ): 40Ar/39Ar 절대연대자료에 근거한 제주도 형성 초기 용암 분출 기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3 (43): 163-176, 2010

      2 고기원,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Ⅱ): 가파도와 마라도 화산암류의 암석화 학 및 40Ar/39Ar 절대연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3 (43): 53-66, 2010

      3 고기원,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 동부지역 저지대 시추코어 화산암류의 암석화학 및 40Ar/39Ar 절대연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41 (41): 93-113, 2008

      4 고정선, "제주도 우도 단성화산의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암석학회 15 (15): 45-60, 2005

      5 고정선, "제주도 성산일출봉 일대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8 (28): 324-342, 2007

      6 고정선, "제주도 섭지코지 선돌 분석구의 화산작용과 현무암" 한국지구과학회 28 (28): 462-477, 2007

      7 윤성효, "제주도 남동부 태흥리 용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암석학회 11 (11): 2-29, 2002

      8 Pike, R. J., "Volcanoes of the inner planets: some preliminarycomparisons of gross topography" 3239-3273, 1978

      9 Nakamura, K., "Volcanoes as possible indicators oftectonic stress orientations" 2 : 1-6, 1977

      10 Hwang, S. K., "Volcanic form of the Songaksan tuffring-cinder cone complex, Jeju Island, Korea" 36 (36): 473-486, 2000

      11 Koh, G. W., "Undergroundgeological distribution of eastern area of Jeju Island and40Ar-39Ar age. Guide-book of Spring Field Trip of theGeological Society of Korea in 2004" 29-50, 2004

      12 Park, J.B., "Tholeiitic volcanism inCheju island, Korea" 5 (5): 66-83, 1996

      13 Hasenaka, T., "The cindercones of Michoacan-Guanajuato, central Mexico: theirage, volume and distribution, and magma discharge rate" 25 : 105-124, 1985

      14 Miyake, Y., "Temporal chemical variation of Pleistocenesvolcanic rocks from Jeju Island, Korea. In Geologicalcorrelation of southwest Japan and Korea Peninsula-tectonicsfor spreading of active continental margin" ScienceReport Shimane University 106-111, 1993

      15 Won, C. K., "Study of petrochemistry of volcanicrocks in Jeju island" 12 (12): 207-226, 1976

      16 Yun, S.K., "Study of geothermalresearch of Jeju a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Resources 109-134, 1984

      17 Yun, S. K., "Study for theQuaternary geological research of the southern part ofJeju Island"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23-278, 1986

      18 Lee, M. W., "Stratigraphy and petrology of volcanci rocks in southern Cheju island, Korea" 30 (30): 521-541, 1994

      19 Choi, S. H., "Sea water intrusionin the coastal area of Cheju volcanic island, Korea" 24 (24): 319-327, 1991

      20 Son, C. M., "Scholarly research report of Mt. Halla.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ourism"

      21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Report for developing the underground water of Jeju Island(Geological Columnar Section)" 1978

      22 Koh, G. W., "Relationship between underground distributionof Seoguipo formation in Jeju Island and undergroundwater" 27 : 552-, 1991

      23 Choi, P. Y., "Reconstitution des paléocontraintes en tectoniquecassante : méthodes et applications en domainescontinentaux déformés (Corée, Jura)" Universit P. & m. Curie 1996

      24 Sohn, Y.K., "Primary versussecondary and subaerial versus submarine hydrovolcanicdeposits in the subsurface of Jeju Island, Korea" 55 : 899-924, 2008

      25 Koh, J. S., "Petrology of theVolcanic Rocks in the Paedrogdam Crater area, Mt.Halla, Jeju Island" 12 (12): 1-15, 2003

      26 Lee, M.W., "Petrology of mafic inclusion in Jeju volcanicrocks" 20 (20): 306-313, 1984

      27 Lee, J. S., "Petrology and tectonic setting of the Cretaceousto Cenozoic volcanics of South Korea; geodynamicsimplications on the East-Eurasian Margin" University D'ORLEANS 1989

      28 Lee, M. W.,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Island, Korea" 177-256, 1982

      29 Won, J. K., "Paleomagnetism and radiometric age of trachytesin Jeju island, Korea" 19 : 25-33, 1986

      30 Jeju Province, "Oreum of Jeju in Korea"

      31 Wood, C. A., "Morphometric evolution of cindercones" 7 : 387-413, 1980

      32 Wood, C. A., "Morphometric evolution of cinder cone" 7 : 387-413, 1988

      33 Wood, C. A., "Morphometric analyses of cinder conedegradation" 8 : 137-160, 1980

      34 Koh, J. S., "Morphologyand petrology of Jisagae columnar joint on the Daepodongbasalt in Jeju Island, Korea" 14 (14): 212-225, 2005

      35 Park, J.B., "Mineral chemistry of thevolcanic rocks from the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2 (2): 139-155, 1993

      36 Lee, M.W., "How Jeju Island made? -Geology and Rocks of Jeju volcanic island" Chunkwang Publication 135-, 1983

      37 Lee, M. W., "Geology of Jeju volcanic islnad, Korea" 77 : 55-64, 1982

      38 Park, G. H., "Geology of Jeju Island of Korea" 2001

      39 Haraguchi, K., "Geology of Jeju Island" 24 (24): 319-327, 1931

      40 Park, G. H., "Geologicaltrip of Jeju Island, Korea(Enlarged edition)" 183-, 2006

      41 Park, G. H., "Geological History of Jeju Island. Undergroundgeological distribution of eastern area of JejuIsland and 40Ar-39Ar age. Guide-book of Spring Field Trip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n 2004" 1-28, 2004

      42 Park, J.B., "Geochemical evolutionof the Cheju volcanic island(II): trace element chemistryof volcanic rocks from the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29 (29): 477-492, 1993

      43 Park, J.B., "Geochemical evolution of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Korea (2): Study of drillcore about Wollabong area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27 : 531-, 1991

      44 Won, C. K.,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lcanic rocks inPyoseon area, southeast Cheju, Korea" 34 (34): 172-191, 1998

      45 Lee, M. W., "Formation history and geological structureof Jeju Island" 54-74, 1994

      46 Nakamura, E., "Chemical geodynamics in a back arc region around theSea of Japan : implications for the genesis of alkalinebasalts in Japan, Korea and China" 94 : 4634-4654, 1989

      47 Park, J.B., "Ceochemical Evolutionof the Cheju Volcanic Island: Petrography and Major ElementChemistry for Stratigraphically-controlled Lavasfrom the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29 (29): 39-60, 1993

      48 Lee, D.Y., "Age of the basalt distributed in Jeju Island"

      49 Nakamura, E., "(Review)Chemical geodynamics in a back arc region ofJapan based on the trace element and Sr-Nd isotopiccompositions" 174 : 207-233,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9-12-30 통합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76 1.16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