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태풍 “볼라벤”에 의한 벼 생육시기별 변색립 발생정도와 수량 변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4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2년 8월 28일 목포 서해 해상을 지나 한반도 서쪽을 통 과한 태풍 ‘볼라벤’은 순간 최대 풍속 50 m/s의 강풍으로 벼 이삭에 직접적 피해를 주어 변색립 발생 정도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였다...

      2012년 8월 28일 목포 서해 해상을 지나 한반도 서쪽을 통 과한 태풍 ‘볼라벤’은 순간 최대 풍속 50 m/s의 강풍으로 벼 이삭에 직접적 피해를 주어 변색립 발생 정도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에 태풍 피해가 심했던 전라북도 익산, 김제 지 역과 전라남도 영광, 해남 지역을 대상으로 출수정도에 따른 변색립 발생,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등 태풍 피해에 대한 양 상을 조사하였다. 태풍에 의한 이삭 변색정도는 출수후 5일 피 해 벼가 가장 심했으며, 출수기에는 80%, 출수후 10일에는 71%, 출수후 15일에는 43%, 출수후 20일에는 20%였다. 특히 출수후 5일에 피해를 받은 벼는 변색립 회복정도가 태풍 경과 14일에 약 10%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느렸고 18일에도 처음 발 생한 변색립의 약 30%정도만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10a당 수량을 보면 출수후 20일에 비하여 출수후 5일에는 평균 333kg/10a로 63% 수준이었으며, 이후 출수기에는 71%, 출수후 10일에는 84%, 출수후 15일에는 95%의 수준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yphoon “Bolaven” passed through Honam province area on August 28-29, 2012. Dry strong wind from typhoon damaged to rice at the heading date in this area. The panicles attacked by dry wind were injured in various ways, some of them were wholly or ...

      Typhoon “Bolaven” passed through Honam province area on August 28-29, 2012. Dry strong wind from typhoon damaged to rice at the heading date in this area. The panicles attacked by dry wind were injured in various ways, some of them were wholly or partially discolored and others were variously wou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ry-wind damage on rice growth, we examined the panicle discoloration and yield of rice plants on different heading dates in Honam province area. The panicles attacked by dry wind at 5 days after heading were injured more severely than the panicles at the other stages, and about 85.8% of panicles on them were wholly or partially discolored. On the other hand, recovery rate of panicle discoloration was lower when the panicles were attacked at 5 days after heading than at the other stages. Also, The clos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yield components and discoloration of panicles. Rice typhoon-damaged at 5 days after heading is the lowest in ripening ratio, perfect grain rate and yield. Compared with none-damaged rice plants in panicles, damaged rice plants at 5 days after heading demonstrated yield reduction by 37% in milled rice. And they showed a tendency of high protein content in the milled r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광표, "태풍에 의한 벼 잎 파열의 품종간 차이 및 잎 파열이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49 (49): 199-206, 2004

      2 윤영환, "벼 생육중기 및 출수기 태풍 "올가" 건풍에 의한 엽신피해의 품종간 차이와 수량 및 품질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5 (15): 347-355, 2003

      3 Choi, Sang Jin, "Effects of Strong Wind at Heading Stage on Glume Development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26 (26): 219-225, 1981

      4 Song, J., "Effect of Lodging on Rice Quality" 13 (13): 58-63, 1988

      5 Yang, E. S.,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Leaves and Wind Damage by Typhoon" 33 (33): 201-204, 1988

      6 Lee, J. S., "Dry Wind Damage of Rice Plant at Different Growth Stages" 40 (40): 14-18, 1998

      7 박홍규, "2011년 태풍 ‘무이파(1109)’에 의한 벼 조풍 피해 특성 및 수량 감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4 (24): 522-530, 2012

      1 홍광표, "태풍에 의한 벼 잎 파열의 품종간 차이 및 잎 파열이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49 (49): 199-206, 2004

      2 윤영환, "벼 생육중기 및 출수기 태풍 "올가" 건풍에 의한 엽신피해의 품종간 차이와 수량 및 품질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5 (15): 347-355, 2003

      3 Choi, Sang Jin, "Effects of Strong Wind at Heading Stage on Glume Development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26 (26): 219-225, 1981

      4 Song, J., "Effect of Lodging on Rice Quality" 13 (13): 58-63, 1988

      5 Yang, E. S.,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Leaves and Wind Damage by Typhoon" 33 (33): 201-204, 1988

      6 Lee, J. S., "Dry Wind Damage of Rice Plant at Different Growth Stages" 40 (40): 14-18, 1998

      7 박홍규, "2011년 태풍 ‘무이파(1109)’에 의한 벼 조풍 피해 특성 및 수량 감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4 (24): 522-53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 J. Intl. Agri.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6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