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추출물 제조 공정 최적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41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포벽 분해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특히 단백질 분해 효소의 처리 조건을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스피루...

      세포벽 분해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특히 단백질 분해 효소의 처리 조건을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스피루리나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제시하였다. 세포벽 분해 효소인 Tunicase는 스피루리나의 중량 기준으로 2%를 사용하였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업용 단백질 분해 효소로는 Alcalase를 사용하였다. 이때, Alcalase의 최적 사용량은 1%이었으며, 효소 반응 시간은 2시간이 적절하였다. Tunicase와 Alcalase의 처리 방법에서 Tunicase를 먼저 사용한 후 Alcalase를 사용하는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고형분 회수율과 spirulina extraction (SE) index를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두 효소를 순차적으로 반응시키면 단순 열수 추출보다 고형분 회수율은 약 56%(45.2% → 70.7%), SE index는 약 100%(11.4 → 22.8) 증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efficient production method of spirulina extract was developed by enzymatic treatment using proteolytic enzymes. The suitable dosage of Tunicase, a cell lytic enzyme, was used to be 2.0% (w/w). To maximize solid recovery and spirulina extraction (S...

      An efficient production method of spirulina extract was developed by enzymatic treatment using proteolytic enzymes. The suitable dosage of Tunicase, a cell lytic enzyme, was used to be 2.0% (w/w). To maximize solid recovery and spirulina extraction (SE) index, which indicates nucleic acid-related substances content, the dosage of Alcalase, commercially available protease, was found to be 1.0% (w/w). By simultaneous treatments using optimal dosages of Tunicase and Alcaiase, the highest SE index and solid recovery were obtained. The SE index and solid recovery of simultaneous treatments were notably enhanced by 100% (11.4 → 22.8) and 56% (45.2% → 70.7%), respectively,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ex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화영, "스피루리나 복용이 노인의 혈중 지질 농도, 항산화능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6 (36): 287-297, 2003

      2 H. J. Chae, "Utilization of brewer’s yeast cells for the production of food-grade yeast extract. Part 1: effects of different enzymatic treatments on solid and protein recovery and flavor characteristics" 76 : 253-258, 2001

      3 O. Ciferri, "Spirulina, the edible microorganisms" 47 : 551-578, 1983

      4 김효성, "Spirulina platensis의 배양 및 추출조건에 따른 항암활성 비교"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4 (34): 143-149, 2006

      5 V. V. Annapurna, "Spirulina as a source of vitamin A" 41 : 125-134, 1991

      6 M. -J. In, "Production of spirulina extract by enzymatic hydrolysis" 50 : 304-307, 2007

      7 M. -J. In, "Process development for heme-enriched peptide by enzymatic hydrolysis of hemoglobin" 84 : 63-68, 2002

      8 H. J. Chae, "Optimization of enzymatic 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29 : 1125-1130, 1997

      9 R.A.Kay, "Microalgae as food and supplement" 30 : 555-573, 1991

      10 M. K. Sharma, "Evaluation of protective efficacy of Spirulina fusiformis against mercury induced nephrotoxicity in Swiss albino mice" 45 : 879-887, 2007

      1 김화영, "스피루리나 복용이 노인의 혈중 지질 농도, 항산화능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6 (36): 287-297, 2003

      2 H. J. Chae, "Utilization of brewer’s yeast cells for the production of food-grade yeast extract. Part 1: effects of different enzymatic treatments on solid and protein recovery and flavor characteristics" 76 : 253-258, 2001

      3 O. Ciferri, "Spirulina, the edible microorganisms" 47 : 551-578, 1983

      4 김효성, "Spirulina platensis의 배양 및 추출조건에 따른 항암활성 비교"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4 (34): 143-149, 2006

      5 V. V. Annapurna, "Spirulina as a source of vitamin A" 41 : 125-134, 1991

      6 M. -J. In, "Production of spirulina extract by enzymatic hydrolysis" 50 : 304-307, 2007

      7 M. -J. In, "Process development for heme-enriched peptide by enzymatic hydrolysis of hemoglobin" 84 : 63-68, 2002

      8 H. J. Chae, "Optimization of enzymatic 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29 : 1125-1130, 1997

      9 R.A.Kay, "Microalgae as food and supplement" 30 : 555-573, 1991

      10 M. K. Sharma, "Evaluation of protective efficacy of Spirulina fusiformis against mercury induced nephrotoxicity in Swiss albino mice" 45 : 879-887, 2007

      11 M. -J. In, "Enhancing extraction yield of chlorella extract by enzyme treatment" 50 : 132-135, 2007

      12 O. Hayashi, "Class specific influence of dietary Spirulina platensis on antibody production in mice" 44 : 841-851, 1998

      13 N. Nakaya, "Chloresterol lowering effect of spirulina" 37 : 1329-1337, 1988

      14 Ő. Tokuşoglu, "Biomass nutrition profiles of three microalgae: Spirulina platensis, Chlorella vulgaris, and Isochrisis galbana" 68 : 1144-1148, 2003

      15 A. Hernández-Corona, "Antiviral activity of Spirulina maxima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type 2" 56 : 279-285, 2002

      16 L. -C. Wu,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pirulina and chlorella water extract" 53 : 4207-4212, 2005

      17 L. Wang,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platensis extract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105 : 36-41, 2007

      18 G. Ozdemir, "Antibacterial activity of volatile component and various extracts of Spirulina platensis" 18 : 754-757, 2004

      19 T. Hirahashi, "Activation of the human innate immune system by spirulina: augmentation of interferon production and NK cytotoxicity by oral administration of hot water extract of Spirulina platensis" 2 : 423-,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