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글로벌 허브공항의 장소적 특성에 따른 공공미술에 관한 연구 : 서비스 스케이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779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5.39700.103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ublic art according to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global hub airport : focused on the servicescape

      • 형태사항

        x, 108장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정교
        국·영문초록수록
        참고문헌: 장 102-104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23815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irport is a gateway that travelers must go through to go to other countries, and is considered the representation of public plac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global hub airport, has opened Terminal 2(T2) in 2...

      An airport is a gateway that travelers must go through to go to other countries, and is considered the representation of public plac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global hub airport, has opened Terminal 2(T2) in 2018.
      By introducing cultural and art-related services to the airport space and expanding the place to new paradigm of service, passengers in the airport can share and experience cultural aspects.
      In line with the recent trend in which public places like airports are turning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airports around the world are striving to provide cultural services by introducing public art into spaces.
      Among other airports, public artworks set up at Global Hub Airport make it a symbolic and meaningful place for passengers staying at the airport, serving as an international hub airport in the global era.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he work by classifying the servicescape in which the work can be installed in the airport, and exploring ways to coexist with the work more effectively.
      In the present, new services are being introduced worldwide at airports, but it is hard to find any case of the study that explains the effects of cultural services caused by existence of public art in public spaces.
      So,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public art at global hub airport will be analyzed 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servicescape will be studi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materials. Then, the current artworks status at the recently opened T4 at Singapore's Changi Airport, the world's No. 1 airport, selected by Skytrax in 2018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T2 will be analyzed using a distribution chart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servcescape.
      Among servicescapes, publicity was evident in most of the artworks in all the places and depending on the work, all the factors of location characteristics were affecte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hub airport including the spatial mobility, global culturality, and interplay, have related to the user. Installing artworks along the flow of a space, gives a boost to the mobility movement. With "art" and "culture" taking over as new services in public places, the airport is in harmony with passengers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the boarding gates and empty spaces where the artworks were most frequently installed were selected as servicescape and planning of the work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ase. The concept keywords of the work are light, transmission, shadow, and sound, excluding existing sculptures or stereoscopic artworks so that people feel restful just by looking at the work. The analysis of the work proposal was derived from the FGI (Focused Group Interview), i.e. target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a group of expert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artworks proposed to the group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hub airport. Also, the evaluation included that the artworks provide new experiential service while generating curiosity and interest from passengers through the use of dead space, drawing visitors' participation, and introducing artworks to the rest area.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create attractive spac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 experience, and time that travelers stay in, and to highlight spatial images with the go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irports alone. Through public arts, the airport, where an international public space used by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can become a space where empathy and interaction are made which increases the value of a place and makes it meaningful. The development of cultural marketing combined with art can be a driving force to become a global hub airport.
      This research suggests public art works according to airport servicescape as a strategy to leap into global hub airport and proposes the future direction of public art. The work proposed i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be used to provide new experience servic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airport.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it can be applied to create meaningful service experienc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ervices at the airp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항은 각국을 거쳐 가기 위한 필수 관문으로, 공공장소의 대표적인 장소로 꼽힌다.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은 2018년 Terminal 2(T2)를 개항하며 문화, 예술에 관...

      공항은 각국을 거쳐 가기 위한 필수 관문으로, 공공장소의 대표적인 장소로 꼽힌다.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은 2018년 Terminal 2(T2)를 개항하며 문화, 예술에 관련된 서비스를 공항공간에 도입해 공항 내에 머무는 여객들이 문화적인 요소를 공유하고 경험할 수 있는 장소로 만들어 새로운 패러다임의 서비스공간으로 확대시키고 있다. 최근 공항이라는 공공장소가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트랜드에 따라, 세계 각국의 공항들은 공간에 공공미술을 도입해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힘쓰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글로벌 허브공항에 설치된 공공미술 작품은 공항에 머무는 여객들에게 상징적이고 의미 있는 장소로 만들어주며, 글로벌 시대의 국제적인 허브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공항 내 작품이 설치될 수 있는 서비스 스케이프(servicescape)를 분류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작품과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작품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공항에서는 세계적으로 새로운 서비스가 도입되고 있지만, 공공미술로 인한 문화적 서비스가 공항공간에 공존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연구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를 위해 글로벌 허브공항의 장소적 특성과 공공미술의 특징을 분석하고 서비스 스케이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연구한다. 이후 인천국제공항 T2와 2018 스카이트랙스(Skytrax)에서 선정한 세계 공항 1위인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최근 오픈한 T4의 작품현황을 분포도로 파악해 작품들을 서비스 스케이프별로 분류하여 사례로 분석한다.
      서비스 스케이프 중 모든 장소에서 공공성은 모든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작품에 따라 장소적 특성 요소에 모두 영향을 끼쳤고, 글로벌 허브공항의 장소적 특성인 공간의 이동성, 글로벌 문화성, 상호작용성은 이용객과의 관계를 맺으며 공간의 동선에 따라 작품을 설치하여 이동 동선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있다. ‘예술’과 ‘문화’가 공공장소의 새로운 서비스로 차지하게 되면서 공항은 전 세계 이용객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로 분석한 내용들에 따라 가장 작품이 많이 설치되어있었던 탑승게이트 및 유휴공간을 서비스 스케이프로 선정하여 작품기획을 제안하였다. 작품의 컨셉키워드는 빛, 투과, 그림자, 소리로 기존 조형물 또는 입체작품을 배제하고 작품을 보는 것만으로도 휴식이 되는 작품을 제안한다. 작품 제안에 대한 분석은 FGI(Focused GroupInterview), 즉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표적 집단 인터뷰를 통해 작품에 대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룹에 제안한 작품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작품별로 공공미술의 특징과 글로벌 허브 공항의 장소적 특성과의 관계를 볼 수 있었으며, 여객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면서도 데드스페이스(Deadspace)를 활용한 작품,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작품, 휴식공간에 도입한 작품을 통해 새로운 경험적 서비스를 여객들에게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여행객이 머무르는 공간과 서비스, 경험, 시간의 질을 상승시키기 위해 매력적인 공간을 구성하며 공항만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해 국제적 마케팅을 목표로 공간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국제적 공공공간인 공항에서 공공미술을 통해 낯선 공간이 아닌 공감과 교감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장소의 가치를 높이며 공간에 의미를 갖게 한다. 아트와 접목된 문화 마케팅의 발전은 글로벌 허브공항이 되기 위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도약하는 전략으로 공항 서비스 스케이프에 따른 공공미술 작품을 제안함과 동시에 공공미술의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언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작품은 공항의 특성에 따라 새로운 경험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는 의미 있는 서비스 경험 형성에 활용 가능하며 공항에 실질적인 서비스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데 결정적인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1.3 연구 흐름도 5
      • 제 2 장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공미술과 서비스 스케이프의 이론적 고찰 6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1.3 연구 흐름도 5
      • 제 2 장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공미술과 서비스 스케이프의 이론적 고찰 6
      • 2.1 글로벌 허브공항과 공공미술 6
      • 2.1.1 글로벌 허브공항의 변화 및 장소적 특성 7
      • 2.1.2 공공미술의 발전과 특징 12
      • 2.2 서비스 스케이프 16
      • 2.2.1 서비스 스케이프의 이론적 고찰 16
      • 2.2.2 글로벌 허브공항의 서비스 스케이프 19
      • 제 3 장 글로벌 허브공항의 서비스 스케이프별 공공미술작품 사례분석 21
      • 3.1 사례분석의 범위 및 방법 21
      • 3.2 글로벌 허브공항의 작품현황 22
      • 3.2.1 대한민국 인천국제공항 Terminal 2 22
      • 3.2.2 싱가포르 창이공항 Terminal 4 24
      • 3.3 서비스 스케이프별 사례분석 27
      • 3.3.1 입·출국장 28
      • 3.3.2 탑승게이트 38
      • 3.3.3 수하물 수취구역 52
      • 3.3.4 외부 공간 59
      • 3.4 종합분석 64
      • 제 4 장 작품제안 및 설문조사 67
      • 4.1 서비스 스케이프 선정 67
      • 4.1.1 서비스 스케이프 선정배경 67
      • 4.1.2 대상지 분석 68
      • 4.2 작품기획안 69
      • 4.2.1 기획배경 69
      • 4.2.2 CONCEPT 70
      • 4.2.3 ARTWORK PLAN A 71
      • 4.2.4 ARTWORK PLAN B 75
      • 4.2.5 ARTWORK PLAN C 79
      • 4.2.6 ARTWORK PLAN D 84
      • 4.3 FGI(Focused Group Interview) 조사 88
      • 4.3.1 표적 집단(Focused Group) 선정 88
      • 4.3.2 FGI 연구방법 89
      • 4.3.3 인터뷰 내용 및 결과 90
      • 4.3.4 종합 분석 98
      • 제 5 장 결론 99
      • 참 고 문 헌 102
      • ABSTRACT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