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정 개념의 역사와 새로운 관점 (1) — 모방/비모방 모델의 실체론을 넘어서 — = The History of Lyric Theory and a New Perspective (Ⅰ) — Beyond Substantialism of Mimetic/Non-mimetic Mode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5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기존 서정 이론을 두 가지 주요 흐름으로 분류하고 양자의 공통 전제인 실체론의 한계를 비판함으로써 새로운 서정 개념을 관계론의 토대 위에 정초하고자 하였다. 보편적 시로서...

      이 논문은 기존 서정 이론을 두 가지 주요 흐름으로 분류하고 양자의 공통 전제인 실체론의 한계를 비판함으로써 새로운 서정 개념을 관계론의 토대 위에 정초하고자 하였다.
      보편적 시로서의 서정 개념은 ‘탈서정’ 또는 ‘반서정’으로 일컬어지는 시 작품도 어째서시적인지를 해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 연구가 낭만주의 서정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해왔다면, 학문적으로 보편성을 갖춘 서정 개념을 새로이 정초하기 위해서는기존 이론의 흐름을 더욱 폭넓고 정확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기존 서정 이론의 주요한 흐름은 모방적 서정 이론과 비모방적 서정 이론의 두 가지로나뉜다. 먼저 모방적 서정 이론은 서정 개념을 ‘허구적 화자의 극적 독백’으로 정의한다.
      이 이론은 신비평의 영향을 받은 영미 문학교육에서 여전히 지배적인 모델로 기능하고 있다. 다음으로 비모방적 서정 이론은 서정 개념을 ‘주관성의 표현’으로 설명한다. 독일 낭만주의, 에밀 슈타이거, 캐테 함부르거, 조동일, 조너선 컬러의 견해가 이 그룹에 속한다. 모방적 모델과 비모방적 모델은 언어-형이상학적 실체론에 근거를 둔다는 공통점이 있다.
      실체론적 서정 이론은 시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규정할 수 있어도 시의 본질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는 설명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더 시적인 것’과 ‘덜 시적인 것’의 시적 강도(intensity)라는 미적 가치를 해명하기 힘들다.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상호적이고 복합적인 관계론을 새로운 서정 개념의 전제로 삼을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애영, "환상문학 서설" 일월서각 2013

      2 김종훈, "한국 근대시의 '서정' : 기원과 변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 안성찬, "즐거운 학문" 책세상 2005

      4 김현, "쟝르의 이론" 文學과知性社 1987

      5 Friedrich Nietzsche,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Ⅰ" 책세상 18-, 2001

      6 Friedrich Nietzsche, "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0

      7 스테판 말라르메, "시집" 문학과지성사 2005

      8 구모룡, "시에 있어서의 제유의 수사학" 한국시학회 (20) : 141-163, 2007

      9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010

      10 신상희, "숲길, 마르틴 하이데거" 나남출판 2008

      1 최애영, "환상문학 서설" 일월서각 2013

      2 김종훈, "한국 근대시의 '서정' : 기원과 변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 안성찬, "즐거운 학문" 책세상 2005

      4 김현, "쟝르의 이론" 文學과知性社 1987

      5 Friedrich Nietzsche,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Ⅰ" 책세상 18-, 2001

      6 Friedrich Nietzsche, "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0

      7 스테판 말라르메, "시집" 문학과지성사 2005

      8 구모룡, "시에 있어서의 제유의 수사학" 한국시학회 (20) : 141-163, 2007

      9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010

      10 신상희, "숲길, 마르틴 하이데거" 나남출판 2008

      11 김정현, "선악의 저편" 책세상 2002

      12 Jonathan Culler, "서정시의 이론과 비평" 현대미학사 2003

      13 고봉준, "서정시 이론의 성찰과 모색 - '서정' 개념의 이중성과 '정(情)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0) : 117-139, 2007

      14 박현수, "서정시 이론의 새로운 고찰- 서정성의 층위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0 : 259-297, 2007

      15 한성자, "서동(西東) 시집" 문학과지성사 2006

      16 Friedrich Nietzsche, "바그너의 경우‧우상의 황혼‧안티크리스트‧이 사람을 보라‧디오니소스 송가‧니체 대 바그너" 책세상 2002

      17 강계숙, "미언" 문학과지성사 2009

      18 신형철, "몰락의 에티카" 문학동네 2008

      19 홍승진, "김소월과 인내천(人乃天): 『개벽』지 발표작에 관한 일고찰"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2 (22): 83-118, 2017

      20 趙東一, "韓國小說의 理論" 지식산업사 1977

      21 金埈五, "詩論" 三知院 2002

      22 Emil Staiger, "詩學의 根本 槪念" 삼중당 1978

      23 曉鍾生, "玄堂獨吠, 第5號 文學에 表現되는 感情(續前號)" 1921

      24 René Wellek, "文學의 理論" 文藝出版社 1987

      25 曉鍾, "小說槪要" 1920

      26 Jonathan Culler, "Theory of the Lyric"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27 John Crowe Ransom, "The World’s Body"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68

      28 Virginia Jackson,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29 Aristotle, "The Poetics of Aristotl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7

      30 Käte Hamburger, "The Logic of Litera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1973

      31 Victor Hugo, "The Essential Victor Hugo"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2 Aristotle, "The Complete Works of Aristotle:The Revised Oxford Translation, Vo1.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33 John Stuart Mill, "The Collected Works of John Stuart Mill, Vol. I: Autobiography and Literary Essays" Routledge and Kegan Paul 1981

      34 Gérard Genette, "The Architext: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35 Thomas Stearns Eliot, "T. S. 엘리엇 문학비평" 동국대학교출판부 1999

      36 Ezra Pound, "Gaudier-Brzeska : A Memoir" New Directions Books 1970

      37 René Wellek, "Discriminations: Further Concepts of Criticism" Yale University Press 1970

      38 Plato, Republic,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39 Glenn W. Most, "Ancient Writers: Greece and Rome, Vol. Ⅰ" Charles Scribner’s Sons 1982

      40 Northrop Frye, "Anatomy of Criticism: Four Essay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7

      41 Charles Batteux, "A Course of the Belles Lettres: or The Principles of Literature, Vol. 3" printed for B. Law and Co. T. Caslon, J. Coote, S. Hooper, G. Kearsly, and A. Morley 1761

      42 이성희, "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 새미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